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반야학〉 입문

〈반야학〉 입문

(대승불교의 근본, 미륵보살이 반야경을 해설한『현관장엄론』)

Tanaka kimiaki (지은이), 석혜능 (옮긴이)
부다가야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200원 -10% 0원
900원
15,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반야학〉 입문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반야학〉 입문 (대승불교의 근본, 미륵보살이 반야경을 해설한『현관장엄론』)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의 이해
· ISBN : 9791186628478
· 쪽수 : 422쪽
· 출판일 : 2022-12-15

목차

머리말 _7
표지 사진 「대반야설상도」에 대하여 _24

서론
제1장 반야학이란 무엇인가 _29
첫머리에 _29
4대 종파의 교법 _31 티베트불교의 공부 과정 _33
티베트 반야학 _34 반야학 연구의 의미 _37

제2장 『현관장엄론의 구성 _41
「시·람·데」와의 만남 _41
『현관장엄론』의 구성 _43 <표> 『현관장엄론』의 구성 _45
『현관장엄론』과 「시·람·데」 _47
정리 _51

제3장 반야학의 역사 _54
아상가(무착)·바수반두(세친) 형제의 탄생 _54
아상가와 미륵보살 _56 전승의 의미 _58
바수반두世親의 회소향대廻小向大 _59
반야학의 계승 _60 정리 _65

제4장 티베트로의 전파와 발전 _67
티베트에서 반야학의 학통 _67 티베트에서 반야학의 위치 _72
대·중·소의 『반야경』 _75 분제分際(사챰) _76
심상속(규)과 상속후제(균타) _78 정리 _80

Ⅰ. 일체상지一切相智
제5장 「일체상지一切相智」에 대하여 _85
『현관장엄론』에서 「일체상지」의 _85
『이만오천송반야경』에서 「일체상지」 _87
<표> 『現觀莊嚴論』 I「一切相智」의 십법十法 _88
「일체상지」의 십법十法 _89 십법의 차제 _94
정리 _95

제6장 발심에 대하여 _97
『이만오천송반야경』에서 발심 _98 발심의 정의 _99
22가지 발심에 대해 _101 <표> 22種의 發心 _103
22가지 발심의 의미 _105

제7장 자량행에 대하여 _107
『현관장엄론』에서의 자량행의 위치 _107
『이만오천송반야경』에서의 자량행 _109
<표> 『現觀莊嚴論』 I「一切相智」의 ⑼資糧行 _110
17가지 자량행 _111 지혜智의 자량 _114
대치의 자량 _115 정리 _117

제8장 「지地」의 자량에 대하여 _119
『현관장엄론』에서 지地의 자량의 위치 _120
『이만오천송반야경』에서 지地의 자량 _121
<표> 『現觀莊嚴論』 I「一切相智」에서 「地의 資糧」 _122
초지初地의 십법 _122 이지二地의 팔법 _125
삼지三地의 오법 _126 사지四地의 십법 _127
오지五地 이후의 보살지 _129 정리 _130

Ⅱ. 도종지道種智
제9장 「도종지道種智」에 대하여 _135
『현관장엄론』에서 「도종지」 _135
『이만오천송반야경』에서의 「도종 _137
<표>『現觀莊嚴論』 Ⅱ「道種智」의 十一法 _138
「도종지」의 십일법 _139 정리 _145

Ⅲ. 일체지一切智
제10장 「일체지一切智」에 대하여 _149
『현관장엄론』에서 「일체지」의 위치 _149
『이만오천송반야경』에서의 「일체지」 _151
<표> 『現觀莊嚴論』 Ⅲ一切智의 九法 _152
「일체지」의 구법 _153 정리 _160

Ⅳ. 일체상현등각一切相現等覺
제11장 「일체상현등각一切相現等覺」의 행상 _165
『현관장엄론』에서 「일체상현등각」 행상의 위치 _165
<표>1 『現觀莊嚴論』 사가행四加行의 차제 _166
『이만오천송반야경』에서의 「일체상현등각」 _167
『이만오천송반야경』에서 「일체상현등각」의 행상 _168
「일체상현등각」을 설하는 이유 _169
「일체상현등각」의 173행상 _171
<표>2 「一切相現等覺」의 173行相 _175
<표>3 「일체상현등각」의 구성 _176
정리 _177

