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임원경제지 섬용지 2

임원경제지 섬용지 2

서유구 (지은이), 임원경제연구소 (옮긴이)
풍석문화재단
3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9,700원 -10% 0원
1,650원
28,0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8개 24,75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임원경제지 섬용지 2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임원경제지 섬용지 2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한국학/한국문화 > 한국인과 한국문화
· ISBN : 9791189801458
· 쪽수 : 313쪽
· 출판일 : 2021-10-01

책 소개

풍석 서유구 선생이 저술한 <임원경제지> 16지 가운데 주거생활, 일상용품과 관련한 전반적인 지식과 정보를 담고 있는 9번째 지(志). 당시 조선 사람들이 어떤 공간에서 어떤 도구를 사용하며 어떻게 살았는지 생활상을 생생히 들여다볼 수 있다.

목차

《섬용지》 권3 해제
일러두기

섬용지 권제3 贍用志 卷第三

복식 도구 服飾之具

1. 쓰개 冠巾

1) 갓 笠
2) 갓 때 벗기는 법 洗笠汚法
3) 삿갓 蓑笠
4) 망건 網巾
5) 망건의 때를 제거하는 법 網巾去垢法
6) 복건 幅巾
7) 치관(치포관) 緇冠
8) 와룡관 臥龍冠
9) 동파건(동파관) 東坡巾
10) 방관 方冠
11) 털모자 毳帽

2. 옷과 갖옷 衣、裘
1) 도포 道袍
2) 심의 제도 深衣制度
3) 심의 제도에 관한 변증 深衣辨證
4) 학창의 鶴氅衣
5) 편복 便服
6) 갖옷 裘
7) 전구 氈裘
8) 배자 褙子
9) 등배자(등등거리) 䕨褙子
10) 토시 手套
11) 휘항(휘양) 揮項
12) 풍차 風遮
13) 털버선 毛韤
14) 가죽 제품 皮貨
15) 가죽 제품을 보관할 때 좀 쏠지 않게 하는 법 收皮物不蛀法
16) 전 제품을 보관할 때 좀 쏠지 않게 하는 법 收氈物不蛀法
17) 모전으로 만든 옷 세탁법 洗毛氈衣法

3. 이부자리 衾褥
1) 이불 衾
2) 두 채의 이불을 나누고 합치는 법 兩衾分合法
3) 작은 이불 褡
4) 요 褥
5) 베개 枕

4. 띠와 신발 帶、屨
1) 띠 帶
2) 갖신 屨
3) 비(풀로 만든 신발) 屝
4) 나막신 屐
5) 신발 사용법 用鞋法

5. 기타 장신구 雜飾
1) 패도 佩刀
2) 초혜집 抄舌
3) 주머니 佩囊
4) 접부채 摺疊扇
5) 모선 毛扇

6. 여자의 복식 女服
1) 족두리 簇頭伊
2) 비녀 釵
3) 저고리와 치마 衣裳
4) 당의 唐衣
5) 원삼 圓衫
6) 신 鞋

7. 바느질에 쓰는 여러 도구 裁縫諸具
1) 바늘 針
2) 바늘을 녹슬지 않게 보관하는 법 藏針不銹法
3) 골무 指套
4) 가위 翦刀
5) 인두 熨刀
6) 다리미 熨斗
7) 자 尺
8) 다듬잇돌과 다듬잇방망이 砧杵
9) 빨랫줄 桁繩
10) 항간(빨래 너는 장대) 桁竿

8. 의복의 보관 儲藏
1) 횃대 椸
2) 채상 彩箱
3) 버들고리 柳箱
4) 옷농 衣籠
5) 옷장 衣欌
6) 옷 보관법 藏衣法

몸 씻는 도구와 머리 다듬는 도구 盥櫛之具

1. 몸 씻는 여러 도구 頮洮諸器

1) 놋대야 銅盆
2) 사기대야 瓷盆
3) 질그릇대야 陶盆
4) 나무대야 木盆
5) 가죽대야 革盆
6) 양칫물사발 漱水碗
7) 조두합(가루비누합) 澡豆盒
8) 세숫대야깔개 頮盆藉
9) 세수치마 盥裳
10) 수건 帨
11) 목욕통 浴盆
12) 유황이(뒷물용 유황대야) 硫黃匜
13) 탕관 湯罐

