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두타초 5

두타초 5

(충남대학교 한자문화연구소)

이하곤 (지은이), 정만호, 오승준, 이재숙 (옮긴이)
문진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0,000원 -0% 0원
300원
29,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두타초 5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두타초 5 (충남대학교 한자문화연구소)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우리나라 옛글 > 산문
· ISBN : 9791187638452
· 쪽수 : 632쪽
· 출판일 : 2019-12-30

책 소개

이하곤은 18세기 전반의 대표 문인이며 서화비평가로 주목을 받는 인물이다. 그의 문집 <두타초>에 수록된 2천 수 이상의 시(詩)와 180여 편의 문(文)은 학계의 관심을 끌기에 충분한 내용과 분량의 자료이다.

목차

일러두기


두타초 제11책
시詩
또 추 자로 거듭 짓다 又疊秋字
도장이 곤륜을 추모하며 지은 시 한 편을 부쳐왔기에 화운하여
답하다 道長追悼昆侖作一詩寄示 和韵答之
송성빈이 서랑에게 부친 시를 차운하다 次宋聖賓寄瑞娘韵
박경로 사수 를 전별하는 자리에서 사용한 임 자 운을 뒤늦게
차운하다 追次朴景魯 師洙 餞席林字韵
문을 닫고서 閉門
비가 내리는 가운데 한가로이 지내며 雨中閒居
옥오 선생을 애도하다 4수 悼玉吾先生 四首
창옹이 시 한 수를 부쳐 왔기에 화답하다 滄翁寄一詩和之
임 충간 현 의 시호를 맞이하는 시첩 가운데에 있는 시를
차운하다 次任忠簡 鉉 延諡詩帖中韻
14일 밤에 달빛이 매우 아름다웠다……더욱 가을 생각을 견디
지 못하게 하였다 十四夜 月色甚佳……尤令人不勝秋思也
가을에 도장에게 들렀다가 돌아와서 시 한 편을 지었기에
부쳐 주다 秋日過道長 歸得一詩寄之
달밤의 감회 2수 月夜感懷 二首
가을에 북영을 들르다 秋日過北營
홍도진 중주 이 시 한 수를 주기에 차운하여 답하다
洪道陳 重疇 贈一詩 次韵答之
김사수 시민 가 또 군 자를 차운하여 보내왔기에 이 시를 써서
답하다 金士修 時敏 又次君字寄示 書此答之
도진이 또 군 자를 거듭 사용해 지어서 보내왔기에 입으로 불러
화운하다 道陳又疊君字寄示 口占和之
또 군 자를 거듭 사용해 지어서 도진에게 부치다
又疊君字寄道陳
홍도진 중주 이 시 한 수를 주었으므로 차운하여 답하다
洪道陳 重疇 贈一詩 次韵答之
비바람이 쓸쓸하여 매우 가을 정취가 있었다. 또 앞의 운자를
사용하여 짓다 風雨悽然 甚有秋意 又用前韵
또 앞의 운자를 거듭 사용하여 도진에게 보여 주다
又疊前韵 示道陳
또 앞의 운자를 사용해 지어서 산으로 들어가는 김신로 상리 를
전송하다 又用前韵 送金莘老 相履 入峽
객지에서 밤에 소회를 쓰다 客夜書懷
감회가 있어서 동파의 운을 사용해 짓다 有感 用東坡韵
옥오 선생을 곡하다 哭玉吾先生
죽산으로 가는 길에 竹山途中
어장으로 가는 길에 漁庄途中
서흥 현감으로 가는 오자장 수원 을 전송하다
送吳子長 遂元 監瑞興
윤백수 유 의 시를 차운하여 나계로 돌아가는 중화를 전송하다
次尹伯修 游 韵 送仲和歸蘿溪
손자를 애도하다 悼孫兒
밤에 윤사정 형 의 집에 모여 기녀들의 재예를 구경하고 중화에
게 이별의 선물로 주다 夜集尹士淨 瀅 宅觀伎 贈別仲和
12일 밤에 달빛이 대단히 아름다웠다……시 한 수를 남겨 이별
하다 十二夜月色佳甚……爲留一詩以別
판교점에서 임소인 함양으로 가는 조신여 준명 를 전송하다
板橋店 送趙愼汝 駿命 之任咸陽
윤현도 상희 가 앞의 시를 차운하여 보여 주므로 말 위에서
입으로 불러 답하다 尹玄度 尙喜 次示前韵 馬上口占答之

