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사회 정의에 대한 기독교인의 12가지 질문

사회 정의에 대한 기독교인의 12가지 질문

(비진리와 타협하지 말고 불의에 맞서라)

타데우스 윌리암스 (지은이), 이제롬 (옮긴이)
개혁된실천사
2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6,100원 -10% 0원
1,450원
24,6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사회 정의에 대한 기독교인의 12가지 질문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사회 정의에 대한 기독교인의 12가지 질문 (비진리와 타협하지 말고 불의에 맞서라)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일반
· ISBN : 9791189697396
· 쪽수 : 520쪽
· 출판일 : 2022-11-11

책 소개

철저히 성경적이고 논리적인 동시에 균형 잡힌 시각을 제공해 준다. 말씀의 진리로 무장하여 불의에 맞서고자 하는 모든 신자들에게 복음의 빛을 비춰주는 등대가 된다.

목차

서문 : 존 퍼킨스(John Perkins)
이 글을 쓰는 이유는 무엇인가?
“사회 정의”란 무엇인가?

1부 여호와인가 아니면 이세벨인가?
: 사회 정의와 경배에 관한 세 가지 질문

1장. 하나님에 관한 질문
: 사회 정의에 관한 우리의 시각은 하나님의 하나님 되심을 진지하게 받아들이는가?
/ 에디의 이야기

2장. 형상에 관한 질문
: 사회 정의에 관한 우리의 시각은 모든 사람이 외모나 피부색, 성별이나 신분에 관계 없이 하나님의 형상이라는 사실을 인정하는가?
/ 월트의 이야기

3장. 우상에 관한 질문
: 사회 정의에 관한 우리의 시각은 내 자신과 국가, 혹은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것으로부터 거짓된 신을 만들어내는가?
/ 베켓의 이야기

2부 연합인가 아니면 소란인가?
: 사회 정의와 공동체에 관한 세 가지 질문

4장. 집단에 관한 질문
: 사회 정의를 바라보는 우리의 시각은 “아담 안에” 있고 “그리스도 안에” 있는 우리의 정체성보다 집단의 정체성을 더욱 중요하게 받아들이는가?
/ 에드윈의 이야기

5장. 분열에 관한 질문
: 사회 정의를 바라보는 우리의 시각은 분열적인 선전을 수용하는가?
/ 써레쉬의 이야기

6장. 열매에 관한 질문
: 사회 정의를 바라보는 우리의 시각은 사랑과 화평, 인내 대신에 의심과 분열, 분노를 받아들이는가?
/ 미셸의 이야기

3부 죄인인가 아니면 제도인가?
: 사회 정의와 구원에 관한 세 가지 질문

7장. 불균형에 관한 질문
: 사회 정의에 대한 우리의 시각은 비난의 여지 없는 사실보다 비난할 만한 이야기를 더 선호하는가?
/ 새뮤얼의 이야기

8장. 피부색에 관한 질문
: 사회 정의에 대한 우리의 시각은 인종적 갈등을 부추기는가?
/ 모니크의 이야기

9장. 복음에 관한 질문
: 사회 정의에 대한 우리의 시각은 역사상 가장 기쁜 소식을 왜곡하는가?
/ 오조의 이야기

4부 진리인가 아니면 집단적 사고인가?

10장. 터널 시야에 관한 질문
: 사회 정의에 대한 우리의 시각은 사물을 바라보는 한 가지 관점을 모든 것을 바라보는 유일한 관점으로 삼으려 하는가?
/ 닐의 이야기

11장. 고난에 관한 질문
: 사회 정의에 대한 우리의 시각은 “삶의 경험”을 통해 아파하는 사람을 더욱 고통스럽게 하는가?
/ 벨라의 이야기

12장. 관점에 관한 질문
: 사회 정의에 대한 우리의 시각은 진리를 찾기 위한 탐구를 정체성 놀이로 둔갑시키는가?
/ 프레디의 이야기

에필로그 : 사회 정의 A와 B 사이의 12가지 차이점

-부록 A : 낙태와 태아의 생존권
-부록 B : 흑인과 백인
-부록 C :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부록 D : 성에 대한 정의
-부록 E : 문화 전쟁의 종식
-부록 F : 취약성과 반취약성
-부록 G : “가난한 자에게 복음을”

