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부동산 트렌드 2025

부동산 트렌드 2025

(하버드 박사 김경민 교수의 부동산 투자 리포트)

김경민, 김규석, 이소영, 이보람, 이영민, 정재훈 (지은이)
와이즈맵
2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700원 -10% 0원
1,150원
19,5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8,400원 -10% 920원 15,640원 >

책 이미지

부동산 트렌드 2025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부동산 트렌드 2025 (하버드 박사 김경민 교수의 부동산 투자 리포트)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부동산/경매
· ISBN : 9791189328832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24-09-30

책 소개

매년 빅데이터 분석을 근거로 서울시 집값 예상치와 당해의 투자 이슈를 짚어주는 ≪부동산 트렌드≫ 시리즈가 2025년 부동산 시장을 전격 해부한다.

목차

프롤로그_2025년 부동산 시장이 특별한 이유

Part 1. 2024년 부동산 시장 다시 보기

1) 2024년 부동산 시장에는 어떤 일이 벌어진 걸까?
N자로 반등한 서울 부동산 시장
2) 부동산 트렌드 2025 미리 보기
서울 아파트 골든크로스가 발생하다
*information_공공 택지 기반 민간 아파트 개발안

Part 2. 빅데이터로 분석한 서울&전국 아파트

1) ‘전국’ 아파트 매매 시장 동향
서울 아파트 시장, N파고의 등장과 슈퍼사이클 돌입|전국 광역시 부동산은 어떻게 될까?
2) ‘신도시’ 아파트 매매 시장 동향
상승세가 퍼지는 지역은 따로 있다|①수도권 동남부_강남, 분당, 수지|②수도권 서북부_마포, 일산, 파주
③수도권 서남부_양천, 안양, 김포
*information_서울과 맞닿은 곳에 대입 농어촌 특별전형 대상 지역이 있다?
④수도권 동북부_노원, 남양주, 의정부
3) ‘서울시 구별’ 아파트 매매 시장 동향
서울시 구별 아파트 세대수, 평당가 순위|강남구, 서초구_고가 아파트 시장|노도성(노원구, 도봉구, 성북구)_중저가 아파트 시장|고가 VS 중저가 시장 비교로 보는 시사점
4) 서울시 아파트 공급 부족 사태
빨간 등이 켜진 서울시 입주 물량|서울시 공급 절벽의 3가지 파급효과

Part 3. 2025년 부동산 투자 빅이슈 TOP 6

이슈1) 슈퍼사이클_서울 아파트 대세상승의 신호탄
부동산 이동평균선의 골든크로스|서울 아파트 시장의 슈퍼사이클이 시작되다|강남구 아파트는 이미 출발했다|노원구 아파트는 어디로 향할까?|상승과 하락의 슈퍼사이클이 주는 인사이트
이슈2) 인플레이션_부동산 상승의 기폭제
전 세계에서 월세 폭등이 일어나다|임대료 상승이 집값을 끌어올리는 이유|시공비는 내려간 적이 없다|글로벌 주택 시장은 상승 흐름을 타고 있다
*information_미국 부동산으로 보는 인플레이션 헷지
이슈3) 전세가격 폭등_매매로의 전환을 이끌다
서울시 전세가격은 언제나 우상향했다|대형 단지로 살펴본 전세가격 흐름|전세가격 상승의 3가지 원인|매매로의 전환은 시작되었나?
*information_2024년 현재, 임대차 2법은 무죄다
이슈4) PF 사태_정책 실패와 최악의 공급 부족
PF 대출 연장이 개발을 가로막는 이유|과거 PF 사태에서 우리가 배운 것|사업성 있는 PF가 사라졌다|PF 대출 연장이 불러온 공급 절멸
*information_창조적 파괴 속에 성장한 대한민국 부동산업
이슈5) 공급 절벽_정확히 얼마나 심각한가
빌라와 아파트 모두 급감한 착공 물량|공급 물량의 79%가 특정 지역에 몰려 있다
이슈6) 퍼펙트 스톰_공급 부족과 금리 인하의 협공
부동산 수요: 소득수준과 주택 양극화|부동산 공간: 여전한 고물가 속 공급 절벽|금융 시장: 시점이 문제일 뿐, 금리는 인하된다|모든 지표가 ‘상승’을 가리킨다

