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고전
· ISBN : 9791189171100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18-12-15
책 소개
목차
■ 제1권 기이 제1
1 고조선
2 위만 조선
3 고구려
4 신라
5 석탈해
6 연오랑과 세오녀
7 미추왕과 죽엽군
8 김제상
9 소지 마립간
10 지철로왕
11 도화녀와 비형랑
12 진평왕
13 선덕 여왕
14 김유신
15 태종 춘추공
16 백제 의자왕
■ 제2권 기이 제2
1 문무왕
2 신문왕
3 수로 부인
4 신무왕과 염장과 궁파
5 경문왕
6 처용랑과 망해사
7 거타지
8 김부 대왕
9 백제 무왕
10 가락국기
■ 제3권 흥법 제3
1 아도
2 이차돈
■ 제3권 탑상 제4
1 황룡사 구층 목탑
2 조신
3 신효 거사
■ 제4권 의해 제5
1 원광 법사
2 양지 스님
3 원효 대사
4 의상 대사
5 진표 율사
6 법해 스님
■ 제5권 신주 제6
1 밀본 법사
2 혜통 스님
■ 제5권 감통 제7
1 경흥 스님
2 월명사
3 선율 스님
4 김현
5 정수 스님
■ 제5권 피은 제8
1 낭지 스님
2 신충
■ 제5권 효선 제9
1 김대성
2 손순
책속에서
하느님의 피를 이어받은 단군왕검
하느님인 환인에게는 환웅이란 서자가 있었다.
하늘에서 환웅이 지상을 내려다보니 매우 아름다웠다. 산에는 계절마다 울긋불긋한 꽃들이 만발했고, 하천에는 맑은 물결이 굽이쳐 흘렀으며, 너른 들판에는 오곡백과가 무르익었다.
어느 날 환인이 다가와 환웅에게 물었다.
“아들아, 무엇을 그리 열심히 보고 있느냐?”
“저 아래 지상의 아름다운 모습을 보고 있었습니다. 아버지, 실은 제가 오래 전부터 하고 싶었던 것이 있습니다.”
이렇게 말하며, 환웅은 꿈을 꾸는 듯한 시선으로 아버지를 바라보았다.
“무엇을 하고 싶단 말이냐?”
“지상에 내려가 세상을 잘 다스려보고 싶습니다.”
“그것 참 좋은 생각이구나. 저 아래에 보면 봉우리 세 개가 우뚝 솟아 있지 않니? 그중 가장 높은 것이 태백산1이다. 마음에 드느냐?”
“네 참으로 기백이 느껴지는 산입니다.”
환웅이 만족스러워 하자, 환인은 말했다.
“내가 네 소원을 들어줄 테니, 지상에 내려가 인간을 널리 이롭게 하라.”
이때 환인은 환웅에게 영험한 물건 세 가지를 주었다. 그것은 천부인, 즉 청동검·청동거울·청동방울로 세상 사람들을 다스리는데 꼭 필요한 보물들이었다.
환웅은 곧 세상을 다스리기 위해 무리 3,000명을 거느리고 태백산 꼭대기의 ‘신단수’라는 큰 나무 아래로 내려왔다. 환웅은 그곳을 ‘신시’라 하고, 마침내 천왕이 되어 나라를 다스렸다.
사람이 살아가려면 농사를 지어 곡식을 거두어야만 했다. 가장 중요한 것 세 가지가 공기를 통하게 하는 바람, 지상에 물을 내려주는 비, 그리고 이곳저곳 옮겨 다니며 골고루 비를 뿌리게 하는 구름이었다. 환웅은 바람을 관리하는 풍백, 비를 관리하는 우사, 구름을 관리하는 운사 등의 신하들과 함께 나라를 다스렸다. 즉 곡식을 익게 하고, 생명을 아끼고, 질병을 낫게 하고, 형벌을 다루고, 선악을 구분하는 등 인간 세상의 360여 가지 일을 책임지고 맡아 관리함으로써 세상을 두루 이롭게 하는 데 힘썼다.
