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교육/학습 > 놀이/체험학습
· ISBN : 9791188806089
· 쪽수 : 388쪽
· 출판일 : 2019-07-10
책 소개
목차
서문
옮긴이의 글
들어가는 글
1장 우리 아이는 왜 가만히 있지 못할까?
우리 아이가 치료를 받아야 할까?
우리 아이는 왜 집중하지 못할까?
우리 아이는 왜 이렇게 힘이 달릴까?
우리 아이는 왜 이렇게 자주 넘어지고 떨어질까? - 낙상
우리 아이는 왜 이렇게 감기를 달고 살까? - 질병
우리 아이는 왜 이렇게 공격적일까? - 공격성
우리 아이는 왜 읽기를 어려워할까? - 눈의 기능과 시각
우리 아이는 왜 감정이 격해질까?
우리 아이는 왜 놀이를 좋아하지 않을까? - 놀이 문화의 변화
2장 신체와 감각
신체
감각
심리
3장 놀이가 답이다
움직임 제한의 영향
활동적 자유 놀이
얼마나 놀아야 하나? - 연령별 적정 놀이 시간
우리 아이, 강하고 유능하게 키우려면
4장 바깥 놀이의 치유 효과
왜 바깥이어야 할까?
자연의 치유 효과
5장 안전을 챙기려다 놓치는 것들
안전 강박증의 실태
아이가 주도하는 놀이와 안전
바깥 놀이를 할 때 알아 두어야 할 안전 상식
6장 놀이터의 변화와 실내 놀이 공간의 문제점
놀이터의 딜레마
실내 놀이터
7장 쉬는 시간과 교실 환경의 중요성
쉬는 시간을 다시 생각한다
교실 환경을 다시 생각한다
어린이집에 대하여
8장 아기의 바깥 활동, 어떻게 시작할까?
갓난아기, 자연에 눈뜨다(생후 여섯 달까지)
자연 속의 아기(7~12개월까지)
안 된다는 말 대신 해도 된다고 말하기
9장 아이가 잘 놀게 하려면?
독립적 놀이의 장애물 걷어 내기
독립심과 창의성을 키우며 놀려면
추천 도서
참고 문헌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나는 작업치료사로 일하며 수련을 하는 동안 신체 활동, 그것도 많은 활동이 아이들의 문제를 예방하는 열쇠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연구와 경험을 통해서도 ‘활동적 자유 놀이’, 특히 ‘야외’ 활동을 통한 놀이야말로 건강한 신체와 정서적 안정, 창의성과 학업의 성공, 탄탄한 사회적 기술을 형성하는 데 꼭 필요하다는 사실을 확실히 깨달았다.
놀이의 동기는 목적이 아닌 방법에서 나온다. 순전히 목적이 있어서 어떤 활동을 한다면, 놀이가 아니다. … 아이들은 대체로 끝낼 목적으로 놀이를 하지 않는다. 놀이는 끊임없이 진화하며 새로운 형태와 계획을 이끌어 낸다. 또한 수동적이지 않으며 끊임없는 평가와 정신 활동을 요구한다. 그렇다 해도 아이에게 스트레스가 없어야 한다. 놀이를 하다 보면 규칙을 절충해야 하고 이따금씩 감정이 상하는 경우도 생겨서, 유쾌하지 않은 순간도 있기 마련이다. 그러나 놀이를 할 수 있는 선택권은 언제나 아이에게 있으며, 놀이를 바꿀 자유도 아이에게 있다. 아이에게 자유롭게 놀 시간을 주는 것은 매우 특별한 선물을 주는 것과 같다. 삶에 필수적인 기술을 키우고 다듬게 하여 성인기를 위해 아이들을 준비시키는, 계속해서 주는 선물이다. 아이는 놀이를 하며 창의성을 키우고 감정을 조절하는 연습을 한다. 사회적 발달을 촉진하고 그 과정에서 자신을 발견하기도 한다.
자연의 자극은 더 상냥하고 미세하며 예방 효과도 있다. 심지어 회복시켜 주는 힘도 있다. 사실상 감각적 존재로 태어나는 우리에게 자연은 ‘궁극의’ 감각 경험을 제공한다. 우리는 감각을 동원해 자신과 세상에 대해 배우며, 감각이 잘 다듬어질수록 모든 일에 수월해진다. 매일 바깥에서 시간을 보낼 수 있다면, 단순히 맨발로 풀밭을 걷고 새소리를 듣는 정도만으로도 여러 측면에서 감각에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