Part 4. 12개 대장 단지 상세 리포트

1) 아파트 단지별 슈퍼사이클 확인
대장 단지의 흐름이 바뀌었다|서울시 아파트는 역대 최고가를 경신할 것인가
2) 서울 대장 단지 가격 분석
①종로구 경희궁자이|②강동구 ‘고덕그라테온’|③송파구 헬리오시티|④강서구 마곡엠밸리|⑤송파구 ‘엘리트’|⑥성동구 왕십리뉴타운|⑦중구 남산타운|⑧마포구 마포래미안푸르지오|⑨서대문구 DMC파크뷰자이|⑩관악구 관악드림타운|⑪서초구 반포자이|⑫강남구 도곡렉슬|대장 단지 분석으로 보는 서울 부동산 6가지 인사이트

Part 5. 2025년 부동산 가격 大예측

1) 서울시 집값 시나리오
서울시 부동산 가격 예측 모델|2025년 서울시 아파트 가격 시나리오
*information_임대차 2법 폐지 후 매매가격 상승 시나리오
강남·서초구 아파트 가격 예측|노도성 아파트 가격 예측|정부의 부동산 시장 개입 가능성
2) 대한민국 부동산 시장이 가야 할 방향
중산층과 서민을 위한 ‘NEW리츠’ 정책|알래스카보다 낮은 서울 아파트 재산세

Part 6. 주목해야 할 ‘핫 플레이스’
1) 요즘 상권의 새로운 소비문화
더욱 짧아지는 상업공간의 생애주기|소비행동이 만들어가는 새로운 공간|상권을 뒤흔드는 대기행렬 ‘오픈런’|일시적 매장의 무한한 가능성 ‘팝업 스토어’|브랜드의 얼굴 ‘플래그십 스토어’|도시를 점령한 팝업&플래그십 스토어
2)서브컬처가 살아있는 4세대 홍대
홍대는 어떻게 덕후의 성지가 되었나|동네카페의 깜짝 변신 ‘생일카페’|젊은 고객을 사로잡은 취향 가득 문구점|4세대 홍대의 경쟁력

