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일반
· ISBN : 9791187750208
· 쪽수 : 228쪽
· 출판일 : 2018-11-27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데모는 그 자체로 미디어” (김경화) 5
21세기, 진화하는 데모 5
한국의 촛불집회와 일본의 반원전 데모 7
“데모는 그 자체로 미디어” 11
데모라는 미디어를 탐구하는 두 가지 전략 13
제1부 데모라는 미디어
제1장 데모란 무엇인가 | 데모, 테러리즘 그리고 미디어 (김경화) 23
데모란 무엇인가 24
집단행동의 두 얼굴, 데모와 테러리즘 27
미디어 환경의 변화와 집단행동 30
볼거리와 퍼포먼스, 데모의 또 다른 정의 34
제2장 촛불집회와 태극기집회 | 한국 사회와 데모 (김경화) 37
대한민국 헌법은 데모로 시작한다 38
2017년 봄, 촛불집회를 돌이켜보다 39
자유롭고 개방적인 분위기의 데모 41
촛불집회와 태극기집회 47
촛불집회의 문화적 정체성 49
“사회운동 사회”의 대두 54
제3장 일본의 저항자들 | 축제형 데모의 등장 (이토 마사아키) 59
전환점이 된 2011년 60
진짜 데모인가, 황당무계한 야단법석인가: 원전을 멈추라 데모! 64
인터넷에서 시작된 데모 70
반원전 데모로 끓어오르는 일본 열도 75
축제형 데모의 원조는 반한류 데모? 80
제4장 세계의 저항자들 | 점령 데모의 등장 (이토 마사아키) 87
데모인가, 집단 캠프인가: 월스트리트를 점령하라 88
인터넷에서 시작된 데모 92
타흐리르 광장에서 세계로: 아랍의 봄 97
원조 점령 데모: 인디그나도스 운동 101
새로운 데모의 계보: 세계에서 일본으로 105
제2부 데모의 미디어
제5장 부활, 혹은 진화하는 대자보 | 데모 속 미디어의 계보 (김경화) 117
한국은 데모 선진국일까? 118
“안녕들 하십니까”, 손글씨 대자보의 부활 121
사이버 공간의 점령 데모 127
제1세대 데모와 제2세대 데모 131
저항 미디어의 역사, 대자보 136
부활, 혹은 진화하는 대자보 143
제6장 트위터 혁명의 신화 | 소셜미디어와 데모 (이토 마사아키) 147
소셜미디어와 데모의 관계 148
트위터 혁명의 배후: 2009년 몰도바, 이란 154
소셜미디어 혁명의 원조?: 2006년 벨라루스 160
집합적 기획과 집합적 표현: 동원력을 넘어서는 동원력 166
컬러 혁명 2.0: 4월 6일 운동과 오트포르 171
제7장 홀로그램 속의 시민 | 테크놀로지와 데모 (김경화) 179
유령 데모대의 행진 180
홍보 캠페인으로 기획된 데모 183
홍보 캠페인 접근법의 효용 187
“인터넷 신화”는 깨진 약속이다 191
사상적 리더십과 테크놀로지적 리더십 194
“큰 운동”과 “작은 운동” 196
소셜미디어와 “작은 운동” 198
나가며: “큰 운동”과 “작은 운동”이 교차하는 곳 (김경화) 203
“즐거운 데모”에 주목하다 203
데모가 세상을 바꿀 수 있을까 208
참고 문헌 및 자료 213
본문에 실린 사진 저작권 표시 219
찾아보기 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