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지구과학 > 해양과학
· ISBN : 9791165349622
· 쪽수 : 476쪽
· 출판일 : 2024-05-31
책 소개
목차
이 책에 쏟아진 찬사
서문
1부 블루 머신이란 무엇인가
1장 바다의 본질
바다의 잠재력을 깨우는 온도 차 │ 별에서 시작하는 바다의 온기 │ 그린란드 상어가 열대의 심해를 찾은 이유 │ 층층이 쌓인 바다가 돼지를 기르게 된 사연 │ 새똥도 보물로 만드는 페루 바다의 날씨 │ 바닷소금의 비밀을 푸는 과학자들 │ 장수거북과 8ℓ의 눈물 │ 가라앉느냐 떠오르느냐, 보라고둥의 생과 사 │ 얼어붙은 북극해를 횡단하는 프람호 │ 심해로 숨어드는, 세계에서 가장 큰 폭포 │ 자전하는 지구 위를 날아가는 포탄 │ 바다는 바람을 따라 흐르지 않는다
2장 바다의 형태
대기와 바다를 잇는 파도 │ 전쟁사에 남은 파도를 읽는 과학자 │ 해수면에서 해저로 나아가기 │ 인류 최초의 심해 탐험가 │ 세계에서 가장 깊은 구멍 │ 움직이는 지각판과 해저지형 │ 바다의 감자밭 │ 심해를 달과 비교하면 안 되는 이유 │ 바다의 가장자리를 그리다 │ 바다와 육지의 중개자, 해조류 │ 신대륙으로 향하는 ‘미역길’ │ 떠나고 또 돌아오는 뱀장어의 생애 │ 하와이 사람들이 해안을 대하는 법
3장 바다의 해부학
따개비의 기억법 │ 배들을 붙잡는 보이지 않는 손, ‘죽은 물’ │ 바다의 수평 이동을 추적하는 최악의 발명품 │ 타이태닉호의 잔해를 역추적하다 │ 깊은 바다를 이루는 아주 작은 죽음 │ 분리되고 섞이는 바다 │ 가로막히는 조류와 내부파 │ 길 잃은 나비고기와 대양 환류 │ 계절풍을 타는 보물선 │ 지구 꼭대기의 수도꼭지
2부 블루 머신을 여행하다
4장 전달자
수중 세계 속 빛의 행방 │ 행성만큼 큰 안테나 │ 파랗지만 파랗지 않은 바다 │ 고요하고 눈부신 대화 │ 바다는 침묵하지 않는다 │ 해덕대구의 나이트클럽 │ 수심 300m의 기묘한 반향음 │ 고래 귀지에 담긴 수난의 역사 │ 지구 반 바퀴를 도는 소리의 고속도로
5장 표류자
코끼리거북의 뜻밖의 여행 │ 바닷속 골드러시를 희망하다 │ 살아 숨 쉬는 플랑크톤의 세계 │ 바다의 보물로 차려진 만찬 │ 버려진 오물과 함께 돌아오는 바다 │ 남극 새우에게 포식자 고래가 필요한 이유 │ 단단한 칼슘의 느긋한 여정 │ 바쁘고 변덕스러운 승객, 탄소 │ 바다가 깊게 호흡할 때 │ 찌꺼기를 위한 찬가
6장 항해자
기묘한 바다 벌레의 사랑법 │ 엄마 펭귄의 효율적 여행 │ 청어를 따르는 자유로운 소녀들 │ 바닷속 오아시스를 찾는 참다랑어 │ 증기선의 등장과 바다와의 단절 │ 시간을 뛰어넘어 부활한 항해사들
3부 블루 머신과 우리
7장 미래
가장 근본적인 문제: 뜨거워지는 바다 │ 몇몇 다른 문제들: 물고기와 플라스틱 │ 과거를 딛고 큰 그림으로 나아가기 │ 가장 강력한 도구: 관점, 지식 그리고 겸손 │ ‘어떻게’ 이전에 ‘무엇을’을 생각하다 │ 인간과 바다
감수의 글
참고 문헌
리뷰
책속에서
바다를 깊이 들여다보는 것은 우리의 정체성과 지구의 거주민이 된다는 개념이 무슨 의미인지 고찰하는 것이다. 먼 우주의 관점에서 인류의 이야기는 햇빛이 지구에 도착하며 시작된다. 도착한 햇빛은 지구 엔진을 통과하며 반사되고 산란되고 흡수되어 다양한 형태의 에너지로 전환된다. 그리고 마침내 다시 빛이 되어 우주로 떠나면서 이야기는 끝이 난다. 우주로 다시 여행을 시작하는 빛에는 보이지 않는 적외선, 숲의 녹색, 바위의 갈색, 구름과 빙하에서 반사되는 하얀빛, 물의 푸른색 등 역동적인 지구의 흔적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단순하고 날카로운 햇빛이 알록달록한 팔레트로 변했다. 이는 살아 있고 끊임없이 움직이는 지구가 우주에 새긴 서명이기도 하다. 대체로 파란 이 서명에 우주를 향한 우리의 메시지가 담겨 있다. “우리는 바다다.”
- 서문
파도 예측에 따르면 가장 선호되는 예정일인 6월 5일은 성공적인 상륙이 불가능했다. 그다음 날은 ‘매우 어렵지만 불가능하지는 않은’ 조건이었고, 그보다 미뤄지면 적당한 시기를 놓치게 되었다. 훗날 뭉크가 동료에게 전한 말에 따르면, 역사에 남은 6월 6일까지 상륙작전을 연기하도록 드와이트 아이젠하워를 설득한 과정에는 파도 예측이 중요하게 다뤄졌다고 한다. 6월 5일에는 연합군에게 심각한 재난을 초래했을 파도가 해안을 덮쳤다. 하지만 지구가 1바퀴 더 자전하면서 바다의 형태가 바뀐 덕분에 인류 역사에서 가장 중대한 상륙작전이 수행된 날에는 훨씬 온화한 파도가 밀려왔다. 작전 첫날 진행 상황은 순조롭지 않았다. 낮은 너울에 상륙정 병력이 뱃멀미에 시달렸지만, 이 침공은 종전의 시작을 알렸다. 해수면의 일시적 형태는 인간사에 현실적이며 실질적인 영향을 미친다.
- 2장 바다의 형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