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선생님께는 배우지 않을 거예요

선생님께는 배우지 않을 거예요

(허버트 콜의 교육 이야기)

허버트 콜 (지은이), 오필선 (옮긴이)
에듀니티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10% 2,500원
750원
15,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선생님께는 배우지 않을 거예요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선생님께는 배우지 않을 거예요 (허버트 콜의 교육 이야기)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64250264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19-07-22

책 소개

공교육 개혁, 진보적 교육 운동과 대안 교육을 주창한 교육자 허버트 콜의 생생한 경험을 담은 교육 에세이집이다. 배움의 열쇠를 찾는 교사의 마음에 희망의 빛을 던지는 여섯 편의 등불 같은 이야기를 담았다.

목차

추천의 글
1995년 초판에 부쳐 ― 조너선 코졸
교사 허버트 콜의 꿈꾸는 교육 ― 콜린 그리어

저자 서문 가르침과 배움의 희망 메시지
감사의 글

이야기 하나- 선생님께는 안 배울래요
배움을 거부하려는 의지가 있다·25 / 나는 왜 이디시어 배우기를 거부했나·28 / 읽기를 거부한 배리: 체면 지키기·36 / 대수학을 거부한 릭: 권위에 대한 도전·41 / 그때 배웠더라면·46 / 역사수업을 거부한 아크미르: 편견과 차별에의 저항·50 / 배우지 않으려는 아이들에게서 배우기·68

이야기 둘- 문신한 사나이: 어느 희망 전도사의 고백
운명의 책을 만나다·85 / 세상 너머를 꿈꾸다·90 / 희망의 근원은 어디인가·100 / 환상과 현실의 거리 좁히기·109 / 함께하는 시간이 전부다·118 / 문학과 예술, 더 넓은 세상으로의 초대·121 / ‘교육’이라는 모험에 찬 도전·133 / 실패, 포기, 편견에 저항하기·154 / 동기를 다시 생각하다·162 / 교사-학생, 가르침-배움을 연결하 기·170 / 부정성을 부정하기·175 / 자기자신으로 돌아가는 여행을 돕는 교육·178

이야기 셋- 수월성, 평등, 공평성
교육과정에 깃든 편견의 그림자·185 / 다문화 교실과 공평성·190 / 평등에 조건은 없다·195 /

이야기 넷- 거대한 간극: 정치적 올바름, 핵심 교육과정 그리고 교육 민주주의
정치적 올바름이란 무엇인가·213 / 공교육에서의 ‘정치적 올바름’ 이슈·216 / 허쉬의 리터러시: 문화의 편견이 태어나는 과정·226 / 불평등 무력화와 민주교육·250

이야기 다섯- 창의적 부적응
새내기 교사의 ‘부적응’·257 / 농인 교육에 부적응하기·270 / 창의적 부적응 가르치기·281 / 교육적 무능력을 꼬리표로 덮지 말라·291

역자 후기 교실 벽을 허물고 교육계 전통을 파괴한 교육자, 허버트 콜 –오필선·302

저자소개

허버트 콜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의 공교육 개혁, 진보적 교육 운동과 대안 교육을 주창한 교육자이다. ‘열린 교실open classroom’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1960년대 미국의 열린 학교 운동에도 영향을 끼친 것으로 평가받는다. 뉴욕 브롱크스의 유대인 집안 출신으로 하버드대학교에서 철학과 수학을 공부하였다. 옥스퍼드대학교와 컬럼비아대학교에서도 수학했다. 당시 하버드 대학생이라는 전도유망한 학력에도 불구하고 미국에서 직업 만족도가 비교적 낮은 교직을 소명으로 여겨 1962년 뉴욕 할렘의 공립초등학교에서 교직을 시작했다. 이후 45년 넘게 유치원에서부터 초, 중, 고, 대학을 넘나들며 교육과 저술 활동을 병행해왔다. 1967년 출간한《36명의 아이들36 Children》은 미국 공교육 내 아프리카계 미국인을 비롯한 소수 민족 학생 차별과 계층 문제에 대한 논쟁을 전국적으로 불러왔고, 미국의 대안교육 운동에 영향을 끼쳤다. 같은 해 <타임>지에서는 콜과 조너선 코졸, 존 홀트 등을 공교육에서 광분하는 좌익 마피아라 부르는 시대 분위기를 전했다. 이후 여러 교육 기관과 재단의 지원을 받아 다양한 교육 활동에 참여하며, 《놀이는 쓸데 있는 짓이다》 등 수많은 간행물에 교육 비평과 서평을 기고했다. 콜의 저서는 존 홀트(홈스쿨링), 조너선 코졸(공교육개혁), 조지 데니슨(대안 교육), 존 테일러 개토(공교육 개혁), 닐 포스트먼 등 당대의 진보 교육자와 사상가들에게도 영향을 준 것으로 평가받는다. 전미 도서상인 ‘내셔널 북 어워드National Book Award’, ‘로버트 F. 케네디 북 어워드Robert F. Kennedy Book Award’를 수상했다. 뉴욕시 교사·작가 공동체Teachers and Writers Collaborative를 설립하였고 초대 대표를 역임했다. 2010년 구겐하임 펠로Guggenheim Fellow 교육 분야에 선정되었다. 교육과 사회?역사 분야에서 40권이 넘는 책을 저술했으며, 국내 출간 서적으로는 《떡갈나무 바라보기》(사계절 2002)와 엮은이로 참여한 《뮤즈, 학교에 가다》(디자인하우스, 2013)가 있다.
펼치기
오필선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학생들과 더불어 배우고 있는 성미산학교 교사. 과목의 경계를 넘나들고 학생들과 함께 세상을 탐구하며 좋은 세상을 만들기 위한 실천을 고민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교육 운동에 보탬이 되고자 좋은 책을 발굴해 소개하는 작업도 한다. 주로 교육과 양육 분야의 책을 옮겨 왔으며, 역사와 생태 분야에도 관심이 많다. 옮긴 책으로는 《길들여지는 아이들》, 《수상한 학교》, 《아이를 망친다는 말에 겁먹지 마세요》, 《홈그로운》, 《놀이는 쓸데 있는 짓이다》, 《선생님께는 배우지 않을 거예요》, 《역사에 없는 사람들의 미국사》, 어린이 책인 《너는 학교에 어떻게 가?》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평화주의자이거나 비폭력을 택한 사람이라면 전쟁을 배우라는 압력에도 전쟁을 배우지 않아야 한다. 가난한 사람은 살아남으려면 절망을 배우지 않아야 한다. 기독교인은 거만과 교만을 배우지 않아야 한다. 그 윤리적 스펙트럼의 맞은 편 극단에서 보면 군인은 ‘적’의 생명에 마음 쓰는 법을 배우지 않아야 하고, 고용주는 해고된 사람의 고통을 헤아리는 법을 배우지 않아야 한다. 살다 보면 배우지 않을 기회가 배움의 기회만큼이나 많다.


우리는 되지 않으리라
어느 언덕 위 죽은 듯이 잠든 꽃들처럼
심지어 그 색깔로도
풍기는 향기로도 인정받지 못하는
꽃들처럼
되지 않으리라.


위험을 각오하는 용기는 잘 가르치는 일의 핵심이다. 이 말은 교사로서 체제에 순응하는 길을 배우지 않아야 하고,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영가에서 노래하듯 모두에게 생명의 나무에 닿을 수 있는 권리가 있다는 사상을 힘주어 말해야 한다는 의미다. 우리는 반항하는 학생을 실패자로 낙인찍는 대신, 이 부유한 사회와 그것이 지탱하는 학교에 비판의 시선을 던져야 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