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청소년들아, 설화를 만나자)

김부식, 일연 (지은이), 박건웅 (그림), 리상호 (옮긴이), 정지영
보리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10% 2,500원
750원
15,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청소년들아, 설화를 만나자)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고전
· ISBN : 9791163143574
· 쪽수 : 252쪽
· 출판일 : 2024-04-29

책 소개

보리 청소년 고전 ‘만남’ 시리즈 세 번째 책. 우리 겨레의 오래된 역사책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서 예부터 전해 내려오는 설화와 전기, 민담을 가려 뽑았다. 단군신화부터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의 건국 신화, 그 시대 활약했던 뛰어난 인물들의 이야기, 고단한 삶 속에서 꿋꿋하고 지혜로웠던 백성들의 사연 들을 담았다.

목차

1부 하늘 아래 널리 이롭게 하라
고조선 단군 10
해모수와 유화 13
고주몽 19
유리왕 28
비류와 온조 31
혁거세와 알영 35
석탈해 38
김알지의 출생 42
가락국 이야기 1 44
가락국 이야기 2 47
가락국 이야기 3 49
가락국 이야기 4 53
탐라국 전설 55
후백제 왕 견훤 58

2부 백제는 둥근달 신라는 초승달
여옥과 공후인 62
유리왕과 황조가 64
절로 끓는 밥 가마 66
을두지의 뛰어난 지혜 68
왕자 호동 71
신의를 지킨 도미 부부 73
말 한 필도 돌려보내지 않은 명림답부 76
나라를 위해 싸운 밀우와 유유 78
포악한 왕을 몰아낸 창조리 81
태자의 말 발자국 84
어리석은 개로왕 86
온달과 평강공주 91
노래로 연을 맺은 서동과 선화공주 96
살수대첩의 을지문덕 100
백제는 둥근달, 신라는 초승달 104
백제 마지막 장군 계백 108
떨어져서 죽은 바위 110
망부석과 정읍사 112

3부 거센 물결을 잠재우는 젓대
가배의 유래와 회소곡 116
연오랑과 세오녀 118
댓잎 군사 120
박제상과 아내 122
약밥의 유래 130
도화녀와 귀신의 아들 비형랑 133
황룡사 구층탑 137
토끼와 거북 이야기 141
조신의 꿈 144
성인을 만난 경흥 149
거센 물결을 잠재우는 젓대, 만파식적 152
부례랑이 되찾은 만파식적 156
수로 부인 160
제망매가와 월명리의 전설 163
원성대왕 165
김현과 호녀 168
나라를 지키는 세 용 173
처용랑과 망해사 175
용을 구한 거타지 178
까마귀도 속인 화가 솔거 182
다시 살아난 선율 183

4부 그대를 위하여 방아 노래로 위로하리라
공을 세우고도 인정받지 못한 물계자 188
말 한마디 때문에 목숨을 내놓은 석우로 191
가난한 음악가 백결 선생 194
음악가 우륵 196
죽어서도 왕의 허물을 고친 김후직 199
설 씨의 딸 202
선덕여왕이 알아맞힌 세 가지 206
어진 문장가 강수 210
죽어서 나라를 구한 관창 215
설총과 화왕계 218
붓을 놓지 않은 김생 222
불국사를 세운 김대성 224
장보고와 정년 228
경문와의 나귀 귀 231
뛰어난 문학가 최치원 233
효녀 지은 238

