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복지
· ISBN : 9791189213039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19-04-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_웰다잉 사례 연구집을 내며
제1부 웰다잉 사례 연구를 위하여–웰다잉의 조건
1. 좋은 죽음이란 무엇일까?
2. 한국인들은 죽음을 어떻게 대하는가?
제2부 웰다잉 사례연구 1–웰다잉에 부합하는 삶
1. 87세 가주연 할머니의 사례 –되돌릴 수 없는 삶
2. 83세 임 장로의 삶을 통해 본 웰다잉 사례-노화이론에 비춰본 웰다잉
3. 일흔 살의 열정에 도전하는 정순엽 씨 사례-꿈을 꾸는 한 나이를 먹어도 늙지 않는다
4. 독거노인 구○○ 할머니의 삶-무엇이 웰다잉에 부합하는 삶인가?
5. 파킨슨 치매 할머니의 행복한 임종-삶의 추억을 함께하는 임종
6. 자서전을 통해 본 철학자 정종 교수의 삶-웰다잉의 조건
제3부 웰다잉 사례연구 2-존엄한 죽음
1. KBS 스페셜 ‘교회오빠’ 사례를 통해 본 웰다잉-암에서 앎으로
2. 이국의 천사들을 통해 본 웰빙과 웰다잉 사례-사회적 삶의 행복과 죽음
3. 92세에 시를 쓰기 시작한 시바타 도요 씨의 사례-창작활동을 통해 돌아보는 삶과 죽음
4. 한국의 슈바이쳐 故 이태석 신부-꽃처럼 아름다운 삶과 죽음
5. 신념, 기부, 봉사로 이끌어낸 아름다운 죽음 사례-가치 있는 삶과 죽음
6. 우리는 죽음의 방식을 선택할 수 있는가?-내 죽음을 선택할 권리
저자소개
책속에서
사람들은 죽음의 질을 이야기할 때 신체적인 측면을 가장 먼저 떠올리지만, 심리적 측면 또한 죽음의 질에 가장 광범위하고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대표적인 예로 죽어가는 사람들의 1/3 이상이 우울 증세를 보이는데, 이는 일반적인 슬픔과 분명히 구분해야 하며, ‘좋은 죽음’에 아주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좋은 죽음이란 무엇일까>
웰다잉의 ‘웰well’ 그리고 ‘좋은 죽음’의 “좋은”을 단순히 나쁜 죽음의 반대말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 죽음에 대해 연구한 많은 학자들은 사회적으로 죽음이 부정적인 의미로 해석되는 것에 주목한다. 사람들은 죽음을 부정의 가장 대표적 사건으로 보고, 가능하면 피하고 도망가려고 한다. 즉, 죽음의 공포가 자신의 삶을 소극적 행복에 기반을 두도록 한다는 것이다. 공포를 두려워하고 회피하려는 이런 전략은 ‘웰다잉’과 ‘좋은 죽음’에도 많은 영향을 준다.
-<좋은 죽음이란 무엇일까>
웰다잉이란 무엇일까? “남은 인생에 대해서 죽을 준비를 하면서 살면 더 잘 살 수 있을 것 같은 생각을 하였다”는 이 씨의 말이 웰다잉을 대변해준다고 생각한다. 그는 “육신의 아픔이 있었기 때문에 오히려 더 깨어있을 수가 있었다.”고 말한다. 이런 인식은 “암에 걸린 사람들도 웰다잉을 할 수 있을까?”라는 질문에 대한 답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오히려 질병으로 인해 남은 인생에 대해 반문하며 살게 되어 더욱 값진 삶을 살다가 생을 마감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KBS 스페셜 교회오빠 사례를 통해 본 웰다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