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손종흠 교수의 왕릉 역사 기행

손종흠 교수의 왕릉 역사 기행

(수로왕릉부터 광해묘까지 왕릉에 살아 숨쉬는 역사와 신화)

손종흠 (지은이)
앨피
16,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120원 -10% 0원
840원
14,28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9,900원 -10% 490원 8,420원 >

책 이미지

손종흠 교수의 왕릉 역사 기행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손종흠 교수의 왕릉 역사 기행 (수로왕릉부터 광해묘까지 왕릉에 살아 숨쉬는 역사와 신화)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문화/역사기행 > 한국 문화/역사기행
· ISBN : 9791187430056
· 쪽수 : 392쪽
· 출판일 : 2016-10-25

책 소개

방송통신대학교의 '입담꾼'으로 불리는 국어국문학과 손종흠 교수의 본격 왕릉 기행서. 대학에서 우리 고전시가를 가르치고 있는 손종흠 교수의 '생활 전공'은 여행을 넘어선 기행紀行이다. 책에는 가야의 김수로왕릉부터 조선 중기의 광해군묘까지 총 18개의 왕 무덤 이야기가 실려 있다.

목차

머리말 반쪽은 하늘에 걸리고, 반쪽은 땅에 잠긴
매개와 소통의 공간

1. 수로왕릉首露王陵 │ 바다를 향한 거북왕의 마음
가야 여섯 왕을 불러낸 노래
북방계와 남방계가 섞인 건국신화
허황옥, 약속하고 만난 사이?
수로왕릉 제사에서 비롯된 성묘 풍습
일제가 ‘거북’ 목을 자른 이유

2. 혁거세왕 오릉五陵 │ 우물가에 떨어진 자주색 알이 품은 뜻
혁거세의 능일까, 박씨 왕가의 능일까
우물이 점지한 왕과 왕비
혁거세를 낳았다는 ‘사소’ 여인의 정체
고대 천문기구였던 우물 ‘나정’
신라·고려·조선의 합작품, 오릉

3. 탈해왕릉脫解王陵 │ 고대사 미스터리 품은 도래인
가야에 도착한 신라의 두 번째 시조
혁거세, 수로, 탈해의 연관성
“나는 대장장이 가문 사람이오”
처음 묻힌 ‘소천의 언덕’은 어디에

4. 선덕여왕릉善德女王陵 │ 도솔천에서 다시 태어나리!
죽을 날과 묻힐 곳 점지한 예지력
“틀림없이 향기 없는 꽃일 것”
여근곡에 숨어든 백제 병사들
낭산은 신라 문화 유적의 보고

5. 김춘추 무열왕릉武烈王陵 │ 출중한 능력으로 ‘진골 천하’를 이루다
진골 연합 성사시킨 ‘문희의 꿈’
고구려와 당 오간 ‘귀토설화’ 주인공
원효의 노래를 알아들은 지혜의 소유자

6. 문무왕 수중릉水中陵 │ 죽어서 동해 용이 되리
전쟁을 헤쳐 나간 준비된 태자
고구려·백제와 신라는 하나다
만파식적의 유래
수도검침원이 발견한 비석 조각

7. 헌강왕릉憲康王陵 │ 기우는 국운을 되살리려 애썼으나
서로 즐기며 칭찬한 쇠망의 시기
헌강왕이 등용한 용왕의 아들, 처용
신라가 절박하게 처용을 모신 까닭
56명의 신라 왕 중 문장이 가장 뛰어났으나
자연 붕괴된 무덤 안을 조사해 보니

8. 선덕여왕릉善德女王陵 │ 도솔천에서 다시 태어나리!
죽을 날과 묻힐 곳 점지한 예지력
“틀림없이 향기 없는 꽃일 것”
여근곡에 숨어든 백제 병사들
낭산은 신라 문화 유적의 보고

9. 김춘추 무열왕릉武烈王陵 │ 출중한 능력으로 ‘진골 천하’를 이루다
진골 연합 성사시킨 ‘문희의 꿈’
고구려와 당 오간 ‘귀토설화’ 주인공
원효의 노래를 알아들은 지혜의 소유자

10. 문무왕 수중릉水中陵 │ 죽어서 동해 용이 되리
전쟁을 헤쳐 나간 준비된 태자
고구려·백제와 신라는 하나다
만파식적의 유래
수도검침원이 발견한 비석 조각

11. 헌강왕릉憲康王陵 │ 기우는 국운을 되살리려 애썼으나
서로 즐기며 칭찬한 쇠망의 시기
헌강왕이 등용한 용왕의 아들, 처용
신라가 절박하게 처용을 모신 까닭
56명의 신라 왕 중 문장이 가장 뛰어났으나
자연 붕괴된 무덤 안을 조사해 보니

12. 경순왕릉敬順王陵 │ 신라 도읍이 보이는 도라산 언덕에 서서
김-박-김, 신라 왕계가 바뀐 사연
‘마의’태자의 반대에도 신라를 고려에 바치니
낙랑공주가 지어 준 ‘도라산都羅山’ 암자
1973년 군사 지역에서 발견된 돌비석
천 년을 살아남은 경이로움

13. 공양왕릉恭讓王陵 │ 세 개의 능으로 남은 비운의 왕
임금이 되고 싶지 않았던 마지막 임금
함씨 형제의 본관을 가른 충심
삽살개가 지키는 고양 공양왕릉

14. 태조 이성계 건원릉健元陵 │ 500년 조선 왕릉의 표준
태조 묘를 벌초하지 않는 이유
4개의 공간, 2개의 영역
제향의 공간에서, 전이의 공간으로
혼백의 외유까지 고려한 능침 공간
엄격하고 촘촘한 사회체제의 상징물

15. 문종 현릉顯陵 │ 한 많은 세월 끝에 비로소 만나니
부부가 72년 만에 나란히 눕다
“내 집을 부수니 어디에 혼백을 붙일고”
중종 대까지 이어진 소릉 복권 운동
“나 때문에 고생이 많구나”

16. 단종 장릉莊陵 │ 죽어서 ‘대왕’으로 숭배받다
죽음과 매장에 얽힌 갖가지 이설異說
사릉에서 옮겨 심은 소나무 한 그루
불행한 임금, 태백산 산신령으로 거듭나다

17. 선조 목릉穆陵 │ 문화적 융성기 ‘목릉성세’의 실체
사화에 이은 당파 싸움, 그리고 임진왜란
파헤쳐지고 옮겨지고, 왕릉 수난사
오랜 전란으로 엉성하게 만들어진 석물

18 광해군묘光海君墓 │ 죽음조차 강등된, 초라하기 짝이 없는
복권되지 못할 ‘천륜죄’의 빌미
성공한 임금, 불행한 아들
감시자들도 눈치 못 챈 고독한 죽음
기본적인 능묘 구도조차 지키지 않은…

저자소개

손종흠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명예교수 1954년에 경상북도 예천에서 태어났다. 경북 영주 제일고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공부하였으며, 같은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제주와 부산에서 지역대학장을 역임했고, 일본방송통신연구소 객원연구원, 일본 도쿄대학교 객원연구원을 지냈다. 《손종흠의 고전문학기행》, 《다시 읽는 한국신화》, 《한국의 다리》, 《손종흠 교수의 고전시가 미학강의》, 《손종흠 교수의 왕릉역사기행》, 《지역문화와 문예콘텐츠》 등 다수의 저서와 역서가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874306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