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의 이해
· ISBN : 9791186628478
· 쪽수 : 422쪽
· 출판일 : 2022-12-15
목차
머리말 _7
표지 사진 「대반야설상도」에 대하여 _24
서론
제1장 반야학이란 무엇인가 _29
첫머리에 _29
4대 종파의 교법 _31 티베트불교의 공부 과정 _33
티베트 반야학 _34 반야학 연구의 의미 _37
제2장 『현관장엄론의 구성 _41
「시·람·데」와의 만남 _41
『현관장엄론』의 구성 _43 <표> 『현관장엄론』의 구성 _45
『현관장엄론』과 「시·람·데」 _47
정리 _51
제3장 반야학의 역사 _54
아상가(무착)·바수반두(세친) 형제의 탄생 _54
아상가와 미륵보살 _56 전승의 의미 _58
바수반두世親의 회소향대廻小向大 _59
반야학의 계승 _60 정리 _65
제4장 티베트로의 전파와 발전 _67
티베트에서 반야학의 학통 _67 티베트에서 반야학의 위치 _72
대·중·소의 『반야경』 _75 분제分際(사챰) _76
심상속(규)과 상속후제(균타) _78 정리 _80
Ⅰ. 일체상지一切相智
제5장 「일체상지一切相智」에 대하여 _85
『현관장엄론』에서 「일체상지」의 _85
『이만오천송반야경』에서 「일체상지」 _87
<표> 『現觀莊嚴論』 I「一切相智」의 십법十法 _88
「일체상지」의 십법十法 _89 십법의 차제 _94
정리 _95
제6장 발심에 대하여 _97
『이만오천송반야경』에서 발심 _98 발심의 정의 _99
22가지 발심에 대해 _101 <표> 22種의 發心 _103
22가지 발심의 의미 _105
제7장 자량행에 대하여 _107
『현관장엄론』에서의 자량행의 위치 _107
『이만오천송반야경』에서의 자량행 _109
<표> 『現觀莊嚴論』 I「一切相智」의 ⑼資糧行 _110
17가지 자량행 _111 지혜智의 자량 _114
대치의 자량 _115 정리 _117
제8장 「지地」의 자량에 대하여 _119
『현관장엄론』에서 지地의 자량의 위치 _120
『이만오천송반야경』에서 지地의 자량 _121
<표> 『現觀莊嚴論』 I「一切相智」에서 「地의 資糧」 _122
초지初地의 십법 _122 이지二地의 팔법 _125
삼지三地의 오법 _126 사지四地의 십법 _127
오지五地 이후의 보살지 _129 정리 _130
Ⅱ. 도종지道種智
제9장 「도종지道種智」에 대하여 _135
『현관장엄론』에서 「도종지」 _135
『이만오천송반야경』에서의 「도종 _137
<표>『現觀莊嚴論』 Ⅱ「道種智」의 十一法 _138
「도종지」의 십일법 _139 정리 _145
Ⅲ. 일체지一切智
제10장 「일체지一切智」에 대하여 _149
『현관장엄론』에서 「일체지」의 위치 _149
『이만오천송반야경』에서의 「일체지」 _151
<표> 『現觀莊嚴論』 Ⅲ一切智의 九法 _152
「일체지」의 구법 _153 정리 _160
Ⅳ. 일체상현등각一切相現等覺
제11장 「일체상현등각一切相現等覺」의 행상 _165
『현관장엄론』에서 「일체상현등각」 행상의 위치 _165
<표>1 『現觀莊嚴論』 사가행四加行의 차제 _166
『이만오천송반야경』에서의 「일체상현등각」 _167
『이만오천송반야경』에서 「일체상현등각」의 행상 _168
「일체상현등각」을 설하는 이유 _169
「일체상현등각」의 173행상 _171
<표>2 「一切相現等覺」의 173行相 _175
<표>3 「일체상현등각」의 구성 _176
정리 _177
제12장 「일체상현등각」의 가행 _178
『이만오천송반야경』에서 「일체상현등각」의 가행 _179
「가행자」와 「가행」 _179 4종류의 「가행자」 _180
<표>1 『現觀莊嚴論』 「一切相現等覺」의 「加行者」 _182
「가행」의 20상相 _182
<표>2 『現觀莊嚴論』 Ⅳ「一切相現等覺」 ⑵「加行」의 구성 _185
정리 _186
제13장 「가행」의 「덕德」과 「실失」 _188
『이만오천송반야경』에서 가행의 덕과 실 _188
<표1> 『現觀莊嚴論』 「加行의 德」과 「加行의 失」의 구성 _189
14가지 가행의 덕 _190
46가지 「가행」의 실失 _192 <표>2 「가행」의 46가지 실 _193
「가행」의 과실失이란 무엇인가 _196
정리 _200
제14장 「가행加行」의 상相 _202
