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실은 나도 과학이 알고 싶었어 1

실은 나도 과학이 알고 싶었어 1

(사소하지만 절대적인 기초과학 상식 126)

래리 셰켈 (지은이), 신용우 (옮긴이)
애플북스
15,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4,220원 -10% 2,500원
790원
15,930원 >
14,220원 -10% 2,500원
카드할인 10%
1,422원
15,298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알라딘 직접배송 1개 7,800원 >
알라딘 판매자 배송 19개 3,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9,500원 -10% 470원 8,080원 >

책 이미지

실은 나도 과학이 알고 싶었어 1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실은 나도 과학이 알고 싶었어 1 (사소하지만 절대적인 기초과학 상식 126)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기초과학/교양과학
· ISBN : 9791186639986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19-03-11

책 소개

미국 ‘국민 과학선생님’이 기초적인 과학 지식을 쉽고 재미있게 알려 주는 과학교양서다. 저자는 20여 년간 과학 칼럼을 연재하며 가장 많이 받았던 126가지 질문들을 엄선하여 독자들이 과학적 호기심을 푸는 동시에 삶과 세상에 대한 과학적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게 했다.

목차

서론

1장 우리 몸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 보자
001 우리 몸에는 세포가 몇 개나 있을까?
002 왜 아기와 노인은 자주 아플까?
003 타고나는 점, 모반은 평생 사라지지 않을까?
004 피는 왜 하필 빨간색일까?
005 왜 몸에 안 좋은 음식일수록 당길까?
006 우리가 꾸는 악몽은 어떻게 나타나는 것일까?
007 치아 교정기는 어떻게 이를 바르게 만들까?
008 우리 몸이 O형을 제외한 다른 혈액형을 거부하는 이유는?
009 우리는 왜 눈물을 흘리는 것일까?
010 소아 당뇨병이란 무엇이고, 어떻게 걸릴까?
011 물을 지나치게 많이 마시면 익사할까?
012 재채기할 때 정말 심장이 멈출까?
013 왜 빙글빙글 돌면 구역질이 날까?
014 사람의 뼈는 어떻게 부러지고, 어떻게 낫는 걸까?
015 추울 때 왜 닭살이 돋을까?
016 손발톱은 왜 있을까?
017 사람은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을까?
018 심장은 어떻게 뛰는 걸까?
019 혈관 속 피는 왜 파랗게 보일까?
020 수두는 왜 아이보다 어른에게 치명적일까?
021 왜 머리를 다치면 기억상실증에 걸릴까?

2장 우리 몸의 신비를 좀 더 풀어 보자
022 인간의 몸에는 얼마나 많은 기관이 있을까?
023 딸꾹질은 왜 하며, 어떻게 멈출 수 있을까?
024 인종에 따라 피부색이 다른 이유는 무엇일까?
025 음치는 왜 생기는 걸까?
026 사람의 털은 무엇으로 만들어졌을까?
027 우리는 왜 나이를 먹을까?
028 바들바들 떨리는 눈꺼풀 경련, 왜 일어날까?
029 우리 몸은 어떻게 추운 날씨에 대비할까?
030 다운증후군은 무엇 때문에 발생할까?
031 인간은 어떻게 자랄까?
032 우리의 뇌는 어떻게 작동할까?
033 심장마비는 어떻게 처치할까?
034 마취는 어떻게 이루어지는 걸까?
035 왼손잡이와 오른손잡이는 어떻게 결정될까?
036 나이가 들면 왜 머리카락이 하얘질까?