우리 고전 깊이 읽기
⦁ 설화와 전기에 관하여
⦁《삼국사기》와 김부식
⦁《삼국유사》와 일연

저자소개

김부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인종 때 대문장가. 본관은 慶州. 자는 입지(立志). 호는 뇌천(雷川), 시호는 문렬공(文烈公). 신라 왕실의 後裔로 1145년, 고려 인종의 명을 받아 ‘삼국사기’ 正史를 찬진(撰進)함. 얼굴은 검고 우람하였으며 고금의 학식에 있어 그를 당할 사람이 없었다. 신라 무열왕(武烈王)의 후손으로 신라가 망할 무렵에 증조부인 위영(魏英)이 고려태조(太祖)에게 귀의해 경주지방의 행정을 담당하는 주장(州長)에 임명되었다. 그 뒤 김부식(金富軾) 4형제가 중앙관료로 진출할 때까지의 생활기반은 경주에 있었다. 묘청의 난을 평정하여 수충정난정국공신(輸忠定難靖國功臣)의 호를 받았다. 관직에서 물러난 뒤, 1145년에 《삼국사기》를 완성하였다. 한림원에 있을 때에는 사륙변려문체(四六騈儷文體)에서 당, 송 시대의 고문체(古文體)를 수용하였다. 현재 삼국사기 목판본이 보관되어 전하고 있다.
펼치기
일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의 승려이다. 속성은 전씨, 이름은 견명, 자는 회연, 호는 무극·목암이다. 경주 장산군(지금의 경산시) 출신으로, 아버지는 지방 향리 출신인 언필이다. 1206년(희종 2년)에 태어나 1289년(충렬왕 15년) 입적하였다 충렬왕 3년 운문사에 머무르면서 『삼국유사』 집필에 착수하였다. 특정 신앙이나 종파에 얽매이지 않고 다양한 불교 신앙을 표방하는 저술을 찬술했으며, 선과 교를 막론하고 많은 불교 서적을 편수하였다. 9세 때 해양(지금의 光州) 무량사에서 취학했으며, 14세 때 설악산 진전사로 출가하여 대웅장로에게서 구족계를 받았다. 1227년(고려 고종 14년) 선불장에 나아가 상상과에 급제한 이후 포산(현풍현 비슬산)의 보당암·무주암·묘문암 등지에서 머물렀으며, 1237년 삼중대사가 되고 1246년 선사가 되었다. 대몽항쟁기 일연은 포산에서 22년을 보내면서 뚜렷한 행적을 남기지 않았다. 1249년 최씨 무인정권과 밀접한 유대를 가지고 있던 정안의 초청으로 남해 정림사에 머물게 되었다. 이는 일시적으로 최이에게 반발한 정안이 수선사 계통의 승려를 기피하여 가지산문의 일연을 초청한 것인데, 이로 인하여 가지산문의 승려들이 최씨 정권과 연결되어 1251년에 완성된 대장경 조판 중 남해분사에서의 작업에 참가하게 되었다. 1259년 대선사가 되었고, 1261년(원종 2년) 원종의 명에 따라 강화도에 초청되어 선월사에 머물렀는데, 이때 지눌의 법맥을 계승했다. 이는 그가 가지산문(헌덕왕 때 보조선사 체징이 도의道義를 종조宗祖로 삼고 가지산 보림사에서 일으킨 선풍)에서 사굴산문(범일이 강릉의 굴산사에서 선풍禪風을 크게 일으킴으로써 사굴산파 또는 굴산선파라고 함)으로 법맥을 바꾼 것이 아니라 원종을 옹위한 정치세력이 불교계를 통솔하기 위해 일연을 이전의 수선사 계통의 승려를 대신한 계승자로 부각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를 배경으로 가지산문의 재건에 힘썼다. 1268년 왕명에 의해 운해사에서 대장낙성회를 주관하고, 1274년 비슬산 인홍사를 중수한 후 왕의 사액에 따라 인흥사로 개명했으며, 같은 해 비슬산 용천사를 불일사로 개명했다. 1281년 경주에 행차한 충렬왕에게로 가서, 불교계의 타락상과 몽골의 병화로 불타 버린 황룡사의 모습을 목격하였다. 1282년 충렬왕에게 선禪을 설하고 개경의 광명사廣明寺에 머물렀다. 1283년 국존國尊으로 책봉되어 원경충조圓經冲照라는 호를 받았으며, 왕의 거처인 대내大內에서 문무백관을 거느린 왕의 구의례(옷의 뒷자락을 걷어 올리고 절하는 예)를 받았다. 그 뒤, 어머니의 봉양을 위해 고향으로 돌아왔다. 어머니가 1284년에 타계하자, 조정에서는 경상도 군위 화산의 인각사를 수리하고 토지 100여 경을 주어 주재하게 하였다. 경상북도 군위 인각사에서는 당시의 선문을 전체적으로 망라하는 구산문도회를 두 번 개최하였다. 1289년 금강인을 맺고 입적하였다. 대표적인 제자로는 혼구와 죽허가 있다. 저서에는 『삼국유사』 5권, 『선문염송사원』 30권, 『화록』 2권, 『게송잡저』 3권, 『중편조동오위』 2권, 『조파도』 2권, 『대장수지록』 3권, 『제승법수』 7권, 『조정사원』 30권 등을 저술하였다.
펼치기
리상호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50년대에 《삼국유사》를 우리말로 옮겼다. 같은 때 《열하일기》도 우리말로 옮겼다. 고전을 쉬운 우리말로 옮기면서 토박이말을 살려 쓰고 운율감이 배어 있게 하여 우리 고전이 국역 문학으로 새로 태어나게 하였다. 《삼국유사》 말고 다른 책에서 뽑은 글은 북한 사회과학원 고전연구실 학자들이 우리말로 옮겼을 것으로 짐작한다.
펼치기
박건웅 (지은이)    정보 더보기
어렸을 때부터 그림 그리기를 좋아했으며 대학에서 회화를 전공했다. 대학 시절을 거치며 한국 근현대사의 숨겨진 이야기에 관심을 가지고 작업을 해 왔다. 세월호 참사 10주기를 맞아 출간된 그림책 《세월 1994-2014》에 그림을 그렸으며, 빨치산 이야기를 다룬 《꽃》, 한국전쟁 당시 민간인 학살을 다룬 《황금동 사람들》과 《노근리 이야기》, 제주 4·3항쟁을 담은 《홍이 이야기》와 《4·3 표류기》, 비전향 장기수인 허영철 선생의 삶을 다룬 《어느 혁명가의 삶》, 민주주의자 김근태가 남영동에서 견뎌 낸 22일을 기록한 《짐승의 시간》, 인혁당 사형수 8명의 이야기를 담은 《그해 봄》, 독립운동가의 삶을 다룬 《제시 이야기》와 《옌안송》, 사회적 약자인 장애인에게 자행된 착취에 대한 동화책 《섬소년》, 이오덕 동시 선집 《우리 선생 뿔났다》 등을 작업했다. ‘오늘의 우리만화상’(2011년), ‘부천만화대상’ 대상(2014년), ‘대한민국 그림책상’ 장관상(2024년)을 받았다.
펼치기