미주

저자소개

사디어스 윌리엄스 (지은이)    정보 더보기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자유대학교(Vrije Universiteit Amsterdam)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바이올라대학교(Biola University)의 신학대학원인 탈봇신학교(Talbot School of Theology)에서 조직신학 조교수로 섬기면서, 학생들에게 예수님에 대한 이해와 즐거움을 확장시켜 주는 일에 힘쓰고 있다. 새들백칼리지(Saddleback College)에서 철학과 문학을 가르쳤으며, 트리니티로스쿨(Trinity Law School)에서 법학을, 스위스와 네덜란드 라브리(L’Abri Fellowships)에서 기독교 세계관을, 워싱턴 DC 연방주의자협회 블랙스톤 법학 인턴십 프로그램(Blackstone Legal Fellowship)에서 윤리학을 가르치기도 했다. 사랑하는 아내와 네 자녀와 함께 캘리포니아주 오렌지카운티에 살고 있다. 다른 저서로 《사회 정의에 대한 기독교인의 12가지 질문》이 있다. www.thaddeuswilliams.com
펼치기
이제롬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려신학대학원에서 목회자가 되기 위한 공부를 마치고, 고신대학교에서 조금 더 신학 공부를 하며 목사 안수를 받았다. 그리고 7년 동안 네덜란드와 미국, 캐나다 등지를 다니며 교회를 배웠다. 저서로는 『캐나다개혁교회 체험기』(개혁된실천사)가 있고, 『여성들의 종교개혁』(지평서원), 『교회의 재발견』, 『사회 정의에 대한 기독교인의 12가지 질문』(이상 개혁된실천사) 등의 역서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나는 21세기 교회가 직면해 있는 가장 거대하고 뚜렷한 시대상을 보여주는 논란거리들 중에 하나가 바로 ‘사회 정의’(social justice)라고 확신한다. 20세기에는 사회학 수업을 청강하거나 지역 사회의 활동 단체에서 주관하는 집회에 참석해야 사회 정의라는 표현을 들어볼 수 있었다. 그러나 지금은 커피숍에서는 물론, 음료수나 신발, 혹은 면도 크림 광고에서, 패스트푸드 상점이나 축구 경기장에서, 인터넷 검색창과 블록버스터 영화에서, 유치원 교육 과정이나 트위터 글귀에서, 전국 단위의 방송매체 뿐만 아니라 교회의 강대상까지 모든 곳에서 이 말을 들을 수 있다. 이런 현상을 진보로 보아야 할 지, 아니면 해로운 일로 보아야 할지는 사회 정의에 관한 논쟁과는 아무런 상관도 없는 것처럼 보이는 다음의 질문들에 달려 있다. “하나님은 누구신가?”, “인간이 된다는 말은 무슨 뜻인가?”, “교회가 존재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언제 세상은 잘못되었고, 어떻게 해야 그것을 바로잡을 수 있는가?” 그리스도인으로서 21세기의 사회 정의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한다면, 그것은 현시대의 문제만이 아니라 지난 2천 년의 교회 역사에서 우리들이 마주해온 모든 커다란 질문들을 함께 직면하는 것이다. 정말로 중요한 사안을 보다 깊이 들여다볼 수 있는 사람은 많지 않다.”
-서문 중에서


“과연 제도적인 불의라는 것이 있을까? 물론이다. 전쟁 이전, 즉 미국의 남북 전쟁이 일어나기 전의 노예 제도나 전후의 짐 크로우 법 등을 제도적인 불의 외에 달리 무어라 부를 수 있겠는가? 그 밖에도 아파르트헤이트나 카스트 제도, 혹은 인신매매 등은 제도적 불의가 아니고서야 다른 어떤 말로 부를 수 있다는 말인가? 성경은 “율례를 빙자하고 재난을 꾸미는” 사람들과 어울리지 말라고 경고한다. 즉 인간의 법전 안에 하나님의 법에 대한 불순종을 끼워 넣는 사람을 경계하라는 말씀이다.”
-6장에서


“악한 인간이 곧 악한 법을 만든다. 우리의 죄를 제도화하는 것이다. 하인리히 힘러, 헤르만 괴링, 그리고 아돌프 히틀러는 그저 개인적으로 반유대인적 죄악을 표출한 것이 아니다. 그들은 유대인 거주 지구(ghetto)와 가스실 등으로 죄악을 조직화했다. 흑인을 적대시하는 인종 차별의 죄 또한 개인적으로 표현된 것이 아니었다. 그것은 미국의 노예 매매, 연방 대법원의 씻을 수 없는 오명을 남긴 드레드 스콧(Dred Scott) 판결, 짐 크로우 법, 버스 안에서 흑인이 백인에게 자리를 내주어야 한다고 규정한 알라바마 주 법령, 특정 지역에 대한 대출 거부 등, 기타 수많은 법규를 통해 조직적인 뼈대를 갖추게 되었다. 인도의 카스트 제도 역시 대부분의 시민들에게 “불가촉천민”이라는 딱지를 붙였는데, 힌두교 사회는 바로 이런 불의를 바탕으로 세워진 제도 위에서 그 기능을 해 나갔다. 그 외에도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아파르트헤이트, 중국의 한 자녀 정책 등 제도적인 불의는 그 끝을 모르고 한 없이 계속된다.
-7장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