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두타초 2

두타초 2

(충남대학교 한자문화연구소)

이하곤 (지은이), 정만호, 오승준, 이재숙 (옮긴이)
문진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0,000원 -0% 0원
300원
29,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두타초 2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두타초 2 (충남대학교 한자문화연구소)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우리나라 옛글 > 산문
· ISBN : 9791187638247
· 쪽수 : 628쪽
· 출판일 : 2018-12-28

책 소개

이하곤은 18세기 전반의 대표 문인이며 서화비평가로 주목을 받는 인물이다. 그의 문집 <두타초>에 수록된 2천 수 이상의 시(詩)와 180여 편의 문(文)은 학계의 관심을 끌기에 충분한 내용과 분량의 자료이다.

목차

일러두기∙4

두타초 제3책
시詩

명중이 보내온 시의 운에 맞춰 짓다 次明仲寄示韵∙31
가을밤에 일원에게 들렀는데, 사포서의 숙직 날이라 만나지 못하였다.
서글픈 마음에 적다 秋夜步過一源 値圃直不遇 悵然有述∙32
중추절 밤에 달빛이 매우 고왔다. “일년명월금소다”를 운자로 삼아 짓다
仲秋夜月色甚佳 以一年明月今宵多爲韵賦此∙33
가을 창가 秋牕∙38
한강 가에서 배를 타고 구호로 올라가다 自漢皐 舟上鷗湖∙39
장차 인천 종모님의 장례에 가려고 새벽에 오리촌을 출발하다
將赴仁川從母葬 曉發梧里村∙40
번포에서 밤에 앉아 여러 사람들과 시를 짓는데 소 자를 얻었다
樊圃夜坐 同諸子賦 得宵字∙41
자리를 파하고 돌아갈 때 써서 여러 벗들에게 보여 주다
將罷歸 書示諸友∙45
눈 내리는 날 이청산 숙겸 의 집에 모여 명나라 율시의 운자를 따서 입으로
부르다 무자년 雪日小集李靑山 叔謙 家 拈明律韵口號 戊子∙46
길을 가다가 김인수 군을 만났기에 적어 보여 주다
途中逢金君仁叟書示∙47
삼가 옥오재 선생의 증별시에 화운하다 敬和玉吾先生贈別韵∙48
다시 한 수를 지어 남은 감회를 쓰다 又賦一首 以述餘懷∙49
남쪽 골짝에 눈 내리는 밤에 군형이 들러 주니 반가웠다 정해년
南谷雪夜 喜君馨見過 丁亥∙51
고성 군수 박태성 만사 무자년 朴高城 泰成 挽 戊子∙52
또 짓다 又∙56
삼청동 연회 자리에서 좌주 강 상서의 운자에 맞춰 짓다
三淸宴席上 次座主姜尙書韵∙58
다음 날 다시 삼청동에 모여 앞의 운자에 맞춰 동방의 여러 사람들과
연구로 짓다 翌日復會三淸洞 與諸同年聯句 次前韵∙59
연구로 짓는데 또 군 자를 얻었다 聯句 又得君字∙60
가을날의 감회 秋懷∙61
홀로 앉아서 獨坐∙62
거듭 군 자 운으로 지어서 여러 동년들에게 부쳐 보여 주다
復疊君字 寄示諸同年∙63
거듭 앞의 운자로 지어서 윤일지에게 보여 주다
更疊前韵 示尹一之∙69
이군경의 전 자 운에 맞춰 짓다 次李君敬氊字韵∙71
매산 숙부님께서 올해 75세가 되셨으니, 우리 가문에 드문 경사이다.
종계에서 잔치를 마련하여 축하할 때, 종질 석록이 잔치 자리에서
축하하는 시를 올리기에 그 운자에 맞춰 짓다 梅山叔父今年七十五歲
吾家希有之慶也 自宗契設宴以壽 從姪錫祿席上献賀詩 仍次其韵∙72
호남에 군수로 나가는 사람을 전송하다 送人之郡湖南∙73
이 부인 만사 李夫人挽∙74
재천이 서른 살에 처음으로 아들을 낳았다. 기쁜 마음에 짓다
載天年三十 始得男 志喜有作∙79
12월 30일에 분암에서 회포를 쓰다 臘月三十日 墳庵書懷∙80
양산에서 제석에 밤을 지새우며 감회가 있어서
陽山除夕 守歲有感∙81
판교의 여관에서 묵다 기축년 宿板橋店 己丑∙82
한강으로 가는 길에 漢江途中∙83
판관 박세집 만사 朴判官 世集 挽∙84
계양으로 가서 고모부 홍만적의 장례를 지켜보고 돌아오는 길에
일원 이병연 등 여러 사람과 함께 잠두봉에 오르니 감회가 있었다 2수
往桂陽 觀洪叔 萬迪 葬 歸路同李一源 秉淵 諸人 登蠶頭有感 二首∙85
일원이 절구 세 수를 부쳐 보여 주었다. 읊조리고 난 뒤에 서글픈 마음을
견딜 수 없어 그 운에 맞춰 짓다
一源寄示三絶 諷誦之餘 不勝愴然 仍次其韵∙87
도장, 일원, 김도이 시좌, 김사수 시민 등 여러 명과 함께 경복궁을
유람하고 두자미의 운에 맞춰 각각 짓다
同道長一源金道以 時佐 金士修 時敏 諸人 遊景福宮 次杜子美韵各賦∙89
도장의 운에 맞춰 짓다 次道長韵∙90
몽어정에서 두보의 율시를 차운하여 한씨 어른 세량 을 모시고 짓다
夢漁亭 次杜律韵 陪韓丈 世良 同賦∙91
태백산으로 사서를 고찰하러 가는 내한 신정보 정하 를 전송하다
짧은 편지와 함께 送申內翰正甫 靖夏 考史太白 幷小牘∙92
중추절 밤에 도장이 마침 들렀기에 추 자를 얻어 함께 짓다
中秋夜 道長適過 得秋字同賦∙94
성을 나서며 홍여관에게 보여 주다 出城示洪汝寬∙95
두미로 가는 길에 2수 斗尾途中 二首∙96
분원에서 비가 내리는 가운데 쓸쓸히 홀로 앉아 있다가
分院雨中 獨坐悄然∙98
새벽에 일어나 曉起∙99
마을 사람이 국화 몇 가지를 가져왔으므로 병에 꽂고 백형 박종양 과
마주 앉아 술잔 나누니, 객지의 풍미가 또한 나쁘지 않았다
得村人菊花數枝 揷甁中 與伯亨 朴宗陽 對酌一杯 客中風味 亦自不惡∙100
새벽에 일어나 회포를 쓰다 曉起書懷∙101