제12장 「일체상현등각」의 가행 _178
『이만오천송반야경』에서 「일체상현등각」의 가행 _179
「가행자」와 「가행」 _179 4종류의 「가행자」 _180
<표>1 『現觀莊嚴論』 「一切相現等覺」의 「加行者」 _182
「가행」의 20상相 _182
<표>2 『現觀莊嚴論』 Ⅳ「一切相現等覺」 ⑵「加行」의 구성 _185
정리 _186

제13장 「가행」의 「덕德」과 「실失」 _188
『이만오천송반야경』에서 가행의 덕과 실 _188
<표1> 『現觀莊嚴論』 「加行의 德」과 「加行의 失」의 구성 _189
14가지 가행의 덕 _190
46가지 「가행」의 실失 _192 <표>2 「가행」의 46가지 실 _193
「가행」의 과실失이란 무엇인가 _196
정리 _200
제14장 「가행加行」의 상相 _202
『이만오천송반야경』에서 「가행의 상」 _203
91가지 가행의 상 _204
<표> 加行의 91가지 相 _206
「가행의 상」의 내용 _210 정리 _212

제15장 「후반의 6의義」에 대하여 _214
<표> 『現觀莊嚴論』 Ⅵ「一切相現等覺」 후반 「6의義」의 차제 _216
『이만오천송반야경』에서 「후반의 6의義」 _217
「후반의 6의義」의 의 _218 정리 _223

Ⅴ. 정현관頂現觀
제16장 「정현관頂現觀」에 대하여 _227
『현관장엄론』에서 「정현관頂現觀」의 위치 _227
『이만오천송반야경』에서의 「정현관頂現觀」 _228
8가지 「정현관」에 대해서 _230
<표> 『現觀莊嚴論』 Ⅴ「頂現觀」과 『이만오천송반야경』 _231
「정현관」의 의미 _233

제17장 「무간삼매無間三昧」에 대하여 _235
『이만오천송반야경』에서 「무간삼매」의 위치 _236
『이만오천송반야경』에서 「끊어야 할 전도」 _238
「무간삼매」에 대해서 _238
「끊어야 할 16가지 전도」에 대해 _240
<표> Ⅴ「頂現觀」의 16가지 ⑻「除去해야 할 顚倒」 _242
정리 _243

Ⅵ. 점현관漸現觀
제18장 「점현관漸現觀」에 대하여 _247
『현관장엄론』에서 「점현관」의 위치 _247
『이만오천송반야경』에서의 「점현관」 _249
13가지 「점현관」에 대해서 _250
<표> 『現觀莊嚴論』 Ⅵ漸現觀과 『二萬五千頌般若經』 _251
「점현관」의 의미 _254

Ⅶ. 일찰나현등각一刹那現等覺
제19장 「일찰나현등각」에 대하여 _259
『현관장엄론』에서 「일찰나현등각」의 위치 _259
『이만오천송반야경』에서 「일찰나현등각」 _261
4가지 「일찰나현등각」에 대해서 _262
<표> 『現觀莊嚴論』 Ⅶ「一刹那現等覺」과 『이만오천송반야경』 _263
「일찰나현등각」의 의미 _266

Ⅷ. 법신法身
제20장 「무루지無漏智」에 대하여 _271
『현관장엄론』에서 21가지 「무루지」의 위치 _272
<표1> 『이만오천송반야경』에서 법신 대응 부분 _273
『이만오천송반야경』에서의 21가지 「무루지」 _273
<표2> 21가지 무루법 _275
『현관장엄론』에서의 21가지 「무루지」 _276
21가지 무루지와 삼신설·사신설三身說·四身說 _278
정리 _280

제21장 「자성신自性身」에 대하여 _282
『현관장엄론』에서 자성신의 위치 _282
『이만오천송반야경』에서의 자성신 _284 『현관장엄론』에서의 자성신 _286
자성신의 특상特相 _286
「삼신설三身說」과 「사신설四身說」의 차이 _288
삼신설三身說과 사신설四身說의 계통 _289
정리 _290

제22장 「보신報身」의 「오결정五決定」 _293
『현관장엄론』에서 보신의 위치 _293
『이만오천송반야경』에서의 「보신報身」 _294
『현관장엄론』에서의 「보신」 _296
「보신報身」의 「오결정五決定」 _297
「오결정五決定」의 전거 _298
<표>「보신報身」의 「오결정五決定」 _300
정리 _300