3장 우리 몸에 대한 호기심을 끝까지 풀어 보자
037 우리는 어떻게 색을 볼까?
038 만능 암 치료제가 개발되는 날이 올까?
039 사람이 최대로 클 수 있는 키는 얼마나 될까?
040 가끔 근육 경련으로 잠에서 깨는 이유가 뭘까?
041 사람은 얼마나 빨리 달릴 수 있을까?
042 왜 뭔가를 한참 보고 나면 다른 색 잔상이 보일까?
043 왜 태풍이 오면 무릎이 쑤실까?
044 재채기할 때 눈이 감기는 이유는 무엇일까?
045 태닝 기계, 과연 안전할까?
046 혈압을 잴 때 청진기에서는 무슨 소리가 들릴까?
047 음료를 마시다가 웃으면 왜 코로 나올까?
048 우리 몸에는 근육이 몇 개나 있을까?
049 눈은 왜 깜빡일까?
050 당황하면 왜 얼굴이 빨개질까?
051 왜 가족 중 나 혼자만 금발일까?
052 우리 눈은 왜 나빠질까?
053 왜 헬륨을 마시면 목소리가 가늘어질까?
054 눈의 동공은 왜 까만색일까?
055 일란성 쌍둥이는 지문도 같을까?
056 방사선에 노출되면 왜 요오드 알약을 먹을까?
057 부검은 무엇이며 어떻게 할까?

4장 땅과 바다, 하늘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 보자
058 뇌우는 왜 대부분 오후에 일어날까?
059 눈은 왜 하얀색일까?
060 그레이트솔트 호수에는 왜 소금이 있을까?
061 자연 상태에서 가장 낮은 온도는 몇 도일까?
062 왜 지평선은 하늘과 땅이 맞닿은 것처럼 보일까?
063 다이아몬드는 어떻게 자를까?
064 비는 왜 내릴까?
065 왜 버뮤다 삼각지대에서 실종 사고가 자주 발생할까?
066 강은 왜 구불구불할까?
067 피뢰침은 집을 보호하는 걸까, 번개를 끌어들이는 걸까?
068 뜨거운 공기는 위로 가는데, 왜 산의 정상이 평지보다 시원할까?
069 바닷물은 왜 짤까?
070 태평양의 깊이는 얼마나 될까?
071 비행기가 지나간 자리에 남는 하얀 연기는 뭘까?
072 고층 건물은 왜 땅으로 꺼지지 않을까?
073 구름은 어떻게 생기고, 색은 어떻게 형성될까?

5장 지구와 달의 비밀을 풀어 보자
074 지구는 왜 둥글까?
075 우주에는 공기가 없는데, 지구에는 어떻게 공기가 존재할까?
076 지구는 왜 회전할까?
077 지구상에서 가장 단단한 물질은 무엇일까?
078 지구는 어떻게 궤도에 머물까?
079 지구의 나이는 어떻게 알 수 있을까?
080 지구의 흙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081 지구에는 왜 중력이 있을까?
082 아무것도 없는 공중에서 무엇이 바람을 일으킬까?
083 달은 왜 낮에도 보일까?
084 오존층이 계속 파괴되면 지구에 무슨 일이 일어날까?
085 달은 왜 크기와 색이 바뀔까?
086 모양을 바꾸는 달에는 어떤 이름이 붙었을까?
087 맑은 날 보름달 주위에 보이는 고리는 뭘까?
088 이른 아침 하늘에서 움직이는 밝은 빛은 뭘까?

6장 지구 밖 우주의 신비를 풀어 보자
089 달에는 왜 크레이터가 있을까?
090 인간이 화성에 갈 수 있을까?
091 토성의 고리는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을까?
092 타지 않고 태양에 얼마나 가까이 갈 수 있을까?
093 지구에서 금성까지 로켓을 타고 가면 얼마나 걸릴까?
094 달은 무거운데 왜 추락하지 않을까?
095 우리 은하는 얼마나 클까?
096 달은 조수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까?
097 핼리 혜성은 언제 다시 올까?
098 행성은 어떻게 움직일까?
099 소행성이 미국에 떨어질 확률은 얼마나 될까?
100 별자리는 몇 개나 있고, 이름은 어떻게 지어질까?
101 산소가 없는 우주에서 태양은 어떻게 불타는 걸까?
102 목성에 있는 붉은 점의 정체는?
103 어떻게 인공위성은 하늘에서 항상 같은 위치에 있을까?
104 블랙홀은 대체 무엇일까?
105 밤하늘의 방문객, 별똥별은 무엇일까?
106 인간은 왜 자꾸 우주에 가려 할까?
107 우주의 다른 곳에 또 다른 생명체가 존재할까?

