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동남아 한인 연구 총서 7 : 미얀마·라오스·캄보디아

동남아 한인 연구 총서 7 : 미얀마·라오스·캄보디아

(새로운 한인 사회의 형성과 확장 가능성)

김희숙, 이요한 (지은이)
눌민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200원 -10% 0원
900원
15,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동남아 한인 연구 총서 7 : 미얀마·라오스·캄보디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동남아 한인 연구 총서 7 : 미얀마·라오스·캄보디아 (새로운 한인 사회의 형성과 확장 가능성)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동양문화읽기
· ISBN : 9791187750536
· 쪽수 : 384쪽
· 출판일 : 2022-04-22

책 소개

불확실성과 기회가 뒤섞여 성장을 견인하는 미얀마·라오스·캄보디아 한인 사회의 미래와 전망. 풍부한 천연자원과 낮은 인건비, 무한한 잠재력으로 무장한 ‘기회의 땅’ 미얀마·라오스·캄보디아에서 살아가는 한인들의 도전과 응전!

목차

머리말 4

1부 미얀마: 한인의 현지 인식과 적응, 그리고 정체성 ⦁ 김희숙

1장 들어가며 15
2장 한인의 미얀마 이주 역사 22
1. 일제강점기, ‘버마전선’의 한인들 22
2. 사회주의 버마의 한인들 28
3. ‘양곤의 봄’ 이후 시장경제로의 이행기 30
4. 경제제재기 34
5. 2011년 개혁개방 이후 40
6. 코로나19와 쿠데타의 이중 위기 속 56
3장 한인 사회의 통합과 분화 66
1. 미얀마 한인 사회 개황 66
2. 주요 한인 단체와 한인의 상호작용 공간 86
3. 분화: 한인 사회의 중심부와 주변부 106
4장 한인의 현지 인식과 현지인과의 관계 116
1. 한인 사회의 ‘파트너’ 담론 116
2. ‘하이랭크’와 ‘로컬’: 한인의 양면적 현지 인식 129
5장 초국적 경험공간의 새로운 정체성과 한인 사회의 미래 142
1. 디지털 시대의 ‘상상된 공동체’와 한인의 국가 정체성 142
2. 1.5세대, 2세대, 혹은 ‘1/2 코리안’의 미래 148
6장 나가며 159

참고자료 166

2부 라오스 한인 사회의 형성과 변화: ‘연속’ 이민에서 ‘직접’ 이민으로 ⦁ 이요한

1장 들어가며 173
1. 연구 목적과 내용 173
2. 연구 방법 177
2장 라오스 한인 이주 배경과 구조 183
1. 왜 라오스로 이주하는가? 183
2. 한인 사회의 기본 구조 196
3장 라오스 한인 이주사 220
1. 불모지로의 이주(1975년 공산화 이전까지) 220
2. 낮아진 장벽, 적은 비용과 경쟁(1990년대부터 2009년까지) 221
3. 러시와 이주 규모의 급증 그리고 한계(2009년부터 현재까지) 231
4장 라오스 한인의 정착 과정 236
1. 정착 동기와 과정: ‘우연한 이민’과 ‘연속 이민’ 237
2. 정착과 적응: 안정된 정치와 정착의 저비용 241
5장 라오스 한인의 사회적 관계와 정체성 251
1. 한인의 사회적 관계와 가족 관계 251
2. 라오스 한인의 현지인과의 관계 260
6장 나가며 266

참고자료 271
인터뷰 대상 및 일정 276

3부 캄보디아 한인 사회 역사와 발전, 그리고 정체성 ⦁ 이요한

1장 들어가며 279
2장 캄보디아 한인 이주 배경과 구조 281
1. 한·캄보디아 관계의 확대 281
2. 지역별 한인 분포 및 구성 291
3장 캄보디아 한인 이주 역사: 형성과 변화 294
1. 초기 이주: 킬링필드의 땅으로 294
2. 이주의 개척자: 기독교 선교사 300
3. 급증한 투자와 한인 이주: 저임금 제조업과 부동산 열풍 302
4. 관광 특수와 씨엠립 한인 사회 307
4장 한인 이주의 정착 환경과 한인 기관 311
1. 한인의 정착 환경 311
2. 한인의 민간단체 328
3. 공공기관과 한인 340
5장 캄보디아 한인의 정착, 적응, 정체성 345
1. 심층 인터뷰 개요 345
2. 한인의 정착과 적응 과정 346
3. 한인의 사회적 관계와 정체성 354
6장 나가며 367

참고자료 371
인터뷰 대상 및 일정 273
부록 - 인터뷰 공통 질문 375
찾아보기 379

저자소개

이요한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부산외국어대학교 아세안연구원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연구 분야는 아세안 및 메콩 국제관계이며 주요 논문으로는 〈일본의 대 메콩 외교 전략과 협력 거버넌스〉(2020), 〈중국의 일대일로와 란창-메콩 협력 거버넌스: 쿤밍-비엔티안 철도 인프라 구축을 중심으로〉(2022), 〈초국경 댐 개발에 관한 수자원 외교: 메콩강위원회의 역할과 과제〉(2023) 등이 있다.
펼치기
김희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북대학교 고고문화인류학과 대학원에서 미얀마 새마을운동 ODA 사업에 관한 연구로 인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부산외국어대학교 인문한국(HK) 연구교수를 거쳐, 현재 전북대학교 동남아연구소 전임연구원으로 재직하며 미얀마를 비롯한 동남아시아 각국의 ‘사람’에 초점을 맞춰 노동ㆍ보건ㆍ복지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저서로는 『코로나19에 맞서는 동남아시아』, 『아시아 체제 전환국 사회보장체계 연구』, 『동남아 문화 돋보기』, 『총체적 단위로서의 동남아시아의 인식과 구성』 등을 공저로 출간하였고, 주요 논문으로는 “국제개발프로젝트를 둘러싼 미얀마 농촌마을의 정치과정”, “미얀마 2019: 로힝자 위기 이후 국제관계의 변화와 총선을 향한 정치과정”, “위기와 기회: 미얀마의 코로나19 대응 특징과 정치적 함의”, “싱가포르의 이원적 코로나19 방역 전략과 그 함의”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한인의 최초 진출 시기는 주변 동남아 국가와 비슷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 세 국가에서 한인 사회의 확장은 매우 더디게 이루어졌고, 현재까지도 현지 국가 내부의 상황이나 외적 요인에 따른 부침도 잦아 앞으로의 확장 가능성을 전망하기도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그렇지만 바로 그런 이유로 이들 국가에서 오랫동안 한인 사회의 확장을 가로막은 주된 요인들은 무엇이었고, 그러한 조건에 한인들은 어떻게 적응 또는 대응해왔는지를 들여다보고 앞으로 한인 사회가 현지에서 한인들이 직면하는 수많은 어려움에 더욱 탄력적으로 대응하면서 원만히 성장하기 위한 방도를 탐색할 필요가 있다.


동남아시아 주변 국가들의 인건비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가운데 가장 늦게 문을 열어 풍부한 저임금 노동시장이 형성되어있던 미얀마는 저렴한 인건비가 이윤 창출의 핵심인 봉제업체들에는 마지막 남은 기회의 땅이나 다름없었다. 하지만 미얀마로 들어온 이들이 마주해야 했던 현실은 녹록지 않았다. ‘버마식 사회주의’의 실패가 초래한 경제적 궁지와 그에 따른 정치사회적 불안은 1988년의 민주화운동, 2007년의 사프란 혁명과 같은 강력한 저항을 불러일으켰다. 그리고 이에 대한 군부의 잔혹한 진압은 급기야 미국을 비롯한 서방국가들의 경제제재 조치를 초래하기에 이르렀다. 그에 따라 희망을 품고 미얀마에 진출한 한인 기업, 특히 봉제업체들은 큰 위기를 맞았다.


한때 5,000명을 넘어서기도 했던 한인 수는 급감하여, 현재 1,000여 명 정도의 한인만이 남아있다고 한다. 개혁개방 전과 비슷한 수준인데, 구성원들에 일부 변화가 있긴 하지만 대체로 최근에 들어왔던 사람들일수록 먼저 빠져나가고 오래전부터 터를 닦아온 이들은 여전히 자리를 지키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현상은 다시 한번 개혁개방 이후 ‘잠재력’을 좇아 미얀마로 들어온 이들이 부닥쳐야 했던 현실이 얼마나 녹록지 않은 것이었는지를, 그리고 미얀마에 대한 기대가 얼마나 이 나라에 잠재해 있는 불안정성에 대한 이해를 결여한 것이었는지를 보여준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