먼저 돌아가는 여관을 전송하다 送汝寬先歸∙102
적막한 가운데 岑寂∙103
밤에 앉아 있다가 즉흥적으로 짓다 夜坐卽事∙104
비가 내리는 가운데 박백형 종양 에게 보여 주다
雨中示朴伯亨 宗陽∙105
다시 앞의 운을 사용하여 장난 삼아 짓다 復用前韵 戲作∙106
분원에서 20여일 지내다가 무료하여 두자미의 기주가 형식을 따르고
속어를 섞어 장난 삼아 절구를 짓다 7수
住分院二十餘日 無聊中效杜子美夔州歌體 雜用俚語 戲成絶句 七首∙107
술병에 장난 삼아 쓰다 戲書酒壺∙110
남한산성 잡시 8수 南漢雜詩 八首∙111
남한산성에서 분원으로 가는 길에 즉흥적으로 짓다 절구 2수
自南漢向分院途中 卽事 二絶∙116
우천으로 가다가 식암공의 묘소에 들러 감회가 있었다 2수
往牛川 省息庵公墓 有感 二首∙117
길을 가다가 쌀과 땔감을 운송하는 관리를 보고 감회가 있었다
途中見輸米柴官者 有感∙120
스스로를 웃다 自笑∙121
신원으로 가는 길에 新院途中∙122
판교촌에서 板橋村∙123
지난날을 생각하다 憶昨∙125
험천에서 險川∙127
직곡촌에서 直谷村∙130
백잔령에서 栢棧嶺∙133
길을 가다가 즉흥적으로 짓다 途中卽事∙134
승부원에서 눈을 만나다 乘負院逢雪∙135
죽산산성에서 竹山山城∙136
봉덕사에서 잠시 쉬다가 윤이경 영감이 떠올라 감회가 있었다
小憩鳳德寺 懷尹令 以經 有感∙138
주거령에서 駐車嶺∙139
길에서 두타산을 바라보다 途上望陀山∙141
장판에서 長板∙142
새로 돌아오니 매우 기뻤다 新歸喜甚∙143
권 부마의 묘소를 지나며 經權駙馬墓∙144
저물녘에 원통촌에 들르다 暮過圓通村∙145
청주부에서 淸州府∙146
길 가에 소나무 두 그루가 구불구불 서려 있어 그늘에 수십 명이
들어갈 만하였다 道傍有雙松 夭矯盤屈 可蔭數十人∙148
아침 일찍 길을 가면서 早行∙149
잠시 길 가의 솔숲에서 쉬는데, 시내 건너의 초가 정자가 매우 산뜻하였다.
바빠 끝내 올라보지 못하였으니, 마음이 심히 서글펐다
少憩路傍松林 隔溪見一艸亭極蕭灑 悤悤未果登眺 意甚悵然∙150
진잠현을 지나며 過鎭岑縣∙151
용태촌에서 이지인 형제와 함께 묵는데, 등불 아래에서 계룡산의 승경을
장황하게 말하였다. 그 말을 기록하여 한 수의 시를 읊어 지어 보여 주다
龍駄村 與李生志仁兄弟對宿 燈下盛稱鷄岳之勝 仍記其語 吟成一詩
以示∙152
유천촌에서 밤에 빗소리를 듣고 감회가 있어서
柳川村 夜聞雨聲 有感∙153
돌아가는 말 위에서 歸鞍∙154
공북루 앞에서 눈을 만나다 拱北樓前逢雪∙155
길을 가며 읊조리다 行吟∙156
아버지께서 운정에서 길을 떠나시던 날에 눈보라가 거세게 몰아쳤다.
걱정스러운 나머지 칠언으로 장구를 지어 척호의 감회를 서술하다
大人自雲亭啓旆之日 風雪大作 憂悶之餘 成七言長句 以抒陟岵之懷∙157
눈 내린 뒤에 달을 보며 옛 유람이 떠올랐다. 율시 한 수를 지어 최씨
형에게 부쳐 보여 주다 雪後對月懷舊遊 賦詩一律 寄示崔兄∙159
한가로이 지내면서 감회를 적다 閒居書懷∙160
위헌이 보여 준 시의 운에 맞춰 짓다 次韋軒見示韵∙161
눈 내린 뒤에 달빛이 매우 아름다워 청령대에 가서 율시 한 수를 지었다.
군형과 성망 등 여러 사람에게 보여 주다
雪後月色甚佳 步至淸泠臺得一律 示君馨聖望諸人∙162
아우를 그리워하는 노래 憶弟行∙163
위헌, 군형, 성망 종질 석로의 자 과 함께 밤에 모여 《국조시산》의 운에
맞춰 짓다 同韋軒君馨聖望 從侄錫老字 夜會 次國朝詩刪韵∙164
연못가에서 회포를 쓰다 潭上書懷 ∙166
운정에서 밤에 술을 마시다 雲亭夜飮∙167
성망이 한양으로 가므로 써서 주다 2수 聖望入漢師 書贈 二首∙168
임직부 백 등 여러 사람들과 함께 사냥 구경을 갔다가 영수암에 들러
묵었는데, 눈으로 길이 막혀 돌아오지 못하였다. 술을 마시며 재미삼아
장구를 지어 함께 간 이들에게 보여 주다 同林直夫 栢 諸人觀獵 過宿靈
水庵 阻雪不歸 酒中戲作長句 以示同游∙170
감회가 있어서 有感 ∙174
동지에 회포를 쓰다 冬至書懷∙175
동지 다음 날 밤에 시냇가 누대에 앉았는데 서글피 집 생각이 났다
冬至後一日 夜坐溪樓 悄然有思家之意∙177
서재에서 밤에 齋夜∙178
24일 날씨가 자못 따뜻하여 작은 서재에 홀로 앉았노라니 마음이 매우
기뻤다. 지 자를 얻어 짓다
二十四日 日氣頗暄和 獨坐小齋 意甚欣然 得遅字∙179
밤에 앉아 있다가 감회가 있어서 夜坐感懷∙180
위헌의 시에 차운하다 次韋軒∙181
담수 澹叟∙182
금계를 떠나며 發金溪∙183
율치에서 栗峙∙185
구로촌에서 九老村∙187
후영리에서 後穎里∙189
운곡암에서 雲谷菴∙191
사담에서 沙潭∙193
소금산 小金山∙195
공림사에서 空林寺∙197
사담에서 장차 한양으로 돌아가려고 군형과 성망 등 여러 사람들과 밤에
술을 마시다가 《국조시산》의 운을 사용하여 함께 시를 지어 심회를
서술하다
自潭上將歸漢京 君馨聖望諸人夜飮 用國朝詩刪韵 同賦述懷∙200
이대래 태제 가 정보와 도장 등 여러 사람을 맞이하여 매화를 구경하였는데,
내가 마침 어지럼증이 있어 가지 못하였다. 그 모임 자리의 운자에 맞춰
지어 여러 사람에게 부쳐 보여 주다 경인년 李大來 泰躋 邀正甫道長諸人
作觀梅 余適患眩不能赴 次席上韵 寄示諸君 庚寅∙202
양씨 노인을 애도하다 哀梁老∙203
저물녘에 청주로 가는 길에 暮向淸州途中∙205
나그네 길에서 시골집이 시냇가에 있는 것을 보니 고즈넉하여 좋았다.
심회를 서술하여 입으로 부르다
客途見村居臨溪 蕭然可喜 述懷口占∙206
부용촌에서 芙蓉村∙207