7장 과학기술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 보자
108 인터넷은 어떻게 개발되었을까?
109 비행기는 어떻게 공중에 뜰까?
110 식물성 기름으로 자동차를 달리게 할 수 있을까?
111 헬리콥터는 어떻게 조종할까?
112 레이저는 어떻게 눈을 다치게 하지 않고 눈 수술을 할 수 있을까?
113 자동차를 설명할 때 쓰는 마력은 무엇일까?
114 왜 풍력으로 전기를 더 많이 만들지 않을까?
115 리모컨은 어떻게 작동할까?
116 마하는 어느 정도의 속도일까?
117 블루투스는 어떻게 작동하는 걸까?
118 최초의 총은 어떻게 작동했을까?
119 자석은 왜 서로 밀고 당길까?
120 레고는 어떻게 맞물리는 걸까?
121 로켓은 어떻게 작동할까?
122 스티로폼은 어떻게 만들까?
123 가솔린 외 어떤 연료가 자동차에 사용될 수 있을까?
124 날씨가 더우면 왜 기차 궤도가 휘어져 탈선이 일어날까?
125 활주로의 길이는 어떻게 정할까?
126 인간의 기술이 진보하는 동안 왜 다른 동물들은 그러지 못했을까?

감사의 말

저자소개

래리 셰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올해의 미국 대통령 과학교사상을 여섯 차례 수상한 과학교사 출신의 대중과학 전문 칼럼니스트. 남서부 위스콘신주 시골의 가족 농장에서 아홉 자녀 중 한 명으로 태어나 자랐다. 대학 졸업 후 교사 일을 시작하였고, 그 후 38년 이상 토마 지역 고등학교에서 4천여 명의 학생에게 물리학과 항공우주과학을 가르쳤다. 대통령상 외에도 올해의 지역 교사상을 세 번 받았고, 콜어워드, 탠디어워드, 위스콘신 물리교사상 등 과학 교육과 관련한 다양한 상을 받았다. 신문과 과학 잡지에 기사를 기고하고, 과학올림피아드 코치이자 로봇공학 멘토로 활동하며 자신의 과학 지식을 나누고 있다. 또한 보이즈앤걸즈 아메리카클럽, 로터리클럽, 어린이 박물관, 과학교사컨벤션 등 여러 단체와 기관에서 강의를 하며 과학이 얼마나 재미있고 실용적인지 알리는 데 힘쓰고 있다. 《항상 궁금했던 것들(I Always Wondered about That》, 《나도 궁금했던 것들(I Wondered about That Too)》, 《계속 궁금한 것들(I Just Keep Wondering)》 등의 책을 썼다.
펼치기
신용우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에서 번역을 전공하고 영어번역가로 활동하면서 ⟪낭만적인 유럽 거리를 수놓다⟫, ⟪기네스 세계기록 2022⟫, ⟪실은 나도 과학이 알고 싶었어⟫, ⟪우리는 실패하지 않았다⟫, ⟪우아하게 랍스터를 먹는 법⟫ 등을 옮겼고, IPTV를 통해 방영된 해외 드라마와 영화도 70편 이상 번역했다. EBS를 통해 방영된 작품으로는 영화 ⟪블레이드 러너⟫, 다큐멘터리 ⟪나의 시, 나의 도시⟫, ⟪데이비드 보위: 지기 스타더스트 마지막 날들⟫ 등이 있으며, 개봉작으로는 ⟪랜드 오브 마인⟫이 있다. 현재 출판번역에이전시 글로하나에서 경제경영, 인문 분야를 중심으로 영미서를 번역, 리뷰하며 ⟪인생이 바뀌는 시간 관리의 비밀⟫, ⟪소크라테스 성공법칙⟫ 등을 번역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011 물을 지나치게 많이 마시면 익사할까?

