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교양 심리학
· ISBN : 9791187904045
· 쪽수 : 228쪽
· 출판일 : 2017-07-15
책 소개
목차
상담 접수
chapter01 삶의 의미를 찾고 싶을 때
평범한 회사원 정말 시시해요
보람을 찾기 어려운 시대
발을 떼어놓아야 비로소 선택의 길이 열린다
'해피 '와 '럭키 '의 차이
자기실현을 추구한다고 해서 행복해지지 않는다
일중독 인간이 더 불행하다
목표는 많을수록 좋다
하고 싶은 일과 해야 할 일
누구를 위한 일?
관점을 바꾸다
후회하지 않을 이직을 위하여
직장이 나에게 맞는지의 여부보다 만남이 중요하다
행복을 실감하기란
행복은 입으로 느낄 수 있다
처방전
'나 '라는 것
임무와 응답
희망의 수정
chapter02 아름다운 연애를 하고 싶을 때
먼저 무대에 서자
희롱당하는 것이 연애의 묘미
상처 입는 것에 의미가 있다
미남미녀 커플이 없는 이유
맞선만큼 우연한 만남도 없다
너무 완벽한 것도 좋지 않다
언밸런스는 최고의 매력
결혼은 행복일까
카사노바와 돈 후안
처방전
연애, 연애, 연애
열렬한 환영
연애병?
chapter03 진짜 친구를 사귀고 싶을 때
메일이 불러일으킨 영향
메일과 편지의 차이
상상력을 파괴하는 휴대전화
애가 타는 느낌
인간관계의 쿠션
우정의 편의점화
진정한 친구
행복이란 무엇인가?
힘든 시기를 넘어서는 체험
이성간의 우정은 성립할까?
돈으로 행복해질 수 있을까?
처방전
터칭
오랜만의 결혼 피로연
사람 / 시간
chapter04 외모가 마음에 들지 않을 때
여성이 화장을 하는 이유
이미지의 미세한 조정
의복의 에로티시즘
과격한 메이크업이 유행하는 이유
특별한 의미를 지니는 피부
텔레비전은 훔쳐보기 장치
질척거림에 대한 욕망
청결 지향의 안쪽에 있는 것
정말 좋은 얼굴이란
처방전
멋쟁이란?
사람은 왜 패션에 신경을 쓰는 걸까?
브랜드 제품은 어깨를 펴게 한다?
책속에서
좋은 인간관계란 어떤 것일까요?
좋은 친구는 내가 깨닫지 못한 결점을 가르쳐주거나 반대로 내가 알지 못하는 장점을 가르쳐주는 사람입니다.
'서로 이해한다 '를 단순히 '느낌이나 생각을 공유하는 것 '이란 의미로 받아들인다면 사람과 사람이 서로를 위해 취하는 행동은 오히려 약화되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서로에 대한 심리적 의지만 있을 뿐이죠.
타인을 이해하는 것은 자신과 상대가 어떻게 다른가를 알게 되는 과정입니다. 스스로는 어찌해야 할지 몰라 고민이 될 때, '이런 경우 그녀석이라면 이렇게 하겠지 '하고 오히려 상대의 마음이 더 잘 보일 수도 있는 것이지요.
좋은 친구란 다르다는 것을 서로 인정하고, 그 차이에도 불구하고서로 사귀어 나가는 사이가 아니겠습니까?
나의 모든 문제는 세상의 책임이라는 생각이 드나요?
이 질문은 스스로의 선택을 계속 미루기만 했느냐고 묻는 것과 같습니다. 이런 질문에 '그렇다 '라고 답하는 젊은이들을 비난할 수는 없습니다. 사실 고등학교에 진학할 때, "장래에 ○○이 되고 싶으니까 이 학교에 갈 거야. "라며 선택하는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대학 진학시에도 마찬가집니다. 학교 점수와 수능 점수에 의한 순위가 매겨지기 때문에 '이 정도면 이 학교 ' 하는 식으로 학교를 선택합니다. 따라서 내가 선택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선택당하고 있는 겁니다.
자기실현을 목표로 하면 행복해질 수 없다는 뜻입니까?
이곳에서 저곳까지의 길을 만들 때, 근대 사회는 가장 가까운 거리만을 계산하여 만들어
왔습니다. 산이 있으면 터널을 뚫고, 강이 있으면 그 위에 철교를 놓았지요. 가능한 가장 빨리 그곳에 도착하기 위한 최단 거리를 선택했습니다. 누구도 산기슭을 따라, 혹은 강의 흐름을 따라 길을 만들자는 생각을 하지 않았습니다.
자기실현도 이와 마찬가지입니다. 목표를 설정하면 그것을 실현하기 위해 가장 빠른 길을 택하려고 합니다. 하지만 샛길도 없는 일직선의 길이라는 것 자체가 공허하지 않습니까?
행복의 경험이란 건 무엇인가요?
어쩌고저쩌고, 죽어야 당연한 듯이 말을 하면서도 사람은 살아들 갑니다. 의미가 없더라도 말입니다. 죽지 않고 사는 건 인생에서 한 쯤은 행복이라는 것을 경험했기 때문이 아닐까 싶습니다. 인간은 아기로 태어나 누군가의 보살핌을 받으며 성장합니다. 어려움이 닥쳐도 좌절하기보다 버티는 이유는 그 보살핌을 받았을 때의 행복감을 다시 맛보고 싶기 때문인지 모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