두타초 제4책
시詩

눈이 내린 뒤에 처사 최행창의 산속 집에 들러 짓다 2수○임진년
雪後過崔處士 行昌 山居有作 二首○壬辰∙211
영수암에 가면서 말 위에서 불러 짓다 6언○계사년
往靈庵 馬上口號 六言○癸巳∙212
영수암에서 아이들의 운에 맞춰 짓다 계사년 靈庵 次兒輩韵 癸巳∙213
단비. 또 아이들의 운에 맞춰 짓다 喜雨 又次兒輩韵∙214
사담 가에서 영수암으로 향하면서 한 자를 얻었다
自潭上向靈庵 得寒字∙215
비가 내린 뒤에 사담 가로 돌아왔다. 도중에 짓다
雨後還潭上 途中有作∙216
여름날에 이 사군 제상, 박백형 종양, 민향숙 경수 과 함께 침우담에 놀러
갔는데, 재창과 택경과 암아도 따라왔다. 그 자리에서 입으로 불러 여러
사람에게 보여 주고 화답을 요구했다 夏日 同李使君 齊尙 朴伯亨 宗陽 閔向叔
景洙 往遊沈牛潭 載昌澤卿巖兒亦從 席上口占 示諸君求和∙217
또 간 자를 거듭 써서 삼가 동각에 부쳐 화답을 요구하다 3수
又疊干字 奉寄東閣求和 三首∙219
감회를 쓰다. 또 간 자 운을 거듭 써서 백형에게 보여 주다
書懷 又疊干字 示伯亨∙222
앞의 운자를 거듭 써서 향숙에게 부치다 疊前韵 寄向叔∙223
취적대에서. 또 앞의 운자를 거듭 사용하다
吹篴臺 又疊前韵∙224
감회가 있어서. 또 앞의 운자를 거듭 사용하다
有感 又疊前韵∙225
군형을 생각하니 서글픈 마음을 견딜 수 없었다. 또 앞의 운자를 거듭
사용하다 懷君馨 不勝愴然 又疊前韵∙226
한산의 시를 읽다가 감회가 있어서 또 앞의 운을 사용하다
讀寒山詩 有感 又用前韵∙227
산속 집에서 즉흥적으로 짓다 山居卽事∙229
이 사군이 또 시를 부쳐 오므로 그 운에 맞춰 지어 보내고 훗날의 모임을
약속하다 李使君又寄詩來 次其韵奉呈 以訂後會∙230
비가 내리는 가운데 서재에서 雨中齋居∙231
또 개 자를 거듭 사용해 지어서 이 사군에게 부치다 2수
又疊開字 寄李使君 二首∙233
사군이 또 율시 한 수를 부쳐 주고 아울러 제호를 보내왔기에 그 운에
맞춰 지어 사례하다 使君又寄一律 兼餽醍醐 次其韵以謝之∙236
우담에서의 유람을 적다. 또 개 자를 거듭 사용해 지어서 사군에게 부치다
述牛潭之遊 又疊開字 寄使君∙238
앞의 운을 사용해 지어서 향숙에게 부치다 用前韵 寄向叔∙239
백형에게 부치다. 또 앞의 운에 맞춰 짓다 寄伯亨 又次前韵∙240
또 앞의 운을 사용하여 취적대를 읊다 2수 又用前韵 賦吹篴臺 二首∙241
앞의 운을 거듭 사용하여 또 짓다 2수 疊前韵 又賦 二首∙243
16일 밤에 달빛이 매우 아름다워 택경과 함께 유호에 갔는데, 재창도
양촌에서 왔다. 바닥에 앉아 있다가 밤이 깊어서야 돌아왔다
十六日夜 月色佳甚 偕澤卿步至柳湖 載昌亦自陽村來 席地而坐 至夜深
乃還∙245
물속의 달빛과 나무 그림자를 바라보니 서로 아른거려 경치가 매우
아름다웠다 見水中月光樹影 互相蕩漾 景色甚奇∙246
앞의 시에서 아름다운 모습을 다 표현하지 못하여 다시 절구 두 수를
지었으나 끝내 만분의 일도 그려 내지 못했으니, 이태백과 소자첨을 데려
다가 진면모를 그려 내게 하지 못함이 한스러웠다 前詩不足以形容其奇處
又賦二絶 終不能摸寫萬一 恨不携來太白子瞻輩 使之傳神也∙247
택경의 운에 맞춰 짓다 次澤卿韵∙248
집으로 돌아왔을 때 밤이 이미 깊었지만, 달빛이 더욱 아름다워 차마
잠들지 못하였다. 누대 위에서 서성이다가 다시 절구 한 수를 짓다
歸家 夜已深矣 月色尤佳 不忍入睡 徘徊樓上 又成一絶∙249
재창의 운에 맞춰 짓다 次載昌韵∙250

