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역사
· ISBN : 9791187274209
· 쪽수 : 269쪽
· 출판일 : 2020-06-30
책 소개
목차
권두언 박창훈 · 8
아프리카 악숨 왕조의 기독교 수용과 로마제국-인도양의 무역로의 역할
이은선 · 10
Status Quaestionis: 요한 크리소스톰 가난 연구의 과거, 현재, 미래
배정훈 · 47
조나단 에드워즈의 성향 재해석: 창조의 필연성과 하나님 자유의 양립 가능성
김성태 · 86
광주지역 최초 근대화 교육 기관 설립 연구(도둠교회 설립 역사와 주간학교 운영을 중심으로) 김호욱 · 110
길선주(吉善宙) 목사의 민족애와 현재적 함의 고찰: 그의 ‘韓民族言約史觀’을 중심으로 안수강 · 135
초기 한국 장로교 대구·경북지방 조사의 역할과 활동 김병희 · 174
사건(event)으로서의 교회: 칼 바르트의 교회론 연구 이성호 · 220
부록 · 251
저자소개
책속에서
첫째, 가난의 유형과 구제의 형태, 실천과 같은 역사적인 문제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코스탄조와 마이어와 같은 소수의 학자들이 현대 사회학적 가난개념을 적용하여 요한의 작품에서 언급되는 가난한 자들의 정체와 특징을 규명하려고 했지만 4세기의 역사, 문화, 경제적 상황에서의 분석은 프라스만의 매우 간략한 언급 외에는 아직 시도되지 않았다. 요한이 가난을 지칭하기 위해 어떤 용어를 사용했으며 구체적으로 어떤 범주인지에 대한 상세한 연구가 요구된다. 구제의 형태에 관한 분석도 부분적이며 단편적으로 이루어져 있다. 학자들은 주로 요한에 의한 제도적인 구제, 즉 교회의 구호사업을 다루었는데 개인에 의한 직접적인 구제에 대한 강조와 같은 중요한 문제들은 거의 연구되지 않았다. 요한이 구제대상의 한계를 어디에 두었으며 왜 제도적인 구제보다는 직접적인 구제를 강조했는지 등은 앞으로 많은 연구가 필요한 분야이다. 둘째, 그리스-로마 철학적 배경에서의 접근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학자들은 주로 신학적, 금욕적, 사회-경제-문화적, 그리고 그에 수반되는 수사적 요소들에 초점을 두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