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비평/칼럼 > 한국사회비평/칼럼
· ISBN : 9791187373919
· 쪽수 : 324쪽
· 출판일 : 2019-06-13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6
감사의 말・・・14
1장. 이것도 청년, 저것도 청년 17
1. 5포세대가 된 ‘성실한 나라의 앨리스’・・・18
2. ‘세대’, 일상을 지배하다・・・29
2장. 세대론 홍수: 신세대부터 N포세대까지 47
1. ‘신세대’의 탄생・・・54
2. 세대 정치의 등장・・・66
3. ‘88만원세대’를 의심한다・・・79
4. ‘청년세대’, 전쟁터가 되다・・・90
5. ‘청년’이라는 이름의 방패막・・・115
3장. ‘청년세대’ 담론, 이 불편함의 정체는 무엇인가 133
1. ‘청년’은 어떻게 생산되는가?・・・139
2. ‘20대 투표율’ 신화・・・156
3. 학벌주의, 문제는 20대 대학생?・・・173
4. ‘청년세대’를 둘러싼 ‘아무 말’ 대잔치・・・182
5. ‘삼포세대’ 파헤치기 (1): 누구의 포기이고 누구의 위기인가・・・196
6. ‘삼포세대’ 파헤치기 (2): ‘N포세대론’, 어디서 멈췄나・・・209
7. ‘청년’을 위한 언론은 없다・・・217
4장. ‘청년세대’ 담론 다시 쓰기 231
1. ‘청년’,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는 집단・・・235
2. 청년은 청년이 잘 안다?: 청년당사자운동의 명암・・・246
3. ‘청년’ 명함: 기회인가 위기인가?・・・261
4. ‘상상된 공동체’, 청년세대: 배제된 자들의 연대・・・271
나가며: ‘탈-청년’을 위하여 281
미주・・・291
참고문헌・・・307
찾아보기・・・317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세대주의 개념이 내포하는 문제의식은 ‘요즘 젊은 여자들의 직장 문화는 다르다’ ‘요즘 젊은 애들은 철이 덜 들었다’ 등과 같은 말들 자체의 진실성을 따지고 드는 것과는 거리가 있다. 그런 말들 하나하나가 맞는지 틀린지는 별도로 따져볼 문제다. 내가 묻고자 하는 것은 우리는 도대체 왜 ‘세대’만을 이야기하고, 다른 것들은 의식적으로든 무의식적으로든 논의에서 배제하는가이다.
세대주의가 어떻게 발생하게 되었는지 인과적으로 설명하는 것보다 지금 ‘세대’나 ‘청년’이라는 단어가 활용되고 있는 방식과 그 방식들의 전제를 명확하게 이해함으로써 그것과 단절하는 방법을 찾는 것이 훨씬 시급할지 모른다.
‘청년세대의 탈정치화’라는 진단은 기껏해야 이들 연령대가 현재 다른 연령대에 비해 선거 투표율이 낮다는 자료에 의존한다. 투표나 학생운동의 틀로는 포착되지 않는 대안적인 정치 형태가 존재한다는 점을 완전히 간과하고 있는 것이다. 청년들이 자신의 삶에서 실천하는 일상의 정치는 잘 주목하지 않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