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한국학/한국문화 > 한국인과 한국문화
· ISBN : 9791189801540
· 쪽수 : 462쪽
· 출판일 : 2022-03-22
책 소개
목차
일러두기
전공지 권제3
삼베류 길쌈[麻績, 마적] 麻績
1. 삼[大麻, 대마] 재배 【부록 저마(苴麻, 삼 암그루) 재배하는 법】 藝大麻【附 苴麻栽法】
1) 삼 大麻
2) 알맞은 토양 土宜
3) 파종 시기 時候
4) 재배하기 種蒔
5) 종자 거두기收子
6) 저마(苴麻, 삼 암그루) 파종하는 법 種苴麻法
2. 모시[苧麻, 저마] 재배 藝苧麻
1) 모시 苧麻
2) 재배하기 種蒔
3) 종자 거두기收種
4) 쓰임새功用
3. 어저귀[檾麻, 경마] 재배 藝檾麻
1) 어저귀 檾麻
2) 알맞은 토양 土宜
3) 파종 시기 時候
4) 관리하기[修蒔] 修蒔
5) 거두기 收採
6) 쓰임새 功用
4. 칡 거두기 採葛
1) 칡 葛
2) 거두기 收採
3) 부가사항 附餘
5. 길쌈(방직) 紡織
1) 삼을 물에 담가 두었다 삼실 삼기 漚績
2) 첨사룡(詹士龍)의 베 짜는 법 詹雲卿造布法
3) 우리나라의 베 짜는 법 東布織法
목화 길쌈[棉績, 면적] 棉績
1. 목화[木棉, 목면] 재배 種木棉
1) 목화[木棉, 목면] 木棉
2) 알맞은 토양 土宜
3) 파종 시기 時候
4) 종자 고르기 擇種
5) 파종과 가꾸기 種藝
6) 거름주기 糞壅
7) 그루 간의 거리 科苗
8) 4가지 병폐 四病
9) 4가지 요점 四要
10) 장마나 가뭄 대비 弭備
11) 사이짓기[間種, 간종]는 금물이다 禁間種
12) 구덩이에 재배하는 법(감종법) 坎種法
13) 거두기 收採
14) 쓰임새 功用
2. 길쌈 紡織
1) 목화씨 제거하고 솜 타는 법[碾彈法, 연탄법] 碾彈法
2) 땅광 만들어 길쌈하는 법 穿窖紡織法
3) 길쌈법 織法
4) 우리나라 길쌈법 東國織法
5) 부록 빨래하는 여러 방법 附 洗澣雜方
5-1) 나견(羅絹) 빨래 洗羅絹| 5-2) 금(錦) 빨래 洗錦| 5-3) 북견(北絹) 빨래 洗北絹| 5-4) 모시 빨래 洗苧布| 5-5) 생삼베 삶기 煮生麻布| 5-6) 흰옷 빨래 洗白衣| 5-7) 갈옷 빨래 洗葛衣| 5-8) 홍포(紅布, 붉은 베) 빨래 洗紅布| 5-9) 청저사(靑紵絲, 푸른 모시) 빨래 洗靑紵絲| 5-10) 조의(皁衣) 빨래 洗皁衣| 5-11) 다갈색 옷감에 핀 흰 꽃점(흰 곰팡이) 처리 治茶褐衣段發白花點| 5-12) 모전의(毛氈衣) 빨래 洗毛氈衣| 5-13) 갖옷 빨래 洗皮襖| 5-14) 먹물 묻은 옷 빨래 洗墨汚衣| 5-15) 기름 묻은 옷 빨래 洗油汚衣| 5-16) 옻칠 묻은 옷 빨래 洗漆汚衣 | 5-17) 양기름 묻은 옷 빨래 洗羊脂汚衣| 5-18) 돼지기름 묻은 옷 빨래 洗猪油汚衣| 5-19) 쇠기름 묻은 옷 빨래 洗牛脂汚衣| 5-20) 동유 묻은 옷 빨래 洗桐油汚衣| 5-21) 녹반 등의 온갖 약이 묻은 옷 빨래 洗綠礬百藥汚衣| 5-22) 담배 진액이 묻은 옷 빨래 洗煙膏汚衣| 5-23) 누런 진흙 묻은 옷 빨래 洗黃泥汚衣| 5-24) 해황(蟹黃) 묻은 옷 빨래 洗蟹黃汚衣| 5-25) 피 묻은 옷 빨래 洗血汚衣| 5-26) 고름 묻은 옷 빨래 洗瘡膿汚衣| 5-27) 채색 염료 묻은 옷 빨래 洗彩色汚衣| 5-28) 청대(靑黛, 쪽) 묻은 옷 빨래 洗靑黛汚衣| 5-29) 고약 묻은 옷 빨래 洗膏藥汚衣| 5-30) 똥 묻은 옷 빨래 洗糞汚衣| 5-31) 벼룩 똥 묻은 옷 빨래 洗蚤屎汚衣| 5-32) 철장(鐵漿) 묻은 옷 빨래 洗鐵漿汚衣| 5-33) 낙숫물이 묻은 옷 빨래 洗屋漏水汚衣| 5-34) 괴화(槐花, 회화나무꽃)즙 묻은 옷 빨래 洗槐花汚衣| 5-35) 소방목(蘇方木)즙 묻은 옷 빨래 洗蘇方木汚衣| 5-36) 양매(楊梅)즙 묻은 옷 빨래 洗楊梅汚衣| 5-37) 감즙이나 배즙 묻은 옷 빨래 洗柹、梨汚衣| 5-38) 식초나 간장 묻은 옷 빨래 洗醋醬汚衣| 5-39) 술 묻은 옷 빨래 洗酒汚衣| 5-40) 습기로 눅눅한 옷 빨래 洗濕蒸變浥汚衣| 5-41) 흑공단(黑貢緞) 빨래 洗黑貢緞汚| 5-42) 홍단(紅緞, 홍색 비단) 빨래 洗紅緞汚| 5-43) 대홍주(大紅紬, 짙은 홍색 명주) 빨래 洗大紅紬| 5-44) 기름때가 묻은 갓 빨래 洗笠子油汚| 5-45) 두건의 기름때 빨래 洗油頭巾汚| 5-46) 직물의 염색 물리기 退染色布帛
전공지 권제4
그림으로 보는 누에치기와 뽕나무 재배(잠상도보) 【부록 삼과 모시 재배】 蠶桑圖譜【
附 麻、苧】
1) 잠실(蠶室, 누에 치는 건물) 蠶室
2) 잠실난로[火倉, 화창] 火倉
3) 누에시렁[蠶槌, 잠추] 蠶槌
4) 누에발[蠶箔, 잠박] 蠶箔
5) 잠연(蠶椽, 누에발받침가로대) 蠶椽
6) 잠비(蠶篚, 누에광주리) 蠶篚
7) 잠반(蠶槃, 네모진 누에광주리) 蠶槃
8) 잠가(蠶架, 누에시렁) 蠶架
9) 잠망(蠶網, 누에그물) 蠶網
10) 잠표(蠶杓, 누에 구기) 蠶杓
11) 누에섶[蠶簇, 잠족] 蠶簇
12) 견옹(繭甕, 고치항아리) 繭甕
13) 견롱(繭