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냉면꾼은 늘 주방 앞에 앉는다

냉면꾼은 늘 주방 앞에 앉는다

(산책자를 위한 인문 에세이)

고두현 (지은이)
  |  
문학의숲
2021-04-10
  |  
14,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13,320원 -10% 0원 740원 12,58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인터파크 로딩중
11st 로딩중
G마켓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냉면꾼은 늘 주방 앞에 앉는다

책 정보

· 제목 : 냉면꾼은 늘 주방 앞에 앉는다 (산책자를 위한 인문 에세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인문 에세이
· ISBN : 9791187904335
· 쪽수 : 256쪽

책 소개

통념에 갇혀 있던 일상으로부터 새 길이 열리는 경험을 주는 산책과 같은 에세이가 가득 담겨 있다. 미식가의 발걸음을 재촉하는 맛난 음식의 향기 같은 글이 독자로 하여금 시간과 공간을 넘나들며 옛것과 새것의 향연을 즐기게 한다.

목차

들어가는 글_그리운 것은 내 곁에 있다

1. 길에서 만난, 반짝이는 생의 순간

메밀꽃 피는 봉평에서 그대와 | ‘무진기행’ 따라 순천만 안개나루로 | 억새는 달빛보다 희고…… | 남산, 갈 봄 여름 없이 꽃이 피네 | 해질녘 소래포구의 물결 | 강화도, 그 섬에 가고 싶다 | 나? 경복궁이야 | 근정전에 숨겨진 비밀 세 가지 | 덕수궁 돌담길의 러브 스토리 | ‘덜덜골목’ 정동의 밤 | 한양도성 따라 걷기 | 여행엽서 같은 마포8경 | 복숭아꽃밭 도화동(桃花洞)의 봄 | 약초가게가 많았던 약현(藥峴) | 사연 많은 경의선 | 염천교 수제화거리 | 국내 첫 고가차도 아현고가도로 | 1900년에 생긴 서대문역 | 홍대 경의선 책거리와 윤동주 | ‘펄떡펄떡’ 노량진수산시장 | 고교야구 명소 동대문운동장 | 최초의 돔 실내체육관 장충체육관 | 아, 영도다리 | 해운대 달맞이길에 황금빛 노을이 지면 | 꽃송이 섬 오륙도 | 대구 김광석거리에서 나도 기타를 | 서문시장 국수골목이 유명한 이유 | 제주 3무(無)?

2. 음유시인 조르주 무스타키를 만난 날

“한국 관객 환호 평생 못 잊어” | ‘가요계 혁명가’ 이영훈 | “조용필은 갈수록 노래를 잘해!” | 첨밀밀, 인연이 있다면 | 동갑내기 손기정과 남승룡 | 경주역에서 처음 만난 목월과 지훈 | “길이 없으면 만들며 간다” 교보 창립자 신용호 | 염상섭 옆자리 비워둔 이유 | 교토에서 만난 정지용·윤동주·바쇼…… | 시인 정지용의 휘문고 시절 | 육첩방에서 쓴 동주 최후의 시 | 민음사에서 ‘문청’ 꿈 이룬 박맹호 | 안중근 어머니 조마리아 | 서소문공원에서 순교자 정약종과 | 결혼 60주년에 떠난 정약용 | 다산이 영암군수에게 준 7계명 | 60세까지 무명이었던 표암 강세황 | 독학 건축가 안도 다다오 | 400여 년 전 셰익스피어와 세르반테스 | 수녀원으로 간 세르반테스 | 제인 오스틴의 첫사랑…… ‘오만과 편견’ | 도스토옙스키와 나쓰메 소세키 | 작가 샤토브리앙과 안심요리 | CEO 잡스와 시인 블레이크 | 윈스턴 처칠과 마크 트웨인이 서울에? | 기네스북에 올랐던 117세 ‘만년 소녀’ | 나이팅게일이 ‘백의’의 천사였다고?

3. 우리가 사랑한 LP판과 턴테이블

LP판의 화려한 부활 | 일용 엄니를 놀라게 한 삐삐 | 하루 15만 개 팔리는 삼립빵 | 타자기의 재발견 | 왜 ‘빨간 마후라’일까 | 헌책방, 느리게 흐르는 시간 | 탑골공원의 ‘한류 스타’ 백탑파 | 봄밤의 하모니카 | 새우깡에 든 새우는 몇 마리? | 그 많던 전당포는 다 어디로 갔을까 | 전봇대의 퇴장 | 보신각종 33번 치는 까닭 | 육의전에서 광장시장까지 | 신(新)십장생과 장수 비결 | 사초(史草)는 세검정에서 빨고 | 천자문엔 봄 춘(春)자가 없다 | 아! 구로공단 | 그 시절 국제시장 사람들 | ‘장사의 신’ 객주 | 눈물 젖은 ‘달러 박스’, 원양어업 | 커닝에 대리응시까지…… 과거시험 풍경 | 우린 왜 인쇄혁명이 없었나 | 미학의 역사를 바꾼 사진 | 송편이 반달 모양인 까닭 | 저 달빛엔 꽃가지도 휘이겠구나!