♣ 함께 생각하기
절은 어느 곳에 자리를 잡았느냐에 따라 석굴사원, 평지사원, 산지사원의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석굴사원은 암석으로 된 석굴을 이용하여 법당을 만든 것이며, 평지사원은 나라의 왕도를 중심으로 하여 주로 평지에 건립된 것입니다. 그리고 산지사원은 개인의 조용한 수행을 위해 깊은 산과 계곡에 자리를 잡은 절입니다.
석굴사원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경주 신선사의 석굴과 토함산의 석굴암이 있습니다. 평지사원의 경우 고구려의 대표적인 사원으로 평양 동명왕릉 앞에 있는 정릉사, 백제의 사원으로 부여에 있는 정림사, 신라의 사원으로는 경주의 흥륜사와 불국사 등을 꼽을 수 있습니다. 현재 정릉사, 정림사, 흥륜사는 절터만 남아 있습니다.
신라 문무왕 때 세운 사천왕사는 경주 낭산 기슭에 자리를 잡고 있기 때문에 산지사원에 속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처럼 삼국 시대에는 호국불교를 신봉하면서 사원들을 많이 건립했습니다. 호국불교는 ‘왕즉불’ 사상에서 나왔습니다. 이는 ‘왕이 곧 부처’라는 말인데, 불교를 통해 나라를 지키고자 하는 정신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자장 율사, 황룡사에 구층 목탑을 세우다
신라 제27대 선덕 여왕 5년, 자장 율사가 불경을 연구하기 위해 당나라로 건너갔다.
자장 율사가 중국 오대산에 들어가 불법을 익히는데, 문득 문수보살이 나타나 불교의 이치를 가르쳐 주었다.
그때 문수보살은 자장 율사에게 다음과 같이 말했다.
“너희 나라 대왕은 바로 천축의 찰리종왕1으로 이미 불법을 닦고 계시를 받은 자이다. 그런 특별한 인연이 있기 때문에 야만스런 오랑캐 족속들과는 다르다. 그러나 너희 나라는 산천이 험준하여 백성들의 성질이 사납기 때문에 다른 사교를 많이 믿는다. 이따금씩 큰 재앙이 내리는 것은 바로 그 이유 때문이다. 그렇지만 다행히도 나라 안에 불도를 닦는 중들이 있어, 지금은 임금과 신하와 백성들이 평화로운 것이다.”
문수보살은 말을 마치자마자 홀연히 사라졌다. 자장 율사는 감격에 겨워 눈물을 흘렸다.
어느 날 자장 율사가 중국의 ‘태화지’라는 연못가를 지나는데, 홀연히 한 신령스러운 사람이 나타나 물었다.
“그대는 어찌하여 이곳에 오시었소?”
“불도를 닦으러 왔습니다.”
자장 율사의 말에 다시 신인이 물었다.
“그대의 나라에 무슨 어려운 일이라도 있단 말이오?”
“예, 우리나라는 북으로 말갈1과 접하여 있으며, 남으로는 왜국과 바다를 면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웃의 고구려와 백제는 호시탐탐 신라의 국경을 넘보고 있으니, 백성들의 고통이 이루 말할 수 없이 큽니다. 그것이 우리나라의 어려운 일입니다.”
“지금 그대의 나라는 여왕이 통치를 하고 있기 때문에 덕은 있으나 위엄이 없소. 그래서 이웃 나라가 얕잡아보고 침략을 일삼는 것이니, 그대는 빨리 본국으로 돌아가 나라를 도우시오.”
신인의 말에 이번에는 자장 율사가 묻지 않을 수 없었다.
“본국에 돌아가서 소승이 어떤 일로 나라를 도울 수 있습니까?”
“황룡사를 지키는 용은 바로 나의 큰아들이오. 그대는 본국에 돌아가 황룡사에 구층 목탑을 세우도록 하시오. 그러면 이웃 나라들이 모두 항복하고 동방의 아홉 나라가 조공을 해올 것이오. 탑을 세운 후에 팔관회2를 베풀고 죄인을 석방하면 감히 외적들이 해치지 못할 것이오. 그리고 경기 지방 남쪽 해안에 작은 절을 지어 내 복을 빌어준다면, 나도 그 은덕에 보답하겠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