금강록錦江錄
대교로 가는 길에 大橋途中
공주에 도착하다 到公州
현재에서 감회를 쓰다 縣齋書懷
비가 그친 뒤에 누각에서 바라보다 雨後閣望
쌍수정에서 雙樹亭
작년 11월 내가 남강에 있을 때 눈이 내리는 가운데 이순좌 영공
과 함께 수인사를 유람하였다……그러므로 결구에서 언급하였다
前年至月 余在南康 雪中同李令公舜佐遊修因寺……故結句及之
밤에 금강에 배를 띄우고 연성휘의 시를 차운하다
夜泛錦江 次延聖輝韵
또 율시 한 수를 짓다 又賦一律
앞의 운자를 거듭 써서 짓다 疊前韵
또 장 자를 얻었다 又得長字
금강행 錦江行
웅진 회고 熊津懷古
마곡사에서 성휘의 시를 차운하다 麻谷寺 次聖輝韵
재청에게 두보의 율시에서 운자를 뽑게 하여 입으로 읊어
성휘에게 보여 주다 使載靑拈杜律韵 口占示聖輝
또 두보의 율시에서 운자를 뽑아 입으로 읊다
又拈杜律韵口占
마곡사에서 麻谷寺
상원을 찾아가서 訪上院
상원암에서 上院菴
성휘의 시를 차운하다 次聖輝韵
또 성휘의 시 자 운에 맞춰 짓다 又次聖輝時字韵
상원암에서 上院菴
대상원 臺上院
경축하고 기뻐하는 자리에서 조계량 최수 의 시를 차운하다
慶喜席 次趙季良 最壽 韵
밤에 술을 마시며 계량의 시를 차운하다 夜飮次季良韵
공산성 公山城
16일 밤 달빛이 매우 아름다웠으므로……배 안에서 성휘의
시를 차운하다 十六夜 月色佳甚……舟中次聖輝韵
호수에 배를 띄우고 10수 泛湖 十首
금성 노래 10수 錦城歌 十首
공주를 출발하다 發公州
한덕필 군의 집에 들르다 過韓君 德弼 幽居
밤에 갑사에 도착하다 夜至甲寺
갑사에서 甲寺
신원사에서 新院寺
진잠으로 가는 길에 동지가 되었기에 자미의 “해마다 동지에 나그
네 신세 되어”라는 내용으로 기구를 삼아 율시 한 수를 이어 완성
하다 鎭岑途中逢冬至 用子美年年至日長爲客爲起 足成一律
구봉산을 지나며 감회가 있어서 過九峰山 有感
공동의 시를 차운하여 입으로 불러 정윤경에게 주다
次空同韵 口占贈鄭潤卿
윤경의 시를 차운하여 이별의 선물로 주다 次潤卿贈別
헤어지며 그래도 남은 뜻이 있어서 이 시를 지어 윤경에게 주다
臨別尙有餘意 賦此贈潤卿
청주로 가는 길에 감회가 있어서 淸州途中 有感
내가 일찍이 임자순의 “열다섯 월계녀”라는 절구를 사랑하였으니
……보는 사람들이 어떻게 여길지 모르겠다 余甞愛林子順十五
越溪女一絶……未知見者以爲何如也
곤륜의 묘소에 들러 감회가 있어서 過昆侖墓 有感
세모에 歲暮
김양기는 용천 사람이다……그의 시를 차운하여 답하다
金生良器 龍川人也……次其韵以答之
서지숙 명연 이 시 한 수를 부쳐왔기에 차운하여 답하다
徐止叔 命淵 寄一詩 次韵答之
서재에서 감회를 쓰다 齋居書懷
방옹의 시를 차운하여 중화에게 부치다 次放翁韵 寄仲和
정윤경이 또 앞의 시를 차운하여 보내왔으므로 입으로 불러 답하다
鄭潤卿又次前韵寄示 口占答之
또 기 자에 맞춰 짓다 又次期字
표아의 시를 차운하다 次杓兒韵
또 표아의 시를 차운하다 又次杓兒韵
즉흥적으로 감회를 쓰다 卽事書懷
밤중에 바람소리가 매우 요란하였다. 홀로 앉아 감회를 쓰다
夜中風聲甚壯 獨坐書懷
10월 12일 밤에……애오라지 칠언 율시를 지어 내 감회를
기록한다 十月十二夜……聊賦長律 以識余感
아침에 석전의 그림을 보다가 두루마리에 있는 막운경 정한
의 시를 차운하다 朝來閱石田畫 次卷中莫雲卿 廷韓 韵
표아가 재중을 애도한 시를 차운하다 次杓兒悼載中韵
감회를 적다 志感
암아의 시를 차운하여 심자고 태 를 전송하다
次巖兒韵 送沈生子固 㙂
또 암아의 시를 차운하다 又次巖兒韵
또 오언 율시를 지어 자고에게 주다 又賦五律 贈子固
또 암아의 시를 차운하다 又次巖兒韵
아이들이 영수암을 유람하는 시를 차운하다 次兒輩遊靈水菴韵
또 한 자 운에 맞춰 짓다 又次寒字韵
또 아쉽게 이별하는 마음을 거듭 서술하다 又疊述惜別之意
또 암아의 시를 차운하다 又次巖兒韵
절구 다섯 수를 지어 자고를 전송하다 賦五絶句 送子固
또 암아의 시를 차운하다 又次巖兒韵
근래 손님이 없어서 종일 문을 닫고 한가로이 지냈다
近頗無客 終日閉戶閑居
손님이 없어서 無客
암아가 자고를 그리워한 시를 차운하다 次巖兒懷子固韵
내가 여대를 공산성에서 달밤에 만나……애오라지 이별한 뒤의
면목을 삼게 할 뿐이다 余與汝大邂逅於公山月夜……聊作別後面
目爾
밤에 앉아 회포를 쓰다 夜坐書懷
예전의 남해 유람을 추억하며 장률을 읊어 나의 감회를 기록하다
憶南海舊游 吟成長律 以志余感
중관의 시를 차운하다 次仲寬韵
암아의 시를 차운하다 次巖兒韵
6년이라는 긴 세월 동안 서울에 머물다가……시 한 수를 지어
그 기쁨을 기록하다 六載久滯漢師……作一詩以志其喜
중관의 시를 차운하다 次仲寬韵
서재에서 지내며 齋居
윤경이 또 앞의 운으로 거듭 지어 열 수의 시를 부쳐왔기에
서둘러 지어 답하다 潤卿又疊前韵寄十首 走草答之
또 오언 율시를 거듭 짓다 又疊五律
또 절구 두 수를 차운하다 又次兩絶
한가롭게 지내며 일을 기록하다 閒居書事
석의의 시를 차운하다 次錫禕韵
자야를 곡하다 哭子野
표아의 시를 차운하다 次杓兒韵
또 표아의 시를 차운하다 又次杓兒韵
표아가 취옹의 시를 차운하여 보여 주므로 화운하다
杓兒次翠翁韵示之 亦和之
저물녘 풍경을 바라보다 晩望
중관의 시를 차운하다 次仲寬韻
청 자에 맞춰 짓다 次淸字
또 춘 자에 맞춰 짓다 又次春字
표아가 방옹의 시를 차운하여 보여 주므로 나도 화운하였다
杓兒次放翁韵示之 余亦和之
한밤까지 앉아 잠들지 못한 채 감회를 쓰다
夜坐至數鼓不寐 書懷
돌아오다 歸來
감회가 있어서 有感
오늘 눈이 내릴 기미가 역력했다 今日頗有雪意
늙음을 한탄하다 歎衰
한 해가 다 지나가매 홀로 앉아 있으려니 쓸쓸히 감회가 있어서
歲行已盡 獨坐悄然有感
표아의 시를 차운하다 次杓兒韻
중관의 시를 차운하다 次仲寬韻
또 시 자에 맞춰 짓다 又次詩字
또 절구 세 수를 차운하다 又次三絶
임군 덕여 홍기 가……그 마음을 저버릴 수 없어 이 시를 써서
돌려보낸다 任君德輿 弘紀……其意不可孤 書此以復焉
서재에서 지내며 齋居
초가에서 茅齋
표아의 시를 차운하다 次杓兒韻
또 오언 율시를 차운하다 又次五律
설날에 쓰다 갑진년 元朝試筆 甲辰
삼가 위헌에게 부치다 奉寄韋軒
도성으로 들어가는 재징을 전송하다 送載澄入都
입춘일에 표아의 시를 차운하다 立春日次杓兒韻
저물녘 경치를 바라보다 晩望
병석에서 일어나 쓰다 病起試筆
윤국형이 뒤늦게 자식 하나를 낳고 시 한 수로 빛내주기를
요청하기에 이 시를 써서 주다 尹▨國衡晩抱一子 請得一詩以
侈之 書此贈之
앓던 가운데 문득 복사꽃을 보니 시흥이 일기에 율시 한 수를
읊어 짓다 病中忽見桃花 觸動詩情 吟成一律