물은 입을 통해 몸에 들어와 소변, 땀, 수증기의 형태로 배출된다. 그런데 수분이 몸 밖으로 나가는 속도보다 유입되는 속도가 훨씬 빠르면 몸의 유동체가 묽어진다. 이때 신체는 세포의 안팎에 있는 전해질 농도를 유지하려 노력하는데, 삼투압으로 혈액의 전해질 농도(주로 나트륨과 마그네슘)가 세포의 전해질 농도보다 상대적으로 낮아짐으로써 세포가 부어오르게 된다. 만약 이런 현상이 뇌에서 일어나 뇌가 부어오르면 단단한 두개골에 막혀 압력이 올라간다. 이렇게 뇌가 두개골 내부에 갇혀 압박받는 상태가 되면 기능이 손상되는데, 두통이나 메스꺼움, 호흡곤란, 방향감각 상실, 근육 경련, 발작, 혼수상태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결국 사망에 이르게 된다.
- 1장 우리 몸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 보자


044 재채기할 때 눈이 감기는 이유는 무엇일까?

재채기는 코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반사반응이다. 얼굴, 목, 그리고 가슴의 수많은 근육이 재채기를 할 때 동원된다. 재채기의 반사반응은 눈의 근육도 감기게 한다. 반사반응이란 뇌에서 신체가 반응하도록 프로그램화되어 있는 것이다. 그래서 재채기를 할 때 의도적으로 눈을 뜨는 건 불가능에 가깝다. 그런데 간혹 어떤 사람들은 재채기가 나오려 할 때 코를 막아 멈추기도 한다. (...) 평균적인 재채기의 속도는 야구 선수가 던지는 가장 빠른 야구공의 속도인 시속 160킬로미터 정도라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TV프로그램 〈호기심 해결사〉의 아담 새비지와 제이미 하이네만이 과학 실험을 통해 재채기의 속도를 측정해 보니, 아담은 시속 56킬로미터, 제이미는 63킬로미터로, 기존에 알려진 160킬로미터에는 한참 못 미쳤다.
- 3장 우리 몸에 대한 호기심을 끝까지 풀어 보자


090 인간이 화성에 갈 수 있을까?

화성은 생각처럼 아무 때나 갈 수 있는 곳이 아니다. 화성에 우주선을 보낼 수 있는 특정 시간대를 ‘발사 윈도(launch window)’라고 한다. 우주선은 반드시 정확한 발사 시간대에 이륙해 정확한 시간에 착륙하고, 임무를 수행한 뒤 복귀선과 만나야 한다. 발사 시간은 지구에 있는 발사대의 위치와 목표물의 위치, 즉 화성의 공전 위치에 따라 결정된다. 화성행 발사 윈도는 26개월마다 열린다. 우주선 발사는 움직이는 표적(화성)에 다트를 던지는 것과 비슷한데, 심지어 던지는 사람이 서 있는 땅(지구)도 움직이는 셈이다. (...) 물론 인간은 화성에 갈 수 있다(아직까지 유인우주선이 화성에 간 적은 없지만). 하지만 이 여정은 비용이 굉장히 많이 들고, 위험하며, 오랜 시간이 걸린다. 경제적인 효과는 말해 봐야 논쟁만 일으킬 뿐이다. 예를 들어, 화성의 토양에 철이 많다지만 철은 지구에도 엄청난 양이 있다. 달에는 3일이면 가지만 화성은 편도로 8개월이 걸린다. 잠시 머무른 뒤 돌아오는 데 또 8개월이 걸리니, 화성을 왕복하려면 최소 16개월 이상이 소모된다. 그 기간 동안 사방이 막힌 우주선 안에서 가족과 친구들로부터 멀리 떨어진 채 의료 시설도 이용하지 못하면서 매일 똑같은 동료들과 생활하려면 엄청난 정신력이 필요하다.
- 6장 지구 밖 우주의 신비를 풀어 보자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57713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