다음 날 밤 달빛이 더욱 아름다워 어제 노닐었던 일이 떠올랐다
後夜 月色又佳 有懷昨遊∙251
또 임 자를 거듭 사용해 지어서 사군에게 부치다 2수
又疊林字 寄使君 二首∙252
스스로 웃다 自笑∙254
집에서 齋居∙255
우담에 모였던 여러 사람과 함께 내일 유호에서 물고기를 구경하기로
약속하였는데, 빗소리가 밤새 그치지 않았다. 흥취가 깨질까 걱정스러워
서글픈 마음에 짓다
與牛潭會諸人 約以明日觀漁于柳湖 雨聲終夜 恐將敗意 悵然有賦∙256
다음 날 아침 날이 개려고 하므로, 또 앞의 운자를 사용하여 기쁜 마음을
기록하다 翌朝 頗有開霽之意 又用前韵 志喜∙257
유호의 모임 자리에서 율시를 입으로 불러 왕림해 준 사군의 성의에
사례하다 柳湖席上 口占長律 以謝使君枉臨之意∙258
아담한 집 小築∙259
감회를 적다 書懷∙260
감회가 있어서 有感∙261
눈에 보이는 것을 동파의 운자에 맞춰 짓다 觸目 次東坡韵∙262
흰머리를 뽑으며 감회가 있어서 鑷白髮 有感∙263
비가 내리는 가운데 동쪽 마루에 앉아서 雨中坐東軒∙265
이 사군이 또 연 자를 거듭 사용해 시를 지어 부쳐 왔기에 차운하여
삼가 올리다 2수 李使君 又疊筵字寄示 次韵奉呈 二首∙266
사군이 조대의 승경을 읊어 또 율시 한 수를 보여 주므로 삼가
화운하다 2수 使君賦釣臺之勝 又示一律 奉和 二首∙268
사군이 율시 한 수를 부쳐오므로 삼가 화답하다 使君寄示一律奉和∙270
또 절구의 운자에 맞춰 짓다 又次絶句韵∙272
사군이 와분 두 개를 부치면서 시도 보냈으므로 차운하여 사례하다
使君寄瓦盆二枚有詩 次韵以謝之∙273
성을 나서며 감회가 있어서 出城有感∙274
우습다 可笑∙275
가을 들어 한 수의 시도 짓지 않았기에 자조하다
秋來無一詩 因以自啁∙276
홍하서 귀조 군이 문득 두 수의 시를 부쳐 왔기에, 그 운자에 맞춰 지어
보여 주다 洪君夏瑞 龜祚 忽寄二詩 輒次其韵以示∙277
눈 내린 뒤에 한가로운 삶 雪後閒居∙279
적탄으로 가는 길에 赤灘途中∙280
산목 山木∙281
눈 내린 뒤에 한가로운 삶 雪後閒居∙283
17일 밤에 눈이 많이 내리다가 금세 개어 조각달을 볼 수 있었다
十七日夜 雨雪大作 俄而晴霽 得微月∙284
충주로 가는 길에 忠州途中∙285
기쁜 마음을 기록하여 군서에게 보여 주다 志喜 示君敍∙286
백잔령 가는 길에 栢棧途中∙287
동지가 지났는데 매화가 피려 하지 않기에 시로 재촉하다
冬至已過 梅花尙無開意 詩以催之∙288
회포를 적다 書懷∙289
며칠 푹하다가 눈이 내린 뒤에 추위가 더욱 심해졌기에 단율을 읊어 짓다
數日稍煖 雪後寒意又嚴 吟成短律∙290
입춘에 절구 5수 立春 五絶句∙291
밤에 앉아 있다가 감회가 있어서 夜坐有感∙293
다시 앞의 운자로 짓다 復用前韵∙294
김삼용이 불쑥 찾아와서 시로 감회를 기록하기에 차운하여 주다
金三容忽然見過 有詩志感 次韵贈之∙295
섣달 그믐날 밤에 갑오년 除夜 甲午∙296
섣달 그믐날 밤에 비바람이 쓸쓸하게 내리는데, 홀로 앉아 있으려니
무료하여 또 율시 한 수를 지었다 갑오년
除夜 風雨凄然 獨坐無聊 又成一律 甲午∙297
시냇가 저물녘 풍경 溪上晩望∙298
설날 아침에 장난 삼아 조해체로 짓다 7수 元朝 戲作誂諧體 七首∙299
한가롭게 지내며 감회를 적다 閒居書懷∙302
감회가 있어서 有感∙303
봄이 오다 春來∙304
병석에서 일어나다 病起∙305
낮에 앉아 午坐∙306
이른 봄의 여러 가지 흥취 早春 雜興∙307
새벽에 일어나 감회가 있어서 曉起有感∙308
봄날의 흥취 春興∙309
등불 아래에서 방옹의 매화시를 읽노라니 고상하고 아름다워 좋았다.
그 시어로 기두를 삼아서 채워 짓다