두타초 제12책
잡저雜著
이화국 상관 에게 보내는 편지 정축년 與李華國書 尙觀⃝丁丑
붕 상인에게 주는 서문 무인년 贈鵬上人序 戊寅
이자심을 전송하는 서문 기묘년 送李子深序 己卯
박낙옹에게 보내는 편지 귀징 與朴洛翁書 龜徵
조계우 문명 에게 보내는 편지 경진년 與趙季禹書 文命⃝庚辰
윤숙 세헌 을 제사하는 글 祭尹叔 世憲 文
동자 박후재가 소장한 시축의 뒤에 쓰다
題童子朴厚載所藏詩軸後
두 승려를 꿈꾼 기문 夢二僧記
산처럼 생긴 붉은 돌로 만든 벼루의 명 소서
山形紫石硯銘 小序
죽엽석 벼루의 명 소서 竹葉石硯銘 小序
유인 김씨 애사 孺人金氏哀辭
북막으로 부임하는 최효백 형을 전송하는 서문
送崔兄孝伯赴北幕序
김군산 숭겸 을 제사하는 글 祭金君山 崇謙 文
군산이 손수 쓴 《동고록》 뒤에 쓰다 題君山手書同苦錄後
어장촌에 쓰다 신사년 書漁莊村 辛巳
군산의 소상 때 제사하는 글 君山小祥日祭文
군산의 묘에 제사하는 글 祭君山墓文
중부 번포공을 제사하는 글 임오년 祭仲父樊圃公文 壬午
극락전에 쓰다 계미년 書極樂殿 癸未
허주 이징의 〈도원도〉 뒤에 쓰다 갑신년
題李虛舟澄桃源圖後 甲申
《가설재문초》의 발문 珂雪齋文抄跋
죽은 아들 봉석의 광명 亡兒鳳錫壙銘
도원 장로에게 주는 서문 을유년 贈道原長老序 乙酉
보문암을 유람한 기문 遊普門菴記
큰외삼촌 묵헌공을 제사하는 글 祭伯舅默軒公文
이덕익의 산수첩 뒤에 쓰다 題李德益山水帖後
김씨의 어머니 남양 홍씨 묘표 金母南陽洪氏墓表
비해당 진적 발문 匪懈堂眞蹟跋
죽은 딸 봉혜의 광지 亡女鳳惠壙誌
봉혜를 곡하는 글 哭鳳惠文
원경 장로에게 보내는 편지 與圓敬長老書
익재 선생의 화상 기문 益齋先生畫像記
이휴휴 애사 정해년 李休休哀詞 丁亥


