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기초과학/교양과학
· ISBN : 9791188569434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23-03-20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기후위기는 자연재해를 심화시키고, 자연재해는 또 다른 자연재해를 불러온다
1 태풍, 열대 바다에서 만들어진 폭풍우
열대 바다에서 발생하는 태풍 | 태풍의 구조와 특성 | 태풍은 어떤 피해를 줄까
우리나라를 덮친 2000년대 주요 태풍 | 태풍에 대비하는 노력
태풍에서 살아남기 위해 기억해야 할 다섯 가지 기본 개념
재난 생존 매뉴얼
2 쓰나미, 바닷속 지진이 일으킨 해일
바닷속 지진이 일으키는 지진해일 | 지진해일 파동의 특성 | 1960년 이후 주요 지진해일
지진해일에 대비하는 노력
지진해일에서 살아남기 위해 기억해야 할 다섯 가지 기본 개념
재난 생존 매뉴얼
3 폭염, 일상을 방해하는 무더위
일상생활도 못 하는 맹렬한 더위 | 폭염을 일으키는 대기 대순환 | 계속 늘고 있는 폭염
우리나라의 대표적 폭염 | 폭염에 대비하는 노력
폭염에서 살아남기 위해 기억해야 할 다섯 가지 기본 개념
재난 생존 매뉴얼
4 폭우와 홍수, 하늘에서 퍼붓는 엄청난 비
전 세계에서 가장 심각한 자연재해 | 비의 양을 좌우하는 강수 패턴
우리나라에서 일어난 대홍수
폭우와 홍수에서 살아남기 위해 기억해야 할 다섯 가지 기본 개념
재난 생존 매뉴얼
5 한파, 모든 것을 얼리는 추위
얼마나 추워야 한파 특보가 발표될까 | 대기 대순환과 한파 | 해양 순환과 북반구 빙하기
한파에서 살아남기 위해 기억해야 할 다섯 가지 기본 개념
재난 생존 매뉴얼
6 폭설, 녹지 않고 무겁게 쌓이는 눈
폭설 예측은 어렵다 | 폭설은 왜 발생할까 | 우리나라 폭설의 특징
폭설에서 살아남기 위해 기억해야 할 다섯 가지 기본 개념
재난 생존 매뉴얼
7 지진, 격렬하게 움직이는 땅
지진과 파인먼 경계 | 대륙 이동설과 판 구조론 | 지진파의 종류와 지진 크기의 단위
전 세계의 큰 지진
지진에서 살아남기 위해 기억해야 할 다섯 가지 기본 개념
재난 생존 매뉴얼
8 화산, 산에서 뿜어 나오는 용암과 불
지구온난화에 따른 화산 분화 위험 | 화산 분화의 원인, 열점 | 전 세계의 유명 화산
화산 폭발에서 살아남기 위해 기억해야 할 다섯 가지 기본 개념
재난 생존 매뉴얼
9 산사태와 지반 침하, 무너져 덮치는 바윗돌과 흙더미
산사태는 왜 발생할까 | 전 세계의 주요 산사태 | 산사태 피해를 줄이려는 노력
땅이 가라앉는 지반 침하
산사태에서 살아남기 위해 기억해야 할 다섯 가지 기본 개념
재난 생존 매뉴얼
10 대기오염, 숨 쉴 권리를 침해하는 미세먼지
미세먼지는 사회 재난| 에어로졸,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 | 대기오염을 부르는 인간 활동 인공위성이 활약하는 대기오염 감시와 예측 | 온실가스와 에어로졸, 기후변화
대기오염에서 살아남기 위해 기억해야 할 다섯 가지 기본 개념
재난 생존 매뉴얼
11 해양오염, 바다를 떠다니는 쓰레기 섬
기름 유출로 오염되는 바다| 쓰레기로 오염되는 바다 | 해양 쓰레기를 치우는 오션 클린업
해양오염에서 살아남기 위해 기억해야 할 다섯 가지 기본 개념
재난 생존 매뉴얼
12 극지 빙하, 이 순간에도 녹고 있는 얼음 덩어리
빙하의 종류와 움직임 | 타이태닉호를 침몰시킨 빙산 | 사라지는 그린란드 빙상과 남극 대륙
빙상 | 예측이 불확실한 해수면 상승
빙하에서 살아남기 위해 기억해야 할 다섯 가지 기본 개념
재난 생존 매뉴얼
나가며
아직 희망은 있다
저자소개
책속에서
태풍, 쓰나미, 폭염, 홍수, 한파, 지진 등을 우리는 흔히 자연재해(천재지변)라고 합니다. 인간의 목숨과 재산 등에 피해를 주기 때문이죠. 우리에게 아무런 피해를 주지 않으면 자연현상이라고 할 뿐 자연재해라고 부르지는 않습니다. 그런데 자연재해는 오히려 우리에게 여러 유익한 혜택을 주기도 합니다. 이를 ‘자연 서비스 기능natural service function’이라고 하죠. 똑같은 자연현상을 자연재해로 만들 것인가 아니면 자연 서비스 기능으로 만들 것인가는 우리의 노력에 달려 있습니다. 자연재해 피해를 최소화하고 자연 서비스 기능이 주는 혜택을 최대한 누리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지구 환경이 작동하는 과학적 원리를 알아내는 것이 그 출발점입니다.
지구온난화로 해빙이 빠르게 녹으며 태양 복사 에너지가 북극해에 더 많이 흡수되어 북극진동이 음의 위상으로 강화되고, 제트기류가 심하게 사행하면서 대기 순환이 바뀌고 있습니다. 그래서 2010년처럼 북반구 일부 중위도에서는 한 번씩 아주 극심한 한파가 발생하고 있죠. 더욱이 지금처럼 바닷물 수온도 계속 높아지다 보면 해양 순환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해 빙하기까지 올 수 있으니 기후위기의 심각성을 절대 지나쳐서는 안 됩니다.
1975년에 발생한 중국 랴오닝성 하이청 지진은 과학계에서 기적이라고 부를 정도로 흥미로운 사례입니다. 건물이 무너지고 도시 전체가 파괴될 정도로 강력한 지진이었으나, 중국 정부가하이청 주민들을 미리 대피시킨 덕분에 인명 피해는 2,000여 명으로 지진 규모에 비해 적었거든요. 만약 사전 경보나 대피가 없었다면 15만 명 이상의 사상자가 나올 수도 있었던 심각한 규모의 지진이었죠. 중국 정부가 지진 경보를 발령하고, 주민 소개령(한곳의 주민을 분산시키는 명령)을 내려 주민들을 대피시킬 수 있었던 것은 사전에 철저한 과학적 분석이 이루어졌기 때문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