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창작.문장작법
· ISBN : 9791188071074
· 쪽수 : 112쪽
· 출판일 : 2017-11-13
책 소개
목차
「시인수업」 시리즈를 펴내며
묘사의 새로움과 시적 새로움
1. 묘사란 무엇인가
묘사의 중요성과 지배적인 정황
묘사와 설명의 차이
묘사와 진술의 어울림
묘사의 시적 구조와 구성 원리
2. 서경적 구조와 시점
서경적 고정시점
서경적 회전시점
서경적 이동시점
3. 심상적 구조와 시점
심상적 고정시점
심상적 회전시점
심상적 이동시점
4. 영상조립시점
서경적 영상조립시점
심상적 영상조립시점
영상조립시점의 구성 원리
5. 묘사와 시적 이미지
이미지와 시적 사유
이미지와 미적 갱신의 감각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묘사는 시적 대상이 드러내는 이미지를 구체화하며 감각화된 세계를 소환한다. 그리고 이렇게 소환된 묘사 안에 시인이 말하고자 하는 의지를 내재함으로써, 비유와 상징이라는 시적 구조를 수렴한다. 따라서 묘사는 그 자체가 시의 중요한 원리인 비유와 상징을 수용한다고 할 수 있다.
- 머리말에서
영상조립시점은 서경적 구조와 심상적 구조에 포함된 하위 개념이며, 각기 다른 파편화된 이미지를 일관된 감각으로 수용하여 하나의 시적 세계를 만들어내는 방법론이다. 영상조립시점의 경우, 서로 어울리지 않는 낯선 정황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것을 관통하는 일관된 정서와 감각이 필수적이다. 그렇지 않을 경우, 각각의 영상들이 파편화되어 흩어진 감각으로 전락하기 때문이다.
영상조립시점을 구성할 때의 관건은 조각난 정황들이 일관된 하나의 흐름을 형성할 수 있느냐 없느냐이다. 파편화된 이미지가 조각나 있기만 하고 일관된 감각과 정서를 만들어내지 못하면 영상조립시점은 실패하고 만다. 조각난 이미지를 관통하는 감각과 정서를 확보했을 때, 영상조립시점은 비로소 고유한 구조와 낯선 감각을 소환하며 우리 앞에 모습을 드러낸다. 두 개 이상의 낯선 정황이 충돌할 때, 기존의 정황이 제시하지 못했던 낯선 감각은 만들어진다. 영상조립시점은 이와 같이 낯선 감각을 만들어내는 특성으로 인하여 평범한 정황을 결합시킬 때조차 지배적 감각을 만들어내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