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21세기 데모론

21세기 데모론

(변화를 이끄는 유쾌하고 떠들썩한 저항의 미디어, 데모)

김경화, 이토 마사아키 (지은이)
눌민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10% 2,500원
750원
15,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21세기 데모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21세기 데모론 (변화를 이끄는 유쾌하고 떠들썩한 저항의 미디어, 데모)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일반
· ISBN : 9791187750208
· 쪽수 : 228쪽
· 출판일 : 2018-11-27

책 소개

오랜 시간 동안 미디어를 인류학과 문화론의 관점에서 연구해온 두 저자 김경화(일본 칸다외국어대 준교수)와 이토 마사아키(일본 세이케대학 문학부 교수)가 이 질문에 관심을 갖고 공동으로 저술한 결과물이다.

목차

들어가며: “데모는 그 자체로 미디어” (김경화) 5
21세기, 진화하는 데모 5
한국의 촛불집회와 일본의 반원전 데모 7
“데모는 그 자체로 미디어” 11
데모라는 미디어를 탐구하는 두 가지 전략 13

제1부 데모라는 미디어

제1장 데모란 무엇인가 | 데모, 테러리즘 그리고 미디어 (김경화) 23
데모란 무엇인가 24
집단행동의 두 얼굴, 데모와 테러리즘 27
미디어 환경의 변화와 집단행동 30
볼거리와 퍼포먼스, 데모의 또 다른 정의 34

제2장 촛불집회와 태극기집회 | 한국 사회와 데모 (김경화) 37
대한민국 헌법은 데모로 시작한다 38
2017년 봄, 촛불집회를 돌이켜보다 39
자유롭고 개방적인 분위기의 데모 41
촛불집회와 태극기집회 47
촛불집회의 문화적 정체성 49
“사회운동 사회”의 대두 54

제3장 일본의 저항자들 | 축제형 데모의 등장 (이토 마사아키) 59
전환점이 된 2011년 60
진짜 데모인가, 황당무계한 야단법석인가: 원전을 멈추라 데모! 64
인터넷에서 시작된 데모 70
반원전 데모로 끓어오르는 일본 열도 75
축제형 데모의 원조는 반한류 데모? 80

제4장 세계의 저항자들 | 점령 데모의 등장 (이토 마사아키) 87
데모인가, 집단 캠프인가: 월스트리트를 점령하라 88
인터넷에서 시작된 데모 92
타흐리르 광장에서 세계로: 아랍의 봄 97
원조 점령 데모: 인디그나도스 운동 101
새로운 데모의 계보: 세계에서 일본으로 105

제2부 데모의 미디어

제5장 부활, 혹은 진화하는 대자보 | 데모 속 미디어의 계보 (김경화) 117
한국은 데모 선진국일까? 118
“안녕들 하십니까”, 손글씨 대자보의 부활 121
사이버 공간의 점령 데모 127
제1세대 데모와 제2세대 데모 131
저항 미디어의 역사, 대자보 136
부활, 혹은 진화하는 대자보 143

제6장 트위터 혁명의 신화 | 소셜미디어와 데모 (이토 마사아키) 147
소셜미디어와 데모의 관계 148
트위터 혁명의 배후: 2009년 몰도바, 이란 154
소셜미디어 혁명의 원조?: 2006년 벨라루스 160
집합적 기획과 집합적 표현: 동원력을 넘어서는 동원력 166
컬러 혁명 2.0: 4월 6일 운동과 오트포르 171

제7장 홀로그램 속의 시민 | 테크놀로지와 데모 (김경화) 179
유령 데모대의 행진 180
홍보 캠페인으로 기획된 데모 183
홍보 캠페인 접근법의 효용 187
“인터넷 신화”는 깨진 약속이다 191
사상적 리더십과 테크놀로지적 리더십 194
“큰 운동”과 “작은 운동” 196
소셜미디어와 “작은 운동” 198

나가며: “큰 운동”과 “작은 운동”이 교차하는 곳 (김경화) 203
“즐거운 데모”에 주목하다 203
데모가 세상을 바꿀 수 있을까 208

참고 문헌 및 자료 213
본문에 실린 사진 저작권 표시 219
찾아보기 220

저자소개

김경화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인류학과를 졸업하고 한국일보 기자로 사회에 첫발을 내디뎠다. 2000년대 초반 벤처 시절의 포털 사이트 네이버와 다음에서 일했고, 오마이뉴스 재팬 프로젝트에서 COO 이사를 지냈다. 이후 일본 도쿄대학교에서 학제정보학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일본 칸다외국어대학교에서 준교수(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인터넷과 디지털 미디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빠르게 변하는 세상사에 대해 연구하고 글을 쓰고 있다. 지은 책으로 《세상을 바꾼 미디어》(2013), 《휴대폰의 문화인류학》(2016, 일본어), 《21세기 데모론》(2018, 공저)이 있으며, 《The Post-mobile Society: From the Smart/Mobile to Second Offline》(2016), 《Routledge Handbook of Japanese Media》(2018) 등 여러 권의 연구서에 모바일 미디어와 네트워크 문화에 대한 논문을 기고했다.
펼치기
이토 마사아키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1년생. 도쿄외국어대학교 외국어학부 졸업. 도쿄대학교 대학원 학제정보학부 박사 과정 수료. 일본 IBM, 소프트뱅크에서 근무했다. 아이치슈쿠도쿠대학교 현대사회학부 조교수 등을 거쳐 2015년부터 세이케이대학교 문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전공은 미디어론이다. 저서로 『플래시 몹』, 『데모의 미디어론』, 『넷우익의 역사 사회학』이 있다. 공저로 『인터넷이 낳은 문화』, 『기묘한 내셔널리즘의 시대』 등이 있다.
펼치기
이토 마사아키의 다른 책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