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91188050154
· 쪽수 : 100쪽
· 출판일 : 2017-06-12
책 소개
목차
1장. 서론 1
2장. 노벨상이란 무엇인가? 2
1. 노벨상과 역사 2
2. 노벨상 수상자 선정 과정 5
3장. 전 세계의 노벨상 수상 국가 7
1. 최근 과학계의 노벨상 수상 국가 7
2. 선진국의 노벨상 독점 7
3. 노벨상 수상 동향 분석 10
3-1 경제력이 노벨과학상에 미치는 영향 10
3-2 언어가 노벨문학상에 미치는 영향 11
4. 주요국의 연구개발 투자동향 14
4장. 시대변화 반영하는 노벨상의 흐름 16
5장. 미국, 독일 노벨상의 비결 - 분석과학의 힘 18
1. 독일 18
2. 미국 18
6장. 일본의 역대 노벨상 수상자들 26
1. 일본 역대 노벨상 수상자들 26
2. 노벨상 수상자들의 업적과 성과 소개 28
2-1 화학분야 수상자 28
2-2 물리학상 수상자 38
2-3 생리학·의학상 수상자 51
2-4 문학상 수상자 58
2-5 평화상 수상자 64
7장. 노벨상 수상의 비결 1 - 기초과학연구 67
1. 기초과학 육성을 위한 일본 정부의 노력 67
2. 노벨상의 비결은 ‘사회기반’이었다! 68
3. 우리나라 기초과학 연구의 현주소 69
8장. 노벨상 수상의 비결 2 - 기업문화 70
1. 일본 기업의 지원과 배려문화 70
2. 창조성을 살리는 자유로운 기업 풍토 72
9장. 노벨상 수상의 비결 3 - 헤소마가리 정신 76
1.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오스미 요시노리 교수의 사례 76
10장. 노벨상 수상의 비결 4 - 과거부터 이어져 온 개방적 태도 77
11장 노벨상의 그림자 - 노벨상 수상의 이면 79
1. 경직된 일본 기업문화의 피해자 - 나카무라 슈지 교수 79
2. 일본 노벨상 프로젝트의 적신호 - 이공계 기피 현상과 기업의 실용주의 체제 80
12장. 한국은 왜 노벨상을 받지 못할까? - 네이처(Nature)가 뽑은 5가지 이유 83
13장. 한국은 왜 노벨상을 받지 못할까? 85
1. 한국의 노벨상 수상이 어려운 이유 85
2. 국내 과학계의 안타까운 현주소 87
3. 국내 과학계에서 노벨상 후보로 거론되는 사람들 90
14장. 결론 93
<표 차례>
표-1 국가별 노벨상 수상자 수와 해당국가 GDP와의 비교 10
표-2. 노벨 문학상 국가별 수상자 수와 언어별 수상자 수 비교 12
표-3. 화학상 수상자 26
표-4. 물리학상 수상자 26
표-5. 생리학·의학상 수상자 27
표-6. 문학상 수상자 27
표-7. 노벨 평화상 27
표-8. 김필립 교수 약력 91
<그림 차례>
그림-1. 다이너마이트와 노벨상의 창시자인 노벨 2
그림-2. 노벨상 수상자에게 주어지는 메달 3
그림-3. 노벨상 수상자 선정 과정 5
그림-4. 2016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인 오스미 요시노리(大隅良典) 도쿄공업대 영예교수 7
그림 ―5. 미국·영국·독일 3개국 노벨상 비중 8
그림-6. 노벨상 시상식 9
그림-7. 국가별 총연구개발비 추이(2009년~2013년) 11
그림-8. 왼쪽은 뢴트겐 부인의 손을 x선으로 촬영한 모습. 오른쪽 사진은 뢴트겐의 사진이다. 18
그림-9. 알버트 아인슈타인(Albert Einstein) 19
그림-10 어윈 네어(Erwin Neher) 19
그림-11. 버트 자크만(Bert Sakmann) 19
그림-12. 게르하르트 에르틀(Gerhard Ertl 20
그림-13. 전체 노벨상 수상 현황(1991~2009) 21
그림-14. 노벨 화학상 공동 수상자인 폴 모드리치와 아지즈 산자르 22
그림-15. 아흐메드 즈웨일(Ahmed Zweil) 캘리포니아공대 교수 23
그림-16. 필릭스 블로흐(Felix Bloch)와 에드워드 퍼셀(Edward Purcell) 23
그림-17. 어니스트 로렌스 24
그림-18. 사이클로트론의 구조와 작동 원리를 나타낸 그림 24
그림-19. 네기시 에이이치 교수 28
그림-20. 팔라듐 29
그림-21. 스즈키·미야우라 반응의 촉매 사이클 30
그림-22. 시모무라 오사무 31
그림-23. 다나카 고이치 32
그림-24. 노요리 료지 33
그림-25. 시라카와 히데키 35
그림-26. 폴리아 세틸렌 분자 구조 36
그림-27. 후쿠이 겐이치 37
그림-28. 가지타 다카아키 38
그림-29. 서드버리 중성미자 관측소와 태양 발 중성미자 탐지 40
그림-30. 아카사키 이사무 41
그림-31. 아마노 히로시 41
그림-32. 나카무라 슈지 41
그림-33. 청색 발광다이오드 원리 42
그림-34. 마스카와 도시히데 43
그림-35. 고바야시 마코토 43
그림-36. 난부 요이치로 43
그림-37. 고시바 마사토시 45
그림-38. 에사키 레오나 47
그림-39. 에사키 다이오드 48
그림-40. 도모나가 신이치로 49
그림-41. 유카와 히데키 50
그림-42. 오스미 요시노리 51
그림-43. 오무라 사토시 53
그림-44. 야마나카 신야 55
그림-45. 만능줄기세포(iPS)의 사용 과정 57
그림-46. 도네가와 스스무 58
그림-47. 오에 겐자부로 59
그림-48. 오에 겐자부로 ? 개인적인 체험 60
그림-49. 가와바타 야스나리 62
그림-50. 가와바타 야스나리 - 설국 64
그림-51. 사토 에이사쿠 65
그림-52. 슈퍼 가미오칸데 68
그림-53. 노벨상 수상자인 다나카 고이치 씨(49) 왼쪽 70
그림-54. 다이쇼 시대의 이화학연구소 78
그림-55. 노벨 물리학상 공동 수상자인 나카무라 슈지 교수 79
그림-56. 2010년 노벨 화학상 공동 수상자인 스즈키 아키라 훗카이도 대학 명예교수 81
그림-57. GDP 대비 R&D 투자 비중과, SCI급 논문 편수 83
그림-58. 우리나라 주입식 교육의 본질 85
그림-59. EBS 다큐프라임 <왜 우리는 대학에 가는가> '5부 말문을 터라'의 한 장면 87
그림-60. 노벨상 과학분야 국가별 수상자 수 89
그림-61. 김빛내리 서울대 석좌교수 90
그림-62. 김필립 교수 9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