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육아 > 자녀 심리
· ISBN : 9791187124672
· 쪽수 : 184쪽
· 출판일 : 2020-05-22
책 소개
목차
1부 적성의 이해
1. 적성에 대한 오해를 풀자 15
2. 적성의 정확한 개념을 알자 19
3. 적성의 심리적 요인 4가지를 알자 23
4. 자녀의 성격을 파악하자 28
2부 적성의 요인 : 성격
1. 성격에 맞지 않는 일을 하게 되면? 35
2. 자녀의 성격을 파악하는 방법 40
3. 우리 아이는 어떤 유형일까? 43
4. 리더형의 아이 54
5. 사교형의 아이 56
6. 분석형의 아이 58
7. 조화형의 아이 60
3부 적성의 요인 : 능력
1. 자녀의 능력을 파악하자 65
2. 아이가 언어지능이라면 74
3. 아이가 논리수학지능이라면 77
4. 아이가 공간지능이라면 81
5. 아이가 신체운동지능이라면 84
6. 아이가 음악지능이라면 87
7. 아이가 자기성찰지능이라면 90
8. 아이가 대인관계지능이라면 94
9. 아이가 자연친화지능이라면 97
4부 적성의 요인 : 흥미
1. 자녀의 흥미를 알자 103
2. 현장형 110
3. 탐구형 114
4. 예술형 117
5. 사회형 120
6. 기업형 123
7. 관습형 125
8. 성격과 능력과 흥미의 관계 128
5부 적성의 요인 : 가치관
1. 직업가치관이란? 133
2. 내 아이의 직업가치관을 알자 136
6부 적성의 4가지 요인의 종합
1. 4요인을 종합하여 자녀의 진로를 가늠해본다 145
2. 표로 알아보는 자녀의 적성 찾기 149
3. 주변 환경 요인들 152
7부 적성의 부수적인 요인
1. 신체적 조건과 외모 157
2. 가정환경과 경제력 161
3. 사회, 문화적 환경의 고려(직업전망) 166
8부 적성 교육을 해야하는 이유
1. 적성에 맞지 않는 일은 개인적, 사회적 낭비와 불행 175
2. 자녀의 행복한 삶을 위한 부모의 역할 177
맺음말 181
책속에서
기술한 대로 4가지 심리적 구성은 성격, 능력, 흥미 및 가치관이다. 풀어서 설명하자면 성격은 타고난 것과 형성된 것이 합쳐진 그 사람의 자연스러운 행동과 사고방식이라 할 수 있다. 능력은 말 그대로 그 사람이 잘하는 것, 흥미는 좋아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가치관은 직업을 통해서 추구하고자 하는 바, 얻고자 하는 덕목을 말한다.
- (중략) -
능력은 말 그대로 그 사람이 잘하는 것, 스스로 잘한다고 여기거나 재주가 있다고 생각하는 요인이다. 각자의 사람마다 상대적으로 자신이 잘하는 분야, 또는 좀 더 쉽게 배울 수 있는 분야가 있을 텐데 이렇게 자신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분야를 직업으로 선택하면 다른 사람들보다 더 쉽게 적응하고 높은 효율을 기대할 수 있다.
- (중략) -
흥미는 ‘내가 즐기는 것’으로 사전적 의미는 어떤 대상에 대하여 특별히 주의하려고 하는 감정, 경향 혹은 태도라고 볼 수 있다. 즉 어떤 활동에 대해 자신이 가지고 있는 특별한 능력이나 기술에 상관없이 개인이 관심을 가지고 있고 좋아하는 것을 말한다. 흥미는 그 대상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좋아하는 느낌을 포함한다.
사람들이 행복한 삶을 살아가는 데 가장 중요한 조건 중의 하나는 바로 자신이 하는 일에 대한 만족이라고 한다. 자신의 진로선택에 있어서 흥미가 있는 분야를 선택하게 된다면 즐겁게 일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에 대한 보람과 함께 자아실현에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탐구형 사람들은 탐구심이 많고 논리적이며, 분석적이고, 합리적이며, 정확하고 지적인 호기심이 많다. 이들은 자신들의 지적 능력을 사용할 수 있는 활동을 즐기는 경향이 있는데 탐구들의 환경은 사람들이 수학적 또는 과학적 흥미와 능력을 통해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으려고 하는 경향이 있다. 그런 환경에서 사람들은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복잡하고 추상적인 사고를 한다.
‘4가지 적성요인 중 우리 아이에게는 어떤 것이 더 중요할까?’
사람의 적성의 4가지 구성요인은 누구나 가지고 있는 것이지만 사람마다 각 요인의 중요성이 다르다. 이제 4가지 요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자녀의 적성을 파악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성격, 능력, 흥미, 가치관 중 사람의 전체적인 적성의 구조를 결정하는 요인은 바로 가치관이다. 앞서 보았듯이 가치관은 크게 외적-내적 가치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만일 우리 아이가 외적 가치관이 강하다고 하면 직업의 성취도가 높지 않아서는
만족할 수 없을 것이다. 그래야 외적 가치가 수반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4가지 요인 중 성취도를 높일 수 있는 일을 찾는 데 가장 관련이 깊은 요인은 무엇일까. 바로 능력요인이다. 능력요인은 잘하는 분야를 찾기 위한 것으로 성취도와 직접적인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외적가치관의 경우 주로 능력요인에 따라서 잘할 수 있는 분야를 찾아서 성취도를 높이도록 진로지도를 하되 부수적으로 자녀의 흥미나 성격 등 성질을 고려하여 분야를 결정하는 것이 올바른 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