제23장 「응신應身」에 대하여 _303
『현관장엄론』에서 응신의 위치 _304
『이만오천송반야경』에서의 응신 _304
『현관장엄론』에서의 응신 _306
응신의 분류 _306
「최고 응신應身」의 12행업 _307 정리 _308

제24장 「법신의 행업行業」에 대하여 _311
『현관장엄론』에서 법신의 행업 위치 _311
『이만오천송반야경』에서의 법신의 행업 _312
27가지 법신의 행업에 대해서 _314
<표> 『現觀莊嚴論』에서 法身의 27가지 事業 _314
27가지 법신의 행업行業의 의미 _318
전체의 총설 _320

부록 현관장엄론 본송
1. 서품(序品) _325
2. 일체상지품(一切相智品:一切種智) _331
3. 도상지품(道相智品:道智) _346
4. 일체지품(一切智品:基智) _355
5. 일체상현등각(圓滿一切相現觀品:圓滿加行) _360
6. 정현관품(頂現觀品:頂加行) _379
7. 점차현관품(漸次現觀品:漸次加行)[堅固한 獲得을 위한 加行] _391
8. 찰나증대보리품(剎那證大菩提品:刹那加行)[견고함의 획득] _392
9. 법신품(法身品) _393
10. 섭품(攝品:補遺) _404

문헌목록 _405
역자후기 _410
찾아보기 _416

저자소개

Tanaka kimiaki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5年, 福岡縣 八幡市(現北九州市 八幡東區)에서 태어났다. 1979年 東京大學文學部卒(印度哲學專攻). 1984年 同大學大學院 博士課程滿期退學. 東京大學文學部助手(文化交流)를 거쳐 現在, (公財)中村元東方硏究所傳任硏究員, 慶應義塾大學講師(非常勤), 利賀후루사토財團 「瞑想의 故鄕(瞑想の鄕)」(富山縣) 主任學藝員, 한빛文化財團(韓國·서울)學術顧問, 티베트文化硏究會副會長. 文學博士(2009年, 東京大學大學院). 著譯書 : 『曼茶羅이코노로지-』(平河出版社), 『超密敎 時輪탄트라』(東方出版), 『印度·티베트曼茶羅의 硏究』 『燉煌 密敎와 美術』(以上·法藏館), 『티베트密敎 成就의 秘法』(大法輪閣), 『曼茶羅구라이구스』(山川出版社), 『圖說티베트密敎』 『兩界曼茶羅의 誕生』 『印度에서 曼茶羅의 成立과 發展』(以上·春秋社) 等 多數.
펼치기
석혜능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불심도문(佛心道文) 스님을 은사로 출가하였고, 자운성우(慈雲盛祐) 스님을 계사로 비구계와 보살계를 수지하였다. 동국대학교 불교학과와 동 대학원에서 불교학을 전공하고, 해인사 해인총림율원과 파계사 영산율원에서 계율학을 연찬하였고, 일본 진언종의 총본산인 고야산(高野山)과 인도 다람살라의 규또사원(上密院)에서 밀교학을 연찬하였으며, 해인총림율원 율원장과 한국역경학회(Maha Kasyapa's Society) 회장을 역임하였다. 제14대 달라이 라마 존자로부터 관정과 삼마야계를 받으면서 ‘텐진 카샤파(Tenzin Kasyapa)’라는 법명을 받았다. 현재 인도 다람살라 규또사원(上密院)과 람림의 마을 보리원(菩提苑)에서 쫑카빠 대사의 람림(Lamrim, 보리도차제)을 바탕으로 한 보리심(菩提心)과 지관쌍운(止觀雙運)의 교학과 수행 체계를 연찬하며 역경(譯經)과 수행(修行)에 전념하고 있다. 번역서로는 ‘반야이취경 강해’(松長有慶 지음, 동국역경원), ‘법화경의 세계’(平川彰 지음, 부다가야), ‘사미학처’(하늘북), ‘원시불교의 연구’(平川彰 지음, 민족사), ‘비구계의 연구’1, 2(平川彰 지음, 민족사), ‘티벳불교 보드가야 대기원법회 독송집’(제17대 까르마빠 지음, 부다가야), ‘보살37수행’(톡메 상보 지음, 티베트하우스 코리아), ‘입보살행론’(산티데바 지음, 부다가야)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