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자로 이해하는 문화인류학

한자로 이해하는 문화인류학

(호칭에 숨어 있는 한자의 비밀)

장이칭, 푸리, 천페이 (지은이), 김태성 (옮긴이)
여문책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10% 0원
1,000원
17,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1개 11,9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자로 이해하는 문화인류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자로 이해하는 문화인류학 (호칭에 숨어 있는 한자의 비밀)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인류학/고고학 > 인류학
· ISBN : 9791187700371
· 쪽수 : 432쪽
· 출판일 : 2020-08-21

책 소개

오랜 세월 동아시아 전체에 깊은 영향을 미친 한자의 다채로운 세계를 성씨와 호칭의 변천사를 매개로 살펴본 흥미로운 책으로 상고시대부터 이어져온 성씨의 뿌리를 탐색하며 한자의 기원과 변화과정을 재미난 이야깃거리와 함께 들려준다.

목차

옮긴이의 말 | 호칭에서 찾는 문화의 유전자 8

제1부 성씨의 뿌리를 찾아서

제1장 성姓과 씨氏의 유래
一. 성은 어디에서 왔나 13
二. 상고시대부터 전해 내려온 성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 16
三. 성과 씨는 같은 것인가 23
四. 성이 같으면 반드시 혈연관계인가 27

제2장 홍동현洪洞縣에 가서 근거를 찾다
一. 홍동현은 누구의 고향인가 35
二. 홍동에서 빠져나온 조趙씨 성 41
三. 태양과 관련이 있는 양楊씨 성 43
四. 전 세계 화인華人은 한 가족이다 47

제3장 조상에 관한 일들
一. 성씨는 우리가 어느 나라 사람인지 말해준다 55
二. 성씨는 조상이 어디에서 살았는지 말해준다 60
三. 성씨는 조상들이 어떤 벼슬을 했는지 말해준다 65
四. 성씨는 조상들의 직업이 무엇이었는지 말해준다 69

제4장 성씨의 변화
一. 조상과 성이 다를 수도 있다 75
二. 성씨는 금은보다 귀하다 79
三. 성을 바꿀 것인가, 목이 잘릴 것인가 85
四. 소수민족 혈통 89

제5장 백가성百家姓에서 천가성千家姓까지
一. ‘백성百姓’의 유래 97
二. 누구나 다 아는 『백가성』 102
三. 국위를 드높인 『황명천가성』 107
四. 공자와 유가를 숭상한 『어제백가성』 111

제6장 성씨의 만화경
一. 사람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성씨 116
二. 왜 복성復姓이 발생하는 것일까 120
三. 함부로 읽어선 안 되는 성 125
四. 12지도 성에 유입될 수 있다 130

제2부 이름 속의 다양한 세계

제7장 명名, 자字, 호號의 어제와 오늘
一. ‘명’과 ‘자’의 유래 137
二. ‘명’과 ‘자’의 연관성 144
三. 이름을 중시하는 이유 149
四. 이름 이외의 호칭 156

제8장 시대적 흐름 속의 이름
一. 소박하고 화려하지 않은 작명 164
二. 포부를 드러내는 작명 167
三. 품행에 착안한 작명 172
四. 조상에 대한 숭배를 표현한 작명 177
五. 배움에 정진하고 옛 가르침에 따르는 작명 181

제9장 이름에도 남녀의 구별이 있다
一. 가볍고 부드러운 아름다움을 나타내는 이름 188
二. 강인함의 아름다움을 체현하는 이름 194
三. 이성異性의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이름 202
四. 운명적인 아름다움을 나타내는 이름 209

제10장 이름 속의 좋은 글자들
一. 부귀를 강조한 이름 216
二. 장수를 강조한 이름 220
三. 아름다운 옥을 이용한 이름 225
四. 준마를 이용한 이름 231

제11장 작명에서의 피휘
一. 황권의 압력에 의한 작명 피휘 240
二. 가족의 이름에 대한 피휘 245
三. 성현과 같은 이름을 피하다 252
四. 부정적인 의미의 글자를 피하다 258

제12장 이름 속의 대천세계
一. 화초와 수목에 기탁한 이름 266
二. 고산대천에 뜻을 둔 이름 273
三. 무예와 건장함을 지향한 이름 278
四. 우주와 창궁을 품은 이름 283

제3부 친소親疎와 장유長幼의 관계를 나타내는 이름

제13장 친척에 대한 복잡한 호칭
一. ‘구족九族’이란 무엇인가 291
二. ‘친척’은 어떻게 형성되는가 293
三. ‘가속家屬’과 ‘가권家眷’은 같은 의미인가 296
四. 친연관계의 맥락 300
五. 고대사회의 혼인관과 가족 성원의 지위 302
六. 같은 처마 안의 친속 306
七. 소가족 주변의 친속 310
제14장 모든 친속관계에 따라 달라지는 부부의 호칭
一. 영원히 한마음으로 연결된 부부 314
二. 거안제미擧案齊眉의 ‘부부’ 317
三. 정통 혼인에서 유리된 ‘부부’ 323
四. 우러러봐야 하는 ‘부군夫君’ 328
五. 고개를 숙이고 내려다봐야 하는 ‘낭자娘子’ 332
六. 겸손한 배우자 호칭 337

