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수필 2

수필 2

이병기 (지은이)
전북대학교출판문화원
19,5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500원 -0% 0원
970원
18,530원 >
19,500원 -0% 0원
0원
19,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개 19,5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수필 2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수필 2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한국에세이
· ISBN : 9791187892724
· 쪽수 : 284쪽
· 출판일 : 2017-12-29

목차

모악산행기母岳山行記 · 17
부여행扶餘行 · 22
정주 소품靜洲小品 · 25
가을의 경주慶州를 차저 (一) · 33
가을의 경주慶州를 차저 (二) · 36
가을의 경주慶州를 차저 (三) · 40
가을의 경주慶州를 차저 (四) · 43
남위례성南慰禮城을 차즈며 (一) · 47
남위례성南慰禮城을 차즈며 (二) · 51
남위례성南慰禮城을 차즈며 (三) · 54
남위례성南慰禮城을 차즈며 (四) · 57
사비성泗?城을 찾는 길에 (一) · 59
사비성泗?城을 찾는 길에 (二) · 61
사비성泗?城을 찾는 길에 (三) · 64
사비성泗?城을 찾는 길에 (四) · 67
사비성泗?城을 찾는 길에 (五) · 72
지상원족(誌上遠足) · 75
낙화암落花巖을 찾는 길에 · 80
내장산內藏山의 단풍 · 84
한라산漢拏山 · 88
경주慶州의 달밤 · 95
한라산漢拏山 꼭댁이를 향向하야 · 100
마한 고도 익산馬韓古都益山 · 106
후백제 고도 전주後百濟古都全州 · 111
박연행朴淵行 · 118
한양漢陽의 춘교春郊 · 122
자연自然으로 본 경주慶州 · 131
개성開城의 자연自然 · 134
신라新羅 고도古都의 추성秋聲 · 139
해산유기海山遊記 (一) · 142
해산유기海山遊記 (二) · 148
해산유기海山遊記 (三) · 155
해산유기海山遊記 (四) · 161
해산유기海山遊記 (五) · 164
해산유기海山遊記 (六) · 167
해산유기海山遊記 (七) · 170
해산유기海山遊記 (八) · 175
해산유기海山遊記 (完) · 180
서사정逝斯亭과 범양정泛樣亭 · 183
경산 사찰기京山四刹記 · 190
경산 사찰기京山四刹記 (승전承前) · 199
지리·역사·풍광地理歷史風光으로 본 금강산金剛山 · 212
낙화암落花岩 · 224
대은암大隱岩 · 239
도봉산행道峯山行 · 243
남원행南原行 (上) · 249
남원행南原行 (下) · 253


기타 잡문

대중大衆의 기대期待에 부副하라 · 261
내가 본 나, 명사名士의 자아관自我觀 · 263
내가 좋아하는 화초花草와 내 집의 화초花草 · 271
황진이黃眞伊의 시조時調 일수一首가 지침指針 · 273
신인新人 조남령趙南嶺 군君 · 276
시객심회詩客心懷 · 277
나의 독서관讀書觀 · 280
삼천만三千萬의 기원祈願, 기필코 성공成功식히기
바란다 · 282

가람 수필 : 기행/잡문 목록 일람표 · 283

저자소개

이병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시조 시인이며 시조 부흥 운동을 주도한 시조 학자이자 국문학자였던 가람(嘉藍) 이병기(李秉岐)는 1891년 전북 익산에서 출생했다. 유교적인 가풍 속에서 자라난 그는 고향 사숙에서 한문을 수학했고 1906년 18세의 나이에 광산 김씨 집안의 수(洙)와 결혼했다. 1910년 전주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한 후 한성사범학교를 입학한 이병기는 1912년 조선어 강습원에서 주시경 선생의 조선어 문법 강의를 듣기도 했다. 1913년 한성사범 졸업 후 남양, 전주제2, 여산공립보통학교의 훈도로서 교사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고문헌을 수집하고 주석 작업을 하던 이병기는 1921년 권덕규, 임덕재 등과 조선어연구회를 발기하고 간사직을 맡아 조직을 이끌었다. 1926년 영도사에서 시조회를 발기해 민족 문학을 보급하는 데 앞장섰다. 1930년 이후 한글맞춤법통일단 제정위원과 조선어표준어사정위원으로 활동하다가 1942년 조선어학회사건으로 피검되었다.1943년 기소유예로 출감한 이병기는 귀향해 농업에 종사했다. 해방 후 다시 상경해 군정무 편수관으로 피임되어 활동 중 1946년 서울대 문리과대학교수로 부임했고, 다음 해 단국대학, 신문학원, 예술대학에서, 1948년 동국대, 국민대, 숙명여대 등에서 후진을 양성했다. 1950년 한국전쟁이 일어나자 고향으로 돌아가 전주 명륜대학, 전북전시연합대학 교수를 지내다 1952년 전북대학교 문리과대학 학장을 역임했다. 1956년 전북대학교에서 정년 퇴임을 맞이한 이후에도 중앙대, 서울대 등에서 연구와 후학 양성에 힘썼다. 1957년엔 ≪우리말 큰사전≫이 간행되었으나 기념회를 마치고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 뇌일혈이 일어나 이후 고향에서 요양했다. 학술원 공로상(1960), 전북대 명예문학박사학위(1961), 문화포상(1962) 등을 받았다. 10여 년을 병마와 싸우다 향년 78세인 1968년 고향 집 수우재(守愚齋)에서 숨을 거두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