두타초 제13책
잡저雜著
종제 재정 운곤 을 곡하는 글 哭從弟載靜 運坤 文
진사 황창술에게 답하는 글 答黃進士昌述書
돌아가신 어머니께 고하는 글 告先妣文
임장서원 통문 무자년 臨漳書院通文 戊子
농암 선생을 제사하는 글 祭農巖先生文
남쪽으로 돌아가는 사관 김담을 전송하는 서문
送金士寬 墰 南歸序
이태로의 친구들 편지 첩 뒤에 쓰다 書李台老知舊手筆帖後
정경부인 황씨를 제사하는 글 祭貞敬夫人黃氏文
금산 군수 권설을 전송하는 서문 送權錦山 卨 序
참판 이희무를 제사하는 글 祭李參判 喜茂 文
정부인 이씨 애사 貞夫人李氏哀辭
임호 홍만적공을 제사하는 글 祭臨湖洪公 萬迪 文
오계직 애사 吳季直哀辭
화승찬 畫僧讚
화사에게 주는 편지 與畫師書
관음암기 觀音菴記
큰고모 정경부인을 제사하는 글 祭伯姑貞敬夫人文
작은고모를 제사하는 글 祭季姑文
군형을 제사하는 글 祭君馨文
낙옹 박귀징 애사 朴洛翁 龜徵 哀辭
빙장 옥오재에게 답한 편지 答聘丈玉吾齋書