특별부록_전세사기는 사회적 재난이다
참고문헌

저자소개

김경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지리학 학사, UC 버클리 정보시스템 석사를 거쳐 하버드대학교에서 도시계획·부동산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도시계획 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다. 보스턴 소재의 상업용 부동산 리서치회사 PPR에서 오피스 가격 예측 모형을 구축하고 글로벌 부동산을 연구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빅데이터 기반 부동산 시장 분석, 글로벌 오피스 비교, 공공민간협동개발 등이다. 지은 책으로는 빅데이터로 부동산 시장을 분석한 ≪부동산 트렌드≫ 시리즈와 ≪부동산 메가트렌드 2020≫, 도시개발의 방향성을 제시한 ≪도시개발, 길을 잃다≫, 익선동의 가치를 재조명한 ≪리씽킹 서울≫, 북촌을 개발한 기농 정세권 선생을 다룬 ≪건축왕, 경성을 만들다≫ 등이 있다. <조선일보>에 월 1회 ‘김경민의 부트캠프’를 연재하고 있으며, SBS <교양이를 부탁해>, MBC <손에 잡히는 경제 플러스>, KBS <머니올라> 등 다양한 미디어에 컨트리뷰터로서 정기적으로 출연 중이다. ‘김경민의 노트’라는 유튜브 채널에서 부동산 트렌드에 관한 정보를 공유한다.
펼치기
김규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항공대학교와 아주대학교에서 정보통신공학 학사, 석사 과정을 밟은 뒤 서울대학교에서 도시계획학 박사를 수료했다. 2011년부터 2020년까지 LG전자와 LG유플러스 연구소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 및 홈 미디어 서비스 R & D 분야에서 근무했다. 2020년부터는 한국폴리텍대학 AI금융소프트웨어과 조교수로 재직하면서 제자들을 개발자의 길로 인도하고 있다. 그간 쌓은 개발자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개발자 연구 & 개발 성향 검사인 'RDTI(Research & Development Type Indicator)'를 개발해 특허를 출원했으며, 이 책에서 RDTI의 4가지 개발자 유형별 맞춤 학습 방법과 취업 전략까지 소개하고 있다. 공동 저서로 《나도 하는 파이썬 데이터 분석》, 《난생처음 데이터 분석 with 파이썬》이 있다. 개발자 연구 & 개발 성향 검사 RDTI_ 특허 출원 번호: 40-2024-0060203 [유튜브] www.youtube.com/@kyuseokworld [개인 홈페이지] kyuseokkim.com
펼치기
이소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예술종합학교 건축 전공, 서울대학교에서 도시계획 석·박사 과정 수료. 건축설계회사와 시행사에서 주택 공급과 리테일 컨설팅을 담당했다. 주 연구 분야는 빅데이터와 머신러닝을 활용한 리테일 시장 분석 및 지표 개발이다.
펼치기
이보람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코넬대학교 도시계획학 전공, 서울대학교에서 도시계획 석·박사 과정 수료. 서울시, 행정안전부 등 공공기관 및 LG전자 등 민간기업의 다양한 학술 연구용역을 수행했다. 시행사에서 임대주택 개발 업무를 경험했으며 관심 연구 분야는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상업용 부동산과 부동산 금융이다.
펼치기
이영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학사, 도시계획학 박사. 서울주택도시공사 SH도시연구원에서 부장으로 재직 중 이다. 공공개발, 부동산 분야를 주로 연구한다. 노후공공청사 복합개발, 노후임대주택 재건축, 지분적립형 분양주택 등 국가 정책을 기획했다. KB국민은행과 임차형 공공주택 플랫폼 출시를 주도했다.
펼치기
정재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건축학 학사, 동대학원에서 도시계획학,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KB국민은행 부동산사업부에서 수석차장으로 재직 중이다. 서울주택도시공사에서 도시정비 연구를 했으며 KB오피스텔, 오피스투자지수 등 상업용 부동산 지수를 구축·운영했다. 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 겸임교수로 활동하며, ‘KB부동산TV’ 유튜브 채널을 운영 중이다.
펼치기

책속에서

필자가 보기에 지금 부동산 시장은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그래서 이번 ≪부동산 트렌드 2025≫는 남다른 의미가 있다. 이 책의 부제에도 썼듯 2025년은 서울 부동산이 ‘슈퍼사이클’의 파도를 타는 해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계속되는 인플레이션, PF 사태 연장, 최악의 공급 위기, 시중금리(국고채 10년물 금리) 인하 등 복합적 요인이 맞물려 부동산 시장은 ‘대세상승’이라는 새로운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프롤로그 「2025년 부동산 시장이 특별한 이유」중에서


결국 작년 책을 요약하면, 공급 부족 이슈가 현실화될 것이기에 2023년 하반기 대비 2024년 금리가 하락하는 경우(주택담보대출 금리의 하락) 서울시 부동산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보았다. 이의 연장선상에서 정부의 정책 실패가 존재하는 경우 집값 상승 가능성과 더불어 ‘전략적 대처(실거주자의 경우 매수)’를 조언했다. 작년에 제시했던 전망은 2024년 7월 현재도 유효하다. 오히려 예상보다 빠르게 시장이 움직이고 있다.
-Part1. 「2024년 부동산 시장 다시 보기」중에서


부동산 시장에는 특정 지역이 가지는 위계가 존재한다. 이는 각 지역의 주택 가격 상승률 같은 지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2013년 1분기부터 2024년 2분기까지 강남구와 분당구는 누적해 112.7%, 103.2% 상승했지만 수지구는 82.1%에 그쳤다. 서울시 강남구와 경기도 분당구는 누적 상승률이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비록 분당이 강남보다 주택 가격 상승세를 조금 늦게 타기 시작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두 지역의 누적 상승률은 결국 비슷해진다. 하지만 경기도 수지구의 경우 상황이 다르다. 수지구의 누적 상승률은 강남구나 분당구에 비해 현저히 낮은 편이다. 그 이유는 수지구 주변에 새로운 아파트를 대량으로 공급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있기 때문이다.
-Part2. 「빅데이터로 분석한 서울&전국 아파트」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893288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