2. 머리 다듬는 여러 도구 櫛總諸器
1) 얼레빗 梳
2) 참빗 笓
3) 소추(빗솔) 梳帚
4) 소쇄(빗솔) 梳刷
5) 빗치개 笓挑齒
6) 족집게 鑷子
7) 민자 刡子
8) 살쩍밀이 斂鬢簽
9) 빗접 梳匣
10) 구리거울 銅鏡
11) 거울 닦는 법 磨鏡法
12) 유리거울 玻瓈鏡
13) 화장대 奩

일상생활에 필요한 도구 起居之具

1. 와구(누울 때 쓰는 도구) 臥具

1) 침대 臥牀
2) 방로 氆氌
3) 양탄자 氍毹
4) 종전(말총모전) 鬃毡
5) 융과 모전 毧氈
6) 모전에 좀 쏠지 않게 하는 법 氈不蛀法
7) 몽고전 蒙古氈
8) 등나무자리 籘簟
9) 왕골자리 龍鬚席
10) 부들자리 香蒲席
11) 비단자리 繭絲席
12) 수숫대자리 薥稭簟
13) 오소리가죽요 土猪皮褥
14) 산양가죽요 山羊皮褥
15) 개가죽요 狗皮褥
16) 등침(등베개) 籘枕
17) 접베개 摺疊枕
18) 완침(왕골베개) 莞枕
19) 퇴침 退枕
20) 대자리베개 竹簟枕
21) 나전베개 螺鈿枕
22) 소가죽베개 牛皮枕
23) 죽부인 竹夫人

2. 앉을 때 필요한 도구 坐具
1) 의자 椅
2) 교의 엮는 법 穿交椅法
3) 걸상 杌
4) 장의자(긴걸상) 橙
5) 연궤(상) 燕几
6) 탁자 檯
7) 탁자 씻는 법 洗檯法
8) 방석 方席

3. 가리거나 막는 여러 도구 障護諸具
1) 병풍 屛
2) 방장 帳
3) 모기장 辟蚊帳
4) 방장걸이 帳鉤
5) 병풍이나 방장을 보관하는 법 藏屛、帳法
6) 발 簾
7) 겹분합문 複閤

4. 기타 도구 雜具
1) 구장(비둘기지팡이) 鳩杖
2) 전수장(논물지팡이) 田水…杖
3) 등긁개 麻姑手
4) 비 箒
5) 쓰레받기 承塵
6) 먼지떨이 無塵子
7) 요강 溺缸
8) 호자(타구) 虎子
9) 담뱃대 煙杯
10) 담뱃갑 煙草匣
11) 재떨이 煙灰槃

색을 내는 도구 設色之具

1. 채색 彩色

1) 분 胡粉
2) 백악(백토) 白堊
3) 주사 硃砂
4) 왜주(일본주사) 倭朱
5) 연지 燕脂
6) 대자석 代赭石
7) 석간주 石間朱
8) 자분 紫粉
9) 황단 黃丹
10) 자황 雌黃
11) 석중황(석황) 石中黃
12) 등황 䕨黃
13) 도황 桃黃
14) 석청 石靑
15) 쪽물 靛花
16) 압척청(닭의장풀 물감) 鴨跖靑
17) 석록 石綠
18) 동청 銅靑
19) 하엽록 荷葉綠
20) 송연 松煙
21) 유금(가루금) 乳金
22) 유은(가루은) 乳銀
23) 가짜 금색 假金色

2. 기름과 옻 油、漆
1) 옻 漆
2) 옻칠 위에 금가루 뿌리는 법 髹漆上灑金法
3) 옻칠 위에 색칠하는 법 髹漆上設彩法
4) 칠기 광내는 법 光漆器法
5) 가짜 옻칠 방법 假漆方
6) 시칠(감물칠) 柹漆
7) 황칠 黃漆
8) 야생 쇠귀나물로 칠하는 법 野慈菇漆法
9) 동유 桐油
10) 법제들기름 法煉荏油
11) 나무그릇에 기름칠하는 법 油木器法
12) 집 지은 재목에 기름칠하는 법 油屋材法
13) 종이 바른 기물에 칠하는 법 漆紙糊器法

3. 훈염(스며들게 하여 물들이기) 熏染
1) 목기 물들이는 법 染木器法
2) 오동나무 지지는 법 烙桐法
3) 대나무에 점 찍는 법 點竹法
4) 선지에 물들이는 법 染扇紙法
5) 가죽에 물들이는 법 染革法

저자소개

서유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자는 준평(準平), 호는 풍석(楓石)이며 본관은 대구이다. 대제학 보만재 서명응의 손자이며, 이조판서 서호수의 아들이다. 영조14년에 문과에 급제하여 규장각 초계문신으로 발탁된 후 좌부승지, 성균관 대사성, 홍문관 부제학을 거쳐 사헌부대사헌, 예문관대제학, 형조판서, 호조판서, 병조판서에 제수되었다가 늦은 나이에 전라도관찰사, 수원부 유수를 역임하였다. 대표적인 경화세족 가문에서 태어나 다양한 학문을 깊이 있게 연구했으며, 할아버지와 아버지의 가학을 이어 특히 농학(農學)에 큰 업적을 남겼다. 가문의 개방적인 학문 기풍과 방대한 장서의 열람, 뛰어난 학자들과의 교류를 통해 다방면에 식견과 경험을 쌓았다. 젊은 시절 정조의 치세 때에는 규장각에서 많은 편찬 사업에 참여했고, 방폐기간 동안의 여러 경험을 기반으로 한 시대를 대표하는 학자로 성장했다. 서유구가 지은 16개의 주제를 지(志)로 하여, 113권으로 구성된《임원경제지》는 농업, 목축, 어업, 양잠, 상업 등의 생산 전반과 의학, 음식, 주거, 선비가 알아야 할 일상 실용지식 등의 생활 전반을 담은 방대한 양의 생활 백과전서이다. 그 밖의 저술로는 정조의 명으로 조선에서 출판한 도서의 목판을 조사한《누판고》와, 전라도관찰사로 재직할 때는 기민을 구제하기 위해 고구마 재배법을 기록한 《종저보》를 간행하였다. 이 밖에도 개인 문집으로 《풍석고협집》, 《금화지비집》, 《번계시고》, 《금화경독기》와 전라도관찰사와 수원유수시절의 업무일지인 《완영일록》과 《화영일록》이 전한다. 임원경제연구소, 임원경제연구소는 고전 연구와 번역, 출판을 주요 목적으로 하는 사단법인으로 다양한 전공분야의 소장학자가 참여하여 《임원경제지》를 완역하고 있다.
펼치기
임원경제연구소 (옮긴이)    정보 더보기
정명현 소장을 중심으로 《임원경제지》의 번역 및 《임원경제지》 기반 다양한 전통문화 복원 및 현대화를 지원하는 사업들을 벌여나가고 있다. 한국고전번역원의 지원으로 《임원경제지》 중 〈인제지〉를, 풍석문화재단과 손잡고 《임원경제지》중 나머지 15개 지의 완역을 추진 중이다. 본 도서에 실린 〈정조지〉의 원문과 번역문은 임원경제연구소에서 제공하였다.
펼치기

책속에서

‘바늘’
‘針’은 본래 ‘침(鍼)’으로 쓴다. 《설문해자》에서 “침(鍼)은 베나 견 직물을 꿰매는 송곳이다.”라 한 말이 이것이다. 우리나라 사 람들은 바늘을 만들 줄 몰라 반드시 연경에서 수입해서 들여 온다. 이처럼 날마다 써서 없어서는 안 되는 필수품조차도 반 드시 다른 나라에 의지해야 하니, 만일 요동과 심양으로 가는 길이 3~5년간 막혀 다니지 못한다면 압록강 동쪽에 사는 우 리나라 사람들은 모두 벌거벗고 다녀야 하는가? 《천공개물》에 바늘 만드는 방법이 있으니, 만약 만드는 방법을 살펴서 바늘 을 두들겨 만들어 나라 안에 유통시킬 수 있다면 이 또한 이 용후생(利用厚生)에 일조할 것이다. 《금화경독기》

- 《섬용지》 권3 〈복식도구〉 “바느질에 쓰는 여러 도구”


‘법제들기름’
들기름 2승에 백초상(百草霜, 앉은검정) 2홉, 무명석(無名石, 무명 이) 1홉, 백반(白礬) 1홉을 넣고 충분히 달인다. 무명석과 백반 이 모두 녹아 거품이 없어진 다음에 쓴다. 물을 떨어뜨려도 기름이 흩어지지 않을 때까지 달여야 하지만, 지나치게 많이 달이면 너무 진해서 쓸 수가 없다.
또 다른 방법 : 들기름 1승, 송진 2홉, 쇳가루 【무쇳가루】 1.5 냥, 백초상 3전, 소금 0.5전을 급하게 반나절을 달여 나무나 돌 위에 발라 본 다음 광택이 있으면 쓴다. 【안 이 두 방법으 로는 다만 검은 칠을 만들 수 있을 뿐 다른 물감과 섞을 수는 없다.】 《산림경제보》

- 《섬용지》 권3 〈복식도구〉 “기름과 옻”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