제15장 모든 사람에게 가장 친근한 호칭
一. 나를 낳고 길러주신 부모님 342
二. 아버지와 어머니에 대한 호칭 345
三. 영원한 부모 349
四. 강함과 부드러움을 두루 갖춘 부모 356

제16장 연배의 상하에 따른 호칭
一. 부모의 양친 364
二. 부모와 같은 연배의 친척들 369
三. 우리의 다음 세대 372
四. 아들딸 세대와 관련된 호칭 375
五. 어쩌면 얼굴 한 번 보지 못할 수도 있는 친척 380

제17장 형제자매와 관련된 호칭
一. 나의 형제자매들 387
二. 아름다운 나무와 착한 짐승들로 비유할 수 있는 형제 391
三. 형제자매의 서열 396
四. 이성 형제자매 401

제18장 족보와 종족사당 안에서의 조상
一. 족보상의 역대 조상들 407
二. 자손, 후대의 계승 411
三. 사당 안의 조상 416
四. 대가족의 항렬에 관련된 한자 420
五. 사람과 호칭 사이의 다양한 관계 426

주요 참고문헌 431

저자소개

장이칭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1년에 태어나 베이징대학교 중문학과를 졸업했다. 중국 교육부 언어문자응용연구소의 연구원이자 중국 사회과학원 대학원 지도교수이며 중국 언어학회 회원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언어교육과 언어능력 테스트다.
펼치기
푸리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76년에 태어나 베이징대학교 중문학과를 졸업했다. 중국 교육부 언어문자응용연구소 표준어 및 교학연구실 부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언어교육과 언어능력 테스트다.
펼치기
천페이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74년에 태어나 베이징외국어대학교를 졸업했다. 중국 교육부 언어문자응용연구소 표준어 및 교학연구실 부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언어교육과 언어능력 테스트다.
펼치기
김태성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에서 출생하여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어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타이완 문학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중국학 연구공동체인 한성문화연구소(漢聲文化硏究所)를 운영하면서 중국 문학 및 인문저작 번역과 문학 교류 활동에 주력하고 있다. 중국 문화번역 관련 사이트인 CCTSS 고문, 《인민문학》 한국어판 총감 등의 직책을 맡고 있다. 『인민을 위해 복무하라』, 『사람의 목소리는 빛보다 멀리 간다』, 『고전의 배후』, 『방관시대의 사람들』, 『마르케스의 서재에서』등 140여 권의 중국 도서를 우리말로 옮겼다. 2016년 중국 신문광전총국에서 수여하는 ‘중화도서특수공헌상’을 수상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姬(희), 姜(강), 姚(요), 嬴(영), 姒(사), 姙(임), 嬀(규), 妘(운), 姞(길) 등 아홉 개의 성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들 성 모두 ‘女’자를 포함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될 것이다. 이는 중국 초기의 성씨가 모계사회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음을 증명하는 사례라 할 수 있다.
상고시대에 이미 출현했던 이 성씨들 가운데 지금까지 유전되고 있는 것도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는 다른 성씨로 변화하거나 발전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우리가 오늘날 알고 있는 대다수의 성씨는 그 안에 ‘뿌리’를 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일부 학자들은 이 성씨들이야말로 중국 성씨의 원류라고 규정하고 있다.


『한비자』에는 남곽南郭선생의 남우충수(濫竽充數: 피리를 불 줄 몰라 소리 나지 않는 피리로 숫자를 채우는 것) 이야기가 나온다. 제齊나라 선왕宣王은 300명이 함께 연주하는 피리소리를 무척 좋아했다. 성이 남곽인 처사(處士: 벼슬을 하지 않은 선비)가 피리를 불 줄도 모르면서 잘 부는 척하고 이 악단에 들어가 봉록을 받았다. 제 선왕이 죽자 민왕?王이 왕위를 이었다. 민왕은 피리 독주를 좋아했다. 남곽처사는 자신의 실력이 탄로날 것이 두려워 몰래 도망쳐버렸다. 이리하여 ‘남우충수’라는 성어가 생겨나게 되었고 ‘남곽선생’과 ‘남곽처사’는 진정한 실력을 갖추지 못했으면서 전문가들 틈에 끼어 그들과 대등한 혜택과 대우를 누리는 사람들을 지칭하게 되었다.


작명의 금기에는 웃어른이나 성현의 이름을 피하는 것도 있지만 인지상정에 어긋나는 것도 피해야 한다. 전국시대 유명 철학자인 윤문尹文이 쓴 『윤문자尹文子』에는 재미있는 일화가 기록되어 있다. “강구康衢의 한 어른이 하인의 이름을 선박(善搏: 잘 때린다)이라고 짓고, 개 이름을 선서(善?: 잘 문다)라고 지었더니 3년 동안 그 집 문턱을 넘는 손님이 없었다. 어른이 이상하게 여겨 연유를 따져보니 정말로 하인이 손님들에게 폭력을 휘둘렀고 개가 마구 물어댔다. 이에 하인과 개의 이름을 고쳤더니 그제야 손님들이 찾아오기 시작했다.” 이 일화는 우리에게 하인이나 아끼는 개의 이름조차도 인지상정에 배치되는 일이 없도록 세심해야 한다는 점을 가르치고 있다. / 요컨대 사람의 이름은 신중하게 지어야 할 뿐만 아니라 수시로 음미하고 세밀하게 평가할 만한 가치가 있는 것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