燈下讀放翁梅詩 愛其高妙 因用其語爲起 足成之∙310
산속 집에서 즉흥적으로 짓다 山齋卽事∙311
손님이 와서 客來∙312
오늘 아침 석탄에 가고 싶었지만 추워서 가지 못했다. 서글픈 마음에
시를 써서 석탄주인에게 부쳐 보여 주다
今朝欲過石灘 怕寒未果 悵然有述 寄示石灘主人∙313
시냇가 새 버들을 보니 곱고 고와 사랑스러웠다. 마침내 오언
장구를 짓다 見溪邊新柳 娟娟可愛 遂賦五言長句∙314
석탄주인이 지난번 시에 차운하여 보여 주기에 또 두 수를 화답하여
부쳐 주다 石灘主人 次昨韵相示 又和二首寄似∙316
매화가 피자마자 떨어지니 마음이 매우 서글퍼 시로 전별하다
梅花纔開旋落 意甚悵然 以詩餞之∙317
또 문 자 운으로 지어 성재에게 주다 又用門字韵 效誠齋∙318
산속 생활 山居∙319
재미 삼아 시고에 쓰다 戲題詩稿∙320
아침에 일어나 일을 쓰다 朝起書事∙321
허군 요 이 성 자 운에 맞춰 지어 부쳐 주므로 또 화운하다 4수
許君 烑 次誠字韵寄示 又和 四首∙322
백형의 시골집을 방문하다 訪伯亨村居∙325
정월 보름날 밤 12수 元夕 十二首∙326
새벽에 눈이 많이 내려 몇 치나 쌓였는데, 아침에 보니 이미 다 녹아
흔적도 없었다 曉來風雪大作 深幾數寸 朝看已消盡無痕矣∙332
16일 밤에 十六日夜∙333
허군이 부쳐 온 운자에 맞춰 짓다 次許君寄示韵∙334
이 진사 세완 에게 부쳐서 여러 차례 들러 준 성의에 사례하다
寄贈李進士 世完 以謝累過之意∙335
한가롭게 지내며 즉흥적으로 짓다 閒居卽事∙336
21일 밤에 바람이 매우 세차게 불었다 二十一日夜 風威甚猛∙337
다시 앞의 운자로 지어서 또 이여승 세완 에게 부치다
復用前韵 又寄李汝承 世完∙338
여승이 평삽과 우담 등 여러 곳을 유람하고 절구 한 수를 부쳐오므로
차운하여 답하다 汝承游平霅牛潭諸處 寄示一絶 次韵答之∙340
감회 10수 感懷 十首∙342
선전관 류원화 만사 挽柳宣傳 元華∙352
꽃을 옮겨 심다 移花∙353
한식에 눈을 바라보며 寒食對雪∙355
비로소 살구꽃을 보다 始見杏花∙356
재거잡영 전편 齋居雜詠 前∙357
시냇가 집에 밤비가 내리다 溪齋夜雨∙364
늦봄에 회포를 적다 晩春書懷∙365
재거잡영 후편 齋居雜詠 後∙366
향숙이 절구 한 수를 지어 풍악산으로 가는 나를 전송하므로 화운하여
답하다 2수 向叔以一絶贐楓岳之行 和韵答之 二首∙388
초평 25영 草坪二十五詠∙389
영귀리 咏歸里∙389
대암 臺巖∙389
송대 宋臺∙390
금한촌 金漢村∙390
어은촌 漁隱村∙390
와룡정 臥龍亭∙391
영수암 靈水菴∙391
도리담 桃李潭∙392
응암 鷹巖∙392
농촌 農村∙392
금당 金塘∙393
벽운대 碧雲臺∙393
열운정 悅雲亭∙393
청령대 淸泠臺∙393
봉황대 鳳凰臺∙394
청담암 淸潭庵∙394
유호 柳湖∙394
동자암동 童子庵洞∙394
벽력암 霹靂巖∙395
화암 畫巖∙395
용주 龍洲∙396
평사 平沙∙396
취적대 吹篴臺∙397
갈공탄 葛公灘∙397
침우담 沈牛潭∙398
허 사문이 또 성 자 운에 맞춰 지어 보내 주므로 화운하다
許斯文 又次誠字韵寄示 和之∙399
동유록東游錄
풍악으로 출발하며 말 위에서 우연히 읊다 2수
發向楓岳 馬上偶吟 二首∙404
길을 가다가 농사 살피는 사람을 보고 감회가 있어서
途中見觀稼者 有感∙405
금계를 출발하다 發金溪∙406
말 위에서 대단히 기뻐서 또 짓다 馬上喜甚 又賦∙408
통곡촌 通谷村∙410
삼승촌에 들르다 過三升村∙411
대치와 소치 두 고개 사이에 물과 바위가 대단히 아름답기에 말을 멈추고
잠시 쉬다 大小兩大峙之間 水石頗佳 歇馬少憩∙412
길을 가다가 치악산을 바라보며 途中望雉岳∙414
횡성으로 가는 길에 橫城途中∙415