4. 혼자 여행할 땐 새우를 먹지 말라

밥뚜껑 위의 ‘공손한 손’ | 다섯 가지 맛 도다리쑥국 | “홀로 여행할 땐 새우를 먹지 말라” | 가을고등어는 며느리도 안 준다 | 새의 부리 닮은 새조개와 ‘조개의 여왕’ 대합 | 벌교 앞바다의 꼬막 삼총사 | 굴 따는 어부 딸의 얼굴은 하얗다 | ‘꼼장어구이’에 산성막걸리 한잔 | 홍어와 가오리는 어떻게 다른가 | 임진강에 황복이 올라올 때 | 여름 민어는 피부에도 좋다 | 고단백 저지방 참치 | 메밀면은 목젖으로 끊어야 제맛 | 대나무 닮은 대게와 ‘붉은 보석’ 홍게 | 봄꽃게는 알, 가을꽃게는 살 | ‘밥도둑’ 대명사 간장게장 | ‘면역 비타민’ 병어 | 마포나루의 새우젓 부자들 | 겨울 진미 방어는 클수록 좋다 | 주꾸미와 과메기와 숭어 | 입춘 별미 | 오곡도시락의 원조

겨울 맛 여행 1-추울수록 뜨거워지는 동해안의 속맛
겨울 맛 여행 2-통영·거제 생굴과 대구탕
겨울 맛 여행 3-벌교 앞바다 진미의 향연
겨울 맛 여행 4-서해안 간재미와 참매자조림
겨울 맛 여행 5-마산 아구찜과 남해 물메기탕

저자소개

고두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3년 경남 남해에서 태어났다. 1993년 《중앙일보》 신춘문예에 시 「남해 가는 길-유배시첩(流配詩帖)」 연작이 당선되어 등단했다. 잘 익은 운율과 동양적 어조, 달관된 화법을 통해 서정시 특유의 가락과 정서를 보여줌으로써 전통 시의 품격을 높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시집으로 『늦게 온 소포』 『물미해안에서 보내는 편지』 『달의 뒷면을 보다』, 시선집 『남해, 바다를 걷다』 등이 있다. <유심작품상> <김만중문학상> <시와시학 젊은시인상> 등을 수상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덕수궁 돌담길 일대는 조선시대 왕실과 양반들의 주거공간이었다. 19세기 말에는 영국 미국 러시아 등 외국 공관과 선교사들이 세운 정동교회, 현대식 교육기관 배재학당과 이화학당, 국내 첫 호텔인 손탁호텔 등이 이곳에 자리 잡았다.
개화기 외국인들에게는 가구거리(Furniture Street), 장롱거리(Cabinet Street)로도 불렸다. 이사벨라 버드 비숍 여사에 따르면 외국인들은 서랍 달린 큰 책상과 결혼장롱에 매혹돼 영국공사관 근처를 장롱거리라고 이름 붙였다. 1886년 육영공원 교사로 한국에 온 조지 길모어
목사는 “선교사들이여, 책상 가구는 갖고 오지 마시라. 이곳엔 훌륭한 목재가구가 너무나 많다”고 썼다.
덕수궁은 한때 경운궁으로 불렀다가 고종 퇴위 이후에 새로 붙인 이름이다. 소설에 나오는 영성문은 1920년대에 없어졌다. 하지만 사랑의 언덕길 덕분인지 그 이름은 오래 남았다.
그런데 왜 ‘덕수궁 돌담길을 걸으면 헤어진다’는 말이 나왔을까. 여러 속설이 혼재한다. 배재·이화학당 남녀 학생들의 갈림길, 이들의 연애와 이별, 경성재판소에서 이혼하는 부부 등 근거(?)도 다양하다.
덕수궁 돌담길은 여전히 낭만적이다. 연인들이 걷기에 더없이 좋다. 서울시립미술관과 정동극장 등 문화시설이 많아 외국 관광객도 많이 찾는다. 영국대사관 때문에 끊겼던 돌담길 170m 구간까지 연결됐으니 은밀하고도 달콤한 데이트 코스로 그만이다. 덕수궁 수문장과 영국 근위병의 순회경계 행사까지 더해지면 그것도 새로운 볼거리가 되겠다.


누가 놓고 간 걸까. 봄볕이 따사로운 서울 광화문 교보문고 입구, 벤치에 한쪽 팔을 두르고 앉은 염상섭 동상 곁의 도시락 꾸러미. 책을 사서 나오며 다시 보니 오호라! 김밥을 나눠 먹으며 낄낄대는 장난꾸러기, 그림책을 넘기면서 까르륵거리는 여자아이, 그 모습을 카메라에 담으며 연신 함박웃음을 짓는 부모…….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모습이었다.
소설가 염상섭 동상은 원래 생가 근처인 종묘공원에 있었다. 1996년 ‘문학의 해’에 조각가 김영중 씨가 교보생명·교보문고 후원으로 만들었는데, 종묘공원 정비 과정에서 삼청공원 약수터로 이전했다가 2014년 이곳으로 옮겨 왔다.
그의 옆자리는 양쪽 다 비어 있다. 비스듬히 다리를 꼬고 앉은 왼편으로 두어 사람, 오른쪽으로 한 사람쯤 들어가 앉으면 맞춤하다. 무릎 위에 올려놓은 오른손에는 책이 한 권 쥐어져 있다. 지독한 가난 속에서도 눈망울을 반짝거리던 아이들에게 읽어주려던 것일까. 서른둘에 늦장가를 가서 아들 둘, 딸 둘을 얻은 그였다.
그 빈자리에는 누구나 앉아 쉴 수 있다. 하지만 반세기 전 세상을 떠난 한국 근대문학 거봉의 염원으로 보자면 그 자리의 첫 번째 주인은 미래의 독자인 아이들이 좋겠다. 이마에 혹이 난 그의 얼굴 위로 봄 햇살만큼 화사한 아이들의 웃음소리가 퍼지는 풍경은 생각만 해도 행복하다. 아이들을 공신(工神·공부의 신)이 아니라 독신(讀神·독서의 신)으로 키우는 건 우리 모두의 꿈이기도 하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