책속에서



드디어 주몽은 남쪽 땅으로 떠나 엄체수(지금의 압록강)라는 곳에 이르렀다. 강을 건너려고 하였으나 배가 없었다. 그는 뒤쫓는 군사들이 곧 따라올까 봐 근심하였다. 주몽은 채찍으로 하늘을 가리키고 크게 한숨지으며 빌었다.
“나는 천제의 손자요, 하백의 외손이라. 지금 난을 피하여 여기에 이르렀나니 하늘과 땅은 그대의 자손을 불쌍히 여겨 속히 배다리를 놓아 주소서.”
그러고 활로 물을 치니 어느덧 물고기와 자라들이 물 위에 떠올라서 다리를 이루었다. 마침내 주몽은 강을 건너갈 수가 있었다. 얼마 안 있어 뒤쫓아 오던 병사들이 왔으나, 그들이 강가에 이르자 물고기와 자라들이 놓은 다리가 곧 흩어졌다. 그래서 이미 다리 위에 올라섰던 자들은 몽땅 물에 빠져 죽었다.
_22쪽 ‘고주몽’


하루는 곽리자고가 새벽에 일어나서 강에 나가 배질을 하고 있었다. 이때 머리가 하얗게 센 미친 남자 하나가 머리를 갈래갈래로 풀어 헤뜨리고 병을 들고서 세차게 흐르는 물결을 질러 강을 건너가는 것이었다.
그의 아내가 황급히 따라오며 건너가지 말라고 소리쳐 불렀으나 미처 손쓸 사이도 없이 남자는 강물에 밀려 빠져 죽었다.
일이 이렇게 되자 그 아내는 공후를 뜯으며, ‘그대 강을 건너지 말라 하였건만[공무도하]’이란 노래를 지어 불렀는데, 그 곡조가 매우 애달프고 구슬펐다. 그리고 여자는 노래를 마치자 스스로 몸을 강물에 던져 죽고 말았다. _ ‘여옥과 공후인’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