두타초 제5책
시詩
동유록東游錄

점심 때 창봉역에서 쉬다 午憩蒼峰驛∙419
삼가 농암 선생의 〈창봉역〉을 차운하다 敬次農巖先生蒼峰驛韵∙420
길 가의 푸른 절벽 아래에서 잠시 쉬다 少憩路傍蒼壁下∙421
도중에 지나온 곳을 기록하다 記途中所歷∙423
춘천 가는 길에 春川途中∙425
점심 때 원창역에서 쉬다 午憩原昌驛∙426
송황 가는 길에 松皇途中∙427
종일 깊은 산골짝을 걸어 송황령을 넘었다. 드넓은 들녘을 보자 기뻤다
終日行深峽之間 踰松皇嶺 見野色曠然可喜∙428
문소각에서 박정재의 운에 맞춰 짓다 聞韶閣 次朴定齋韵∙429
소양정에서 삼가 농암 선생의 운에 맞춰 짓다
昭陽亭 敬次農巖先生韵∙430
또 앞의 운자를 써서 짓다 又用前韵∙431
보통천 普通遷∙432
역천 櫟迁∙433
화음동에 들어가며 入華陰洞∙435
절구 3수 絶句 三首∙436
농수정 籠水亭∙438
농수정 벽에 걸린 시를 차운하다 次籠水亭壁上韵∙439
송풍정 가는 길에 松風亭道中∙440
화음행 華陰行∙441
제갈무후와 매월당의 유상을 배알하다 拜諸葛武侯梅月堂遺像∙443
반수암에 들렀는데 승천상인이 스스로 말하기를……그 말을 듣고 서글퍼
져서 이 시를 써서 주다
過伴睡庵 有勝天上人者 自云……聞之愴然 書此以贈∙445
칠선동으로 들어가며 入七仙洞∙447
삼첩천 三疊泉∙448
돌아가신 농암 선생께서 일찍이 칠선동 수석의 아름다움을 평가하여
화음의 풍패 위에 두셨다……마침내 220자의 긴 시를 짓는다 先師農巖先
生 甞評七仙洞水石之勝 置之華陰風佩之上……遂成長語二百二十字∙449
골짜기로 들어갈 때 방도창 군도 따라왔다. 이별하며 써서 주다
入洞時 方君道昌亦從焉 臨別書贈∙452
사탄촌에서 史呑村∙453
학령가 鶴嶺歌∙454
일원과 함께 이요정에 올라 입으로 불러 판상의 시를 차운하다
同一源登二樂亭 口占次板上韵∙457
일원이 칠송정에 가서 물고기를 구경하자고 하므로 두보의 율시에
차운하여 함께 짓다 一源邀往七松亭觀漁 次杜律韵同賦∙458
관어가 觀漁歌∙460
근민당에서 또 임 자를 사용해 지어서 일원에게 보여 주다
近民堂 又用林字 示一源∙463
연못 안의 다섯 봉우리를 읊은 벽 위의 시에 차운하다
次壁上詠池中五峯韵∙465
또 임 자를 거듭 사용해 지어서 이사겸 군에게 주다
又疊林字 贈李君士謙∙466
일원의 학포정 시에 차운하다 次一源學圃亭韵∙467
일원의 관음사 시에 차운하다 次一源觀音寺韵∙468
묵희령 墨喜嶺∙469
장안사의 산영루에 올라 登長安寺山映樓∙471
옥경대 玉鏡臺∙472
영원동에 들어가다 入靈源洞∙473
영원암 靈源庵∙474
옥초대 沃焦臺∙475
백탑동 百塔洞∙476
산에 들어온 뒤로 시흥이 전혀 없었으므로 자조하다
入山頓無詩興 自嘲∙478
미타암 彌陀庵∙479
명연 鳴淵∙480
백화암 白華庵∙482
삼연 김 선생의 시를 차운하여 치웅 선사에게 주다
次三淵金丈韵 贈雄師∙483
표훈사 表訓寺∙485
송라암 松蘿庵∙486
송라암에 이르러 망고대에 오르려고 하였으나, 비가 내린 뒤라 바위가
미끄러워 오르지 못해 대단히 안타까웠다
至松蘿 欲登望高 雨後石滑未果 殊用悵然∙487
삼일암 三日庵∙489
안양암 安養庵∙490
신림암 神琳庵∙491
백화암에서 묵으며 또 율시 한 수를 지어 치웅 선사에게 보여 주다
宿白華 又賦一律 示雄師∙492
원통동 圓通洞∙493
선암 2수 船庵 二首∙494
수미암 須彌庵∙495
수미대에 올라 수미탑을 내려다보며 登須彌臺 俯觀須彌塔∙497
진불암 眞佛庵∙499
원통암에서 달밤에 圓通庵 月夜∙501
원통암에서 정양사로 오면서 본 것을 기록하다
自圓通至正陽 記所見∙502
정양사 正陽寺∙514
또 짓다 又賦∙516
노승 개익은 나이가 칠십인데도 《능엄경》과 《금강경》 등 여러 경서를
