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91187942696
· 쪽수 : 228쪽
· 출판일 : 2022-09-14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9
서문 11
약어표 15
제1장 구원
1. 들어가면서 19 2. 구원의 대상 20 3. 구원의 근거 23
4. 구원의 방법 27 5. 구원의 목표 32 6. 나가면서: 구원의 결과 35
제2장 종말
1. 들어가면서 39 2. 다윗의 약속에 대한 주석적 설명 40 3. 나가면서 52
제3장 교회
1. 들어가면서 57 2. 교회에 대한 역사서의 용어와 정의 57 3. 언약에 기초한 교회 59
4. 전투하는 교회 61 5. 거룩한 교제가 있는 교회 63 6. 기관으로서 가르치는 교회 66
7. (메시아의 길을 예비하는) 영원한 교회 71 8. 나가면서 73
제4장 성령
1. 들어가면서 77 2. 성령과 능력 77 3. 성령과 예언 85
4. 성령과 직분 90 5. 연속성과 불연속성 92 6. 나가면서 93
제5장 하나님 나라
1. 들어가면서 97 2. 하나님 나라의 개념 98 3. 하나님 나라의 기원 100
4. 하나님 나라의 체제 103 5. 하나님 나라의 성격 108 6. 하나님 나라의 기초 110
7. 나가면서 112
제6장 윤리
1. 들어가면서 115 2. 역사서 윤리의 특징 116 3. 역사서 윤리의 제문제 123
4. 역사서 윤리의 난제 135 5. 나가면서 137
제7장 칭의와 성화
1. 들어가면서: 칭의와 성화의 개념 141 2. 역사서에 나타난 칭의와 성화 142
3. 나가면서 154
제8장 영성
1. 들어가면서 159 2. 기도 160 3. 말씀에 대한 반응 165
4. 찬양 167 5. 믿음의 행위 171 6. 나가면서 176
제9장 선교
1. 들어가면서 179 2. 선교 관련 본문 180 3. 이스라엘과 이방인의 접촉 188
4. 나가면서 193
제10장 고난
1. 들어가면서 197 2. 고난의 표현 197 3. 고난의 원인 199
4. 고난의 목적 207 5. 고난의 본질 213 6. 나가면서 215
성경 색인 216
주제 색인 224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 책의 제목만 본다면, 마치 구약 역사서를 설교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책처럼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이 책은 단순히 설교의 방법론이나 설교의 예시를 위해 쓴 것이 아니다. 그보다 구약 역사서의 본문주석을 통하여 설교를 작성할 수 있도록, 나아가 본문을 메시지로 만들어서 설교에 대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쓴 것이다.
이 책은 열 가지의 주제를 구약 역사서의 본문주석을 통하여 메시지로 구성했다. ‘설교를 위한 주석(homiletic exegesis)’은 설교의 성패가 달려있는 토대에 해당한다. 그런데 여기서 본문을 주석하는 방법으로 문헌학적(언어, 문학) 방법, 역사적 방법, 그리고 신학적 방법을 사용했는데, 이런 방법론을 사용한 이유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독교인은 구원을 영적인 실체를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한다. 특별히 이 땅과 천국에서 누리는 영생을 가리킨다. 그러나 구약에서의 구원은, 물론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가지는 영적인 실체와 관련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주로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이 직면한 위기와 대적, 질병, 여타 위험에서 구출하시는 것이었다. 구약 역사서에서 말하는 구원도 백성이 자신의 죄로부터 영원한 구원을 받는 것이 아니었다. 이것은 옛 언약의 성도들에게는 좀 생소한 개념인 것처럼 보인다. 그래서 이들의 구원은 어떤 면에서 한계가 있다고 하겠다.”
“여기서 다윗 언약의 핵심이 되는 두 가지 요소가 나타난다. 그것은 성전과 왕조이다. 이 말은 하나님께서 견고하게 하실 나라는 신정국가라는 뜻이다. 이는 단순히 무한히 강대해진 나라가 아니라 다른 나라와 완전히 구별되는 하나님의 통치가 이루어지는 나라를 말한다. 사실 다윗은 언약궤를 예루살렘으로 옮기면서 그런 나라를 추구했다. 그는 하나님의 특별 임재의 상징인 언약궤를 수도에 둠으로써 하나님께서 왕으로 통치하시는 체제를 구축하고자 했다(삼하6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