두타초 제14책
잡저雜著
동유록 東遊錄
이일원이 소장한 정선 원백의 〈망천저도〉 뒤에 쓰다
題李一源所藏鄭敾元伯輞川渚圖後
일원이 소장한 〈해악전신첩〉에 쓰다 題一源所藏海嶽傳神帖
금성의 피금정 金城披襟亭
통구의 저녁 비 通溝暮雨
단발령 斷髮嶺
장안사 長安寺
정양사 正陽寺
만폭동 萬瀑洞
내산총도 內山總圖
불정대 佛頂臺
출산도 出山圖
해산정 海山亭
삼일호 三日湖
문암에서 일출을 보다 門巖觀日出
옹천 瓮迁
통천의 문암 通川門巖
총석 叢石
시중호 侍中湖
용공사 龍貢寺
화적연 禾積淵
삼부연 三釜淵
입산도 入山圖
근민당 近民堂
백전 柏田
하중소의 화권 뒤에 쓰다 題夏仲昭畫卷後
북막의 막료로 가는 신정보를 전송하는 서문 送申正甫佐北幙序
정보에게 주는 별지 與正甫別紙
명곡 최 선생 애사 明谷崔先生哀辭
명곡 최 선생을 제사하는 글 祭明谷崔先生文
명곡 최 선생을 제사하는 글 祭明谷崔先生文
명곡 최 선생을 제사하는 글 祭明谷崔先生文
사담의 신에게 제사하는 글 祭沙潭神文
검단산에 제사하는 글 祭儉丹山文
식영정 상량문 息影亭上梁文
장인어른께 올리는 편지 上聘丈書
장모를 제사하는 글 祭嶽母文
아첨하는 여우에 관한 설 媚狐說
견산헌의 기문 見山軒記
담헌의 기문 澹軒記
열운정기 悅雲亭記
신불해와 한비자가 노자에게서 나왔다는 논
申韓出於老子論
공명이 죽지 않았다면 예악을 일으켰으리라는 논
孔明不死 禮樂可興論
자유 이희함을 제사하는 글 祭子有 喜涵 文
자유 이희함 애사 李子有 喜涵 哀辭
검단산의 신에게 제사하는 글 祭儉丹山神文
최수일 군에게 답하는 편지 答崔君 守一 書
김삼연 어른께 드리는 편지 與三淵金丈書

저자소개

이하곤 (지은이)    정보 더보기
1677(숙종3)~1724(경종4). 조선 후기의 문인으로,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재대(載大), 호는 담헌(澹軒)ㆍ소금산초(小金山樵)이다. 회와(晦窩) 이인엽(李寅燁)의 맏아들로, 농암(農巖) 김창협(金昌協)에게 수학하였다. 1708년 생원시와 진사시에 장원으로 합격하여 세자익위사 세마(世子翊衛司洗馬)와 세자익위사 부솔(世子翊衛司副率)에 임명되었으나 나가지 않고, 고향인 진천에 내려가 학문과 서화에 힘썼으며 장서(藏書)가 1만권을 헤아렸다. 전국 방방곡곡을 두루 여행하였으며, 이병연(李秉淵), 윤순(尹淳), 정선(鄭敾), 윤두서(尹斗緖) 등과 교유하였다. 저서로 《두타초(頭陀草)》가 있다.
펼치기
정만호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71년 충남 부여에서 태어났다. 충남대학교와 단국대학교에서 한문학을 전공하였으며, 현재 충남대학교 한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번역서로 《취암선생시집》과 공역으로 《기려수필》, 《승암시화》, 《지호집》, 《오재집》, 《옥오재집》, 《좌계부담》, 《해동사부》, 《동주집》, 《두타초》 등이 있다.
펼치기
이재숙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75년 대전에서 태어났다. 충남대학교 한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 고려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아당 이성우 선생에게 한문을 배웠다. 현재 충남대학교 한자문화연구소 선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공역으로 《기려수필》, 《두타초》, 《승암시화》, 《좌계부담》, 《해동사부》, 《면불일기》, 《설봉유고》, 《잠야집》이 있고, 저서로 《호서의 큰 고을, 홍주이야기》가 있다.
펼치기
오승준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79년 충북 청주에서 태어났다. 충남대학교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학산 조종업 선생, 아당 이성우 선생에게 한문을 배웠다. 현재 충남대학교 한자문화연구소 선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공역으로 《옥오재집》, 《동주집》, 《두타초》, 《설봉유고》, 《잠야집》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