외우고 정진하기를 그치지 않았다. 내가 그의 늙음을 안쓰러워하면서도
그 독실한 뜻을 아름답게 여겨, 이 시를 써서 농담하다 老僧開益年七十
猶誦楞嚴金剛諸經 精進不輟 余憫其老而嘉其篤志 書此戲之∙518
삼장암 三藏庵∙519
만폭동가 10수 萬瀑洞歌 十首∙520
보덕굴 普德窟∙526
마하연 摩訶衍∙529
마하연에서 자고 일어나다 摩訶衍睡起∙534
만회암 萬灰庵∙535
중백운 中白雲∙536
상백운 上白雲∙537
비로봉 정상에 올라 登毘盧絶巓∙541
비로봉가 毘盧峰歌∙542
내구룡연 內九龍淵∙547
이별하면서 입으로 불러 쌍훈 상인에게 주다 臨別口占 贈雙勳上人∙549
서둘러 써서 재총 상인과 이별하다 走草別聦上人∙550
안문점에 오르니 내금강의 모든 봉우리를 빠짐없이 볼 수 있었다
登鴈門岾 內山諸峰 一覽無遺∙554
칠보대 七寶臺∙555
은선대 隱仙臺∙556
대적암 大寂庵∙558
유점사 楡岾寺∙559
선담 船潭∙561
시축의 운자에 맞춰 지어 언사에게 주다 次軸中韵 贈彦師∙562
불정대 3수 佛頂臺 三首∙563
송림굴 松林窟∙564
밀기에게 주다 贈密機∙565
해산정에서의 달구경 노래 海山亭 看月歌∙566
산속에서 활짝 핀 목련꽃을 보고 감회가 있어서
山中見木蓮花盛開 有感∙569
고성잡영 高城雜詠∙570
대호정 帶湖亭∙572
바다에서 배를 타고 칠성암과 군옥대를 바라보고 해금강까지 갔다가
돌아왔다. 이날에 고래가 물줄기를 뿜어내는 것을 보았는데 매우
장관이었다
汎海觀七星巖群玉臺 至海金剛而還 是日觀鯨魚噴浪 甚奇壯∙575
발연 鉢淵∙580
발연사 鉢淵寺∙581
폭포암에서 또 앞의 운을 사용하다 瀑布庵 又用前韵∙582
또 절구 한 수를 짓다 又賦一絶∙583
신계사에서 또 종 자를 차운하다 新溪寺 又次鍾字∙584
통천으로 가는 길에 通川途中∙585
말 위에서 구정봉을 바라보며 馬上望九鼎峰∙586
바다를 바라보며 觀海∙587
문암으로 가는 길에 門巖途中∙589
환선정 喚仙亭∙590
총석가 叢石歌∙591
비를 맞으며 문암을 지나다 雨中過門巖∙595
외구룡연 外九龍淵∙596
산을 나오다 出山∙301
장성철 군이 보여 준 시에 차운하다 次張君聖哲見示韵∙602
비가 내리는 가운데 두보의 율시를 차운하여 중린 등 여러 사람과
함께 짓다 雨中次杜律韵 與仲麟諸人同賦∙603
해산정에서 비를 걱정하다 海山亭悶雨∙605
사선정 四仙亭∙606
“사선정 위에 네 신선 노닐다”를 첫 구로 삼아 네 사람이 각자 지었다
以四仙亭上四仙遊爲起 四人各賦∙608
중린이 보여 준 시에 차운하다 次仲麟贈示韵∙610
권덕찬이 선친의 시를 보여 주니 감회가 있어서 입으로 불러 주다
權生德纘示先君子詩 有感 口占以贈∙611
선친께서 권위에게 주신 시에 삼가 차운하다
敬次先君子贈權生緯韵∙612
열산으로 가는 길에 바다를 바라보다 烈山途中望海∙613
이관지 군은 목천 사람이다……그럭저럭 7언 율시를 지어 이 구구한
마음을 펼쳐내노라
李君貫之 木川人也……聊爲長律 抒此區區之意云爾∙614
간성을 지나며 감회가 있어서 過杆城有感∙617
영월루에 올라 登詠月樓∙618
원통역으로 가는 길에 圓通驛途中∙619
비를 맞으며 번창천을 지나가다 雨中過蕃昌迁∙620
비를 걱정하다 悶雨∙621
인제현의 관리 이현규는 바로 옛날 묵었던 집의 주인이다……서로
마주하고 옛 일을 이야기하니 마음이 매우 서글펐다
麟蹄縣吏李玄奎 卽舊主人也……仍相對道故 意殊愴然∙622
비가 많이 내려 출발하지 못하고 저녁 내내 잠을 잤으니 매우 걱정되었다
雨甚未能發去 終夕昏睡 殊可悶也∙623
날씨가 조금 개어 합강정에 올라 삼연 김 선생의 운에 맞춰 짓다
少晴往登合江亭 次三淵金丈韵∙624
간의진 簡儀津∙625
마뇌역을 지나며 감회가 있어서 過馬腦驛有感∙626
천감역으로 가는 길에 泉甘驛途中∙627