『이만오천송반야경』에서 「가행의 상」 _203
91가지 가행의 상 _204
<표> 加行의 91가지 相 _206
「가행의 상」의 내용 _210 정리 _212
제15장 「후반의 6의義」에 대하여 _214
<표> 『現觀莊嚴論』 Ⅵ「一切相現等覺」 후반 「6의義」의 차제 _216
『이만오천송반야경』에서 「후반의 6의義」 _217
「후반의 6의義」의 의 _218 정리 _223
Ⅴ. 정현관頂現觀
제16장 「정현관頂現觀」에 대하여 _227
『현관장엄론』에서 「정현관頂現觀」의 위치 _227
『이만오천송반야경』에서의 「정현관頂現觀」 _228
8가지 「정현관」에 대해서 _230
<표> 『現觀莊嚴論』 Ⅴ「頂現觀」과 『이만오천송반야경』 _231
「정현관」의 의미 _233
제17장 「무간삼매無間三昧」에 대하여 _235
『이만오천송반야경』에서 「무간삼매」의 위치 _236
『이만오천송반야경』에서 「끊어야 할 전도」 _238
「무간삼매」에 대해서 _238
「끊어야 할 16가지 전도」에 대해 _240
<표> Ⅴ「頂現觀」의 16가지 ⑻「除去해야 할 顚倒」 _242
정리 _243
Ⅵ. 점현관漸現觀
제18장 「점현관漸現觀」에 대하여 _247
『현관장엄론』에서 「점현관」의 위치 _247
『이만오천송반야경』에서의 「점현관」 _249
13가지 「점현관」에 대해서 _250
<표> 『現觀莊嚴論』 Ⅵ漸現觀과 『二萬五千頌般若經』 _251
「점현관」의 의미 _254
Ⅶ. 일찰나현등각一刹那現等覺
제19장 「일찰나현등각」에 대하여 _259
『현관장엄론』에서 「일찰나현등각」의 위치 _259
『이만오천송반야경』에서 「일찰나현등각」 _261
4가지 「일찰나현등각」에 대해서 _262
<표> 『現觀莊嚴論』 Ⅶ「一刹那現等覺」과 『이만오천송반야경』 _263
「일찰나현등각」의 의미 _266
Ⅷ. 법신法身
제20장 「무루지無漏智」에 대하여 _271
『현관장엄론』에서 21가지 「무루지」의 위치 _272
<표1> 『이만오천송반야경』에서 법신 대응 부분 _273
『이만오천송반야경』에서의 21가지 「무루지」 _273
<표2> 21가지 무루법 _275
『현관장엄론』에서의 21가지 「무루지」 _276
21가지 무루지와 삼신설·사신설三身說·四身說 _278
정리 _280
제21장 「자성신自性身」에 대하여 _282
『현관장엄론』에서 자성신의 위치 _282
『이만오천송반야경』에서의 자성신 _284 『현관장엄론』에서의 자성신 _286
자성신의 특상特相 _286
「삼신설三身說」과 「사신설四身說」의 차이 _288
삼신설三身說과 사신설四身說의 계통 _289
정리 _290
제22장 「보신報身」의 「오결정五決定」 _293
『현관장엄론』에서 보신의 위치 _293
『이만오천송반야경』에서의 「보신報身」 _294
『현관장엄론』에서의 「보신」 _296
「보신報身」의 「오결정五決定」 _297
「오결정五決定」의 전거 _298
<표>「보신報身」의 「오결정五決定」 _300
정리 _300
제23장 「응신應身」에 대하여 _303
『현관장엄론』에서 응신의 위치 _304
『이만오천송반야경』에서의 응신 _304
『현관장엄론』에서의 응신 _306
응신의 분류 _306
「최고 응신應身」의 12행업 _307 정리 _308
제24장 「법신의 행업行業」에 대하여 _311
『현관장엄론』에서 법신의 행업 위치 _311
『이만오천송반야경』에서의 법신의 행업 _312
27가지 법신의 행업에 대해서 _314
<표> 『現觀莊嚴論』에서 法身의 27가지 事業 _314
27가지 법신의 행업行業의 의미 _318
전체의 총설 _320
부록 현관장엄론 본송
1. 서품(序品) _325
2. 일체상지품(一切相智品:一切種智) _331
3. 도상지품(道相智品:道智) _346
4. 일체지품(一切智品:基智) _355
5. 일체상현등각(圓滿一切相現觀品:圓滿加行) _360
6. 정현관품(頂現觀品:頂加行) _379
7. 점차현관품(漸次現觀品:漸次加行)[堅固한 獲得을 위한 加行] _391
8. 찰나증대보리품(剎那證大菩提品:刹那加行)[견고함의 획득] _392
9. 법신품(法身品) _393
10. 섭품(攝品:補遺) _404
문헌목록 _405
역자후기 _410
찾아보기 _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