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후기(영조~순종)
· ISBN : 9791188765973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20-08-31
책 소개
목차
여는 글―동학의 수련법 총론 : 시천주-양천주-각천주
제1부 수운 최제우 : 하늘을 더불어 모시다
Ⅰ. 수운 최제우는 어떻게 살았는가?
1. 혼돈의 변경에 서다 2. 새로운 길을 찾아, 떠나다
3. 새로운 길을 찾아, 돌아오다 4. 새로운 길, 동학을 열다
5. 한울의 덕을, 펼치다-포덕 6. 한울 속으로 돌아가, 순도하다
Ⅱ. 노자의 허심과 수운의 수심 수련법 비교
1. 들어가는 말 2. 노자의 허심 수련법
3. 수운의 수심 수련법 4. 허심과 수심 수련법 비교
5 .나가는 말
Ⅲ. 선불교의 화두선과 동학의 주문 수련법 비교
1. 들어가는 말 2. 육조혜능·마조도일·대혜종교의 수련법
3. 동학의 21자 주문 수련법 4. 화두선과 주문 수련법 비교
5. 나가는 말
Ⅳ. 양명의 치양지와 수운의 시천주 비교
1. 들어가는 말 2. 왕양명과 최제우의 삶과 새로운 수련법
3. 양지(良知)와 천주(天主) 비교 4. 양명과 수운의 수련방법론 비교
5. 나가는 말
제2부 해월 최시형 : 땅을 더불어 그리다
Ⅰ. 해월 최시형은 어떻게 살았는가?
1. 청년 해월, 동학을 만나다 2. 40대의 해월, 동학을 계승하고 재건하다
3. 50대의 해월, 동학을 널리 펴다 4. 60대의 해월, 동학 세상을 지향하다
5. 70대의 해월, 도를 전하고 순도하다
Ⅱ. 해월 최시형의 이심치심 수련법
1. 들어가는 말 2. 이심(以心)
3. 치심(治心) 4. 나가는 말
Ⅲ. 주자의 거경과 해월의 수심정기 비교
1. 들어가는 말 2. 주자의 거경
3. 해월의 수심정기 4. 거경궁리와 수심정기의 비교
제3부 의암 손병희 : 세상을 더불어 살리다
Ⅰ. 의암 손병희는 어떻게 살았는가?
1. 의기남아로 자라나다 2. 새 시대의 동학 청년이 되다
3. 백천간두에 선 동학을 짊어지다 4. 더 넓은 세상으로 나아가다
5. 다시, 개벽하여 천도교 시대를 열다 6. 인류의 가슴에 새 문명 정신을 새기다
7. 의암, 한울로 돌아가 세상에 드러나다
Ⅱ. 의암 손병희의 심성 수련법 연구
1. 들어가는 말 2. 본론
3. 나가는 말
Ⅲ. 의암 손병희의 이신환성설 연구
1. 들어가는 말 2. 신·심·성과 소체·대체의 관계
3. 육신관념을 성령관념으로 바꾸다 4. 나가는 말
저자소개
책속에서
동학 공부 방법론의 요체는 21자 주문 수련
동학의 세 분 스승님의 공부 방법론은 각각 특징이 있지만 그래도 그 바탕에 한결같이 흐르는 정신은 지극한 정성으로 21자 주문에 의지해서 공부하면 결국 내가 모신 한울님을 체득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 결과로 각자위심(各自爲心)의 이기적인 삶, 각자도생(各自圖生)의 투쟁적인 삶이 아니라, 하늘과 사람, 그리고 만물이 서로 조화를 이루고 서로의 행복의 이유가 되어 주는 삶을 살 수 있다는 것이다.
수운 최제우, 후천개벽을 꿈꾸다 순도의 길을 걷다
기울어 가는 나라를 새로이 일으키고, 희망 없이 고통에 허덕이는 민중들을 구원하며, 나아가 이 세상이 새로운 시대로 나아가는 방향을 올바르게 가르침으로써 세상을 구하고자 일생을 바쳐 온 수운 최제우. 새로운 삶의 질서로 영위되는 세상, 후천개벽을 꿈꾸며 살아온 선생은 끝내 이단 사교와 요언으로 백성을 현혹한다는 혐의를 쓰고 순도의 길을 걸어 한울로 돌아갔다(還元).
노자의 허심법, 수운의 수심법, 감각을 타고 넘다
노자는 마음을 비움으로써 도를 온전히 체득하는 경지를 지향했다. 다시 말해 현실 세계에서 직면하는 사태를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거나 감각기관에 구애되지 않고 균형 있게 바라봄으로써 도의 세계에 도달하게 하려고 했다. 반면에 수운은 본래의 마음, 즉 한울님의 마음을 지킴으로써 한울님의 지혜와 덕을 받고 또 이 세상 사람과 만물이 모두 한울님을 모신 존재임을 깨달아서 이 세상이 한울님 세상으로 바뀌도록 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