저자소개

이하곤 (지은이)    정보 더보기
1677(숙종3)~1724(경종4). 조선 후기의 문인으로,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재대(載大), 호는 담헌(澹軒)ㆍ소금산초(小金山樵)이다. 회와(晦窩) 이인엽(李寅燁)의 맏아들로, 농암(農巖) 김창협(金昌協)에게 수학하였다. 1708년 생원시와 진사시에 장원으로 합격하여 세자익위사 세마(世子翊衛司洗馬)와 세자익위사 부솔(世子翊衛司副率)에 임명되었으나 나가지 않고, 고향인 진천에 내려가 학문과 서화에 힘썼으며 장서(藏書)가 1만권을 헤아렸다. 전국 방방곡곡을 두루 여행하였으며, 이병연(李秉淵), 윤순(尹淳), 정선(鄭敾), 윤두서(尹斗緖) 등과 교유하였다. 저서로 《두타초(頭陀草)》가 있다.
펼치기
정만호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71년 충남 부여에서 태어났다. 충남대학교와 단국대학교에서 한문학을 전공하였으며, 현재 충남대학교 한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번역서로 《취암선생시집》과 공역으로 《기려수필》, 《승암시화》, 《지호집》, 《오재집》, 《옥오재집》, 《좌계부담》, 《해동사부》, 《동주집》, 《두타초》 등이 있다.
펼치기
이재숙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75년 대전에서 태어났다. 충남대학교 한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 고려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아당 이성우 선생에게 한문을 배웠다. 현재 충남대학교 한자문화연구소 선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공역으로 《기려수필》, 《두타초》, 《승암시화》, 《좌계부담》, 《해동사부》, 《면불일기》, 《설봉유고》, 《잠야집》이 있고, 저서로 《호서의 큰 고을, 홍주이야기》가 있다.
펼치기
오승준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79년 충북 청주에서 태어났다. 충남대학교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학산 조종업 선생, 아당 이성우 선생에게 한문을 배웠다. 현재 충남대학교 한자문화연구소 선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공역으로 《옥오재집》, 《동주집》, 《두타초》, 《설봉유고》, 《잠야집》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