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책읽기/글쓰기 > 책읽기
· ISBN : 9791187890140
· 쪽수 : 316쪽
· 출판일 : 2019-01-30
책 소개
목차
수업을 시작하며
교사가 알면 뭐하나, 할 수 있어야지!
1교시 이렇게 하면 망한다!
_나의 수업 실패기
잘하려는 마음이 엇나가면 비뚤어진다│산전수전, 거듭된 실패를 넘고 넘어│한 한기에 한 권, 제대로 읽기│쉼이 힘이 되는 책 읽기 수업
2교시 사람답게 읽기, 힘들지만 글쓰기
_한 학기 한 권 읽기의 실제
모둠에서 소통해야 똑똑해진다│학생들이 책을 사게 하는 방법│서평 쓰기 어렵다는 아이들, 어떻게 가르칠까│열심히 해도 못하는 아이들 돕기│고쳐쓰기, 교사와 학생의 동상이몽│서평을 안 써오면, 남의 글을 베껴오면 어떻게 할까│수행평가 채점 요령, 평가 민원은 이렇게!
3교시 좋은 사람으로 잘 살기 위한 책 읽기
_독서교육의 문제 상황 해결
일반적인 지도법, 이렇게 적용하면 실패한다│독서 부진아, 무기력한 학생에 대한 대처법│책 읽힐 시간이 없다면 지필시험은 1회만 보자│책 안 읽는 교사가 독서교육 하는 법
4교시 책 읽기는 모든 과목에서 가능하다
_여러 교과의 독서교육 방법
책 읽기와 글쓰기는 대체 왜 필요한 걸까│체육, 수학, 음악 시간에 하는 발췌독서│영어 시간에 하는 인생 문제 토론, 여행 계획 짜기│제2외국어, 한문 시간에는 교양이 되는 내용을 정리하기│역사, 과학, 도덕윤리 시간에는 생각문제 쓰기│사회, 국어 시간에는 구술평가로 면접 연습을!│미술 시간에는 작품집으로 안목 넓히기
5교시 책과 함께, 학생들과 함께
_책 읽기 수업 응용편
난생처음 읽어본 시집의 맛│세 시간 독서토론, 무척 쉬운 방법│책으로 사회문제 다루는 법│인터뷰로 멋지게 사는 인생 알기│교실 안 도서관, 학급문고 만들기│담임선생님이 함께하는 독서 활동│부모가 자녀에게 책을 읽히려면
부록 책 읽기와 글쓰기 수업을 위한 참고 자료
[1] 서평 쓰는 법: 학생에게 주는 설명서
[2] 학생들이 함께 책 읽고 각자 쓴 서평 사례
[3] 학생들이 스스로 문제 내고 답을 쓰는 생각문제 사례
[4] 학생들이 함께 책 읽고 나눈 대화를 정리한 보고서 사례
[5] 학생들이 함께 책 읽고 인터뷰한 내용을 정리한 보고서 사례
리뷰
책속에서
학생들에게 책을 권하고 함께 읽다가도 책 몇 권 읽는다고 해서 애들이 달라지겠어 싶을 때가 있다. 그럴 때는 씨 뿌리는 사람을 생각한다. 가르치는 일은 좋은 씨앗을 뿌리는 일과 닮았다. 그 씨앗이 아이들의 마음 밭에 있다가 인생의 어느 순간에 싹을 틔우기도 하고, 무럭무럭 자라 나무가 될 것이다. 미래를 다 알 순 없지만, 마음에 남는 기억이 하나둘 있을 때 그것이 학생의 삶을 세우는 힘이 되는 것 정도는 안다.
많은 인류의 고전들은 특정한 시기에 인간 공동체가 누군가를 피해자로 만드는 일을 다루고 있다. 하지만 그런 책을 읽고서 강자인 가해자의 시선이나 구경꾼 같은 방관자의 시선을 받아들이는 경우가 꽤 있다. 사람은 자기 처지에 따라 책을 다르게 소화하고, 자신의 인식 수준과 사고의 깊이에 따라 다른 해결책을 찾곤 한다. 같은 책을 읽고 같은 교육을 받고 같은 세상에 살아도 모두 다른 게 바로 인간이다. 그래서 교사는 어떤 것을 투입했느냐에 만족해선 안 된다. 학생에게 무엇이 남았느냐를 살펴야 한다.
가해자나 구경꾼의 시선을 넘어서려면 교사가 학생들을 살피고 말을 걸면서 의미 있는 교육의 길을 터야 한다. 좋은 책을 읽더라도 그 책을 읽고서 학생이 어떤 생각을 만들어내는지 들여다보고 대화를 해야지만 비로소 제대로 된 교육이 이뤄진다. 교육방송 같은 일방적인 강의로는 이런 걸 하기 어렵다. 교사와 학생이 서로 눈빛을 마주치고 말을 주고받아야 독서교육은 깊이가 있게 된다.
한때 나는 수능 문제 출제에 참여한 적이 있다. 강원도의 한 콘도에서 문제를 만든 후에 쉬고 있는데 이런 생각이 들었다. ‘오지선다형 문제를 아무리 잘 내더라도 세상 누구의 기쁨이 조금도 늘어나지 않고, 세상 누구의 슬픔이 조금도 줄어들지 않잖아?’ 선택형 문제는 단순히 푸는 것이지, 학생들에게 어떤 성찰이나 깨달음을 주기는 어렵기 때문에 이런 생각을 한 것이다.
선택형 문제만으로 좋은 교육이 이뤄질 수 있는지에 대해서 나는 회의적이다. 선택형 문제를 통해서는 학생들의 지식을 측정하고 논리력을 확인하며 읽기 능력을 살필 수 있다. 하지만 소통 능력이나 협력 능력, 의미 구성 과정은 이를 통해 살피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래서 학생들에게 책을 읽히고 서평을 쓰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