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문제 > 노동문제
· ISBN : 9791186749111
· 쪽수 : 332쪽
· 출판일 : 2020-05-01
책 소개
목차
감사의 말
서문 모자와 삶
제1부 사회(무)질서의 지도 그리기: 왜 기본소득인가?
제1장 엘리트주의의 수직적 정책과 사회심리학
제2장 자연 발생적인 사회질서라는 속임수
제3장 자유주의-사회유기체설의 결합
제4장 감독에 저항하기: 갈등으로 대립하는 사회를 문명사회로 이끄는 동지애
제2부 시선 견디기: 공화주의와 민주주의
제1장 사회경제적 독립과 공동의 세계
제2장 협상력: 새로운 문으로 들어가기 위해 떠남을 고려할 수 있는 힘
제3장 시민권의 보편화 그리고 재산의 보편화
제4장 무조건적 자유: 사전분배로서의 기본소득
제3부 다양한 활동으로 구성된 유연한 삶: 사회권력의 여러 차원들
제1장 기본소득과 노동의 민주화
제2장 우리는 왜 협상력을 원하는가?
제3장 유연성이라는 자유
제4부 꿈의 종말: 탈신자유주의
(우리에게는 왜 지금 기본소득이 필요하며, 그것을 어떻게 획득할 것인가?)
제1장 ‘다시 모든 것을 원하기’: 현대 사회운동의 흐름 속 기본소득
제2장 시장에 기댄 사회인가, 시장을 가진 사회인가?
제3장 공통의 관습 되찾기: 민중의 정치경제는 어떤가?
제4장 기본소득이 보장된 사회의 덕 윤리와 노동 유인: 프롤레타리아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노동자로
에필로그 자본주의의 경계에서 무조건적 자유를 외치다
참고문헌
찾아보기
책속에서
이 책은 조건적 자유라는 체제하에 살아가는 이들, 즉 압도적 다수인 우리 모두와 함께, 우리 모두를 위해 쓰였다. 우리가 사는 지금이 느린, 때로는 속을 뒤집어 놓을 만큼 느리고, 방황하더라도 결코 멈추지 않을 민주주의 혁명의 시대라는 말이 사실이기를 바란다. 민주주의 혁명으로 우리는 자유를 모두가 조건 없이 온전히 접근할 수 있는 재산으로 만들어야 할 것이다.
이 책은 기본소득을 축으로, 오늘날 노동 인구가 자기 삶을 되찾는 데 이용하고 있고 앞으로 이용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와 정책과 수단을 탐구하기 위한 책이다. 그렇기에 기본소득은 신성화 된 우상이 되어서는 안 되겠지만, 등대로 기능할 수는 있다. 실제로 기본소득이 무조건적으로 지급된다는 특징은 삶이란 상품이 아니라는 점을, 선을 넘지 않아도 된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렇듯 기본소득이라는 제안은 우리가 자유로운 주체이자 집단으로 생각하고 행동하는 데 필요한, 매우 다양한 성질의 상징적 장치와 물질적 환경으로 구현된 사회정치적 국가들을 상상해보는 전도유망한 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