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청년팔이 사회

청년팔이 사회

(세대론이 지배하는 일상 뒤집기)

김선기 (지은이)
오월의봄
16,9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210원 -10% 0원
840원
14,37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1,830원 -10% 590원 10,050원 >

책 이미지

청년팔이 사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청년팔이 사회 (세대론이 지배하는 일상 뒤집기)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비평/칼럼 > 한국사회비평/칼럼
· ISBN : 9791187373919
· 쪽수 : 324쪽
· 출판일 : 2019-06-13

책 소개

전국/서울청년정책네트워크, 청년유니온 등의 청년단체 활동을 지속하며 10년 이상 청년 담론 및 세대 담론을 탐구해온 저자 김선기는 (세대주의와 연령주의에 기초한) 청년 담론이 오히려 청년들의 가능성을 막고, 그들을 유별난 존재로 분리시킨다고 진단한다.

목차

들어가며・・・6
감사의 말・・・14

1장. 이것도 청년, 저것도 청년 17
1. 5포세대가 된 ‘성실한 나라의 앨리스’・・・18
2. ‘세대’, 일상을 지배하다・・・29

2장. 세대론 홍수: 신세대부터 N포세대까지 47
1. ‘신세대’의 탄생・・・54
2. 세대 정치의 등장・・・66
3. ‘88만원세대’를 의심한다・・・79
4. ‘청년세대’, 전쟁터가 되다・・・90
5. ‘청년’이라는 이름의 방패막・・・115

3장. ‘청년세대’ 담론, 이 불편함의 정체는 무엇인가 133
1. ‘청년’은 어떻게 생산되는가?・・・139
2. ‘20대 투표율’ 신화・・・156
3. 학벌주의, 문제는 20대 대학생?・・・173
4. ‘청년세대’를 둘러싼 ‘아무 말’ 대잔치・・・182
5. ‘삼포세대’ 파헤치기 (1): 누구의 포기이고 누구의 위기인가・・・196
6. ‘삼포세대’ 파헤치기 (2): ‘N포세대론’, 어디서 멈췄나・・・209
7. ‘청년’을 위한 언론은 없다・・・217

4장. ‘청년세대’ 담론 다시 쓰기 231
1. ‘청년’,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는 집단・・・235
2. 청년은 청년이 잘 안다?: 청년당사자운동의 명암・・・246
3. ‘청년’ 명함: 기회인가 위기인가?・・・261
4. ‘상상된 공동체’, 청년세대: 배제된 자들의 연대・・・271

나가며: ‘탈-청년’을 위하여 281

미주・・・291
참고문헌・・・307
찾아보기・・・317

저자소개

김선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문화연구자. 연세대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미디어문화연구전공 과정에서 석사논문 「‘청년세대’ 구성의 문화정치학: 2010년 이후 청년세대담론에 관한 비판적 분석」을 썼으며, 장–특정적 세대에 관해 박사논문을 쓰고 있다. 『청년팔이 사회』를 썼고 탐구 시리즈로 출간될 두 번째 책을 쓰고 있다. 세미나, 학술대회와 같은 여러 활동을 조직하고 청년 정책에 참여하면서 《한편》, 《교차》, 《서울리뷰오브북스》, 《문화과학》 등에 글을 싣는 등 지면과 현장을 넘나들고 있다.
펼치기
김선기의 다른 책 >

책속에서

세대주의 개념이 내포하는 문제의식은 ‘요즘 젊은 여자들의 직장 문화는 다르다’ ‘요즘 젊은 애들은 철이 덜 들었다’ 등과 같은 말들 자체의 진실성을 따지고 드는 것과는 거리가 있다. 그런 말들 하나하나가 맞는지 틀린지는 별도로 따져볼 문제다. 내가 묻고자 하는 것은 우리는 도대체 왜 ‘세대’만을 이야기하고, 다른 것들은 의식적으로든 무의식적으로든 논의에서 배제하는가이다.


세대주의가 어떻게 발생하게 되었는지 인과적으로 설명하는 것보다 지금 ‘세대’나 ‘청년’이라는 단어가 활용되고 있는 방식과 그 방식들의 전제를 명확하게 이해함으로써 그것과 단절하는 방법을 찾는 것이 훨씬 시급할지 모른다.


‘청년세대의 탈정치화’라는 진단은 기껏해야 이들 연령대가 현재 다른 연령대에 비해 선거 투표율이 낮다는 자료에 의존한다. 투표나 학생운동의 틀로는 포착되지 않는 대안적인 정치 형태가 존재한다는 점을 완전히 간과하고 있는 것이다. 청년들이 자신의 삶에서 실천하는 일상의 정치는 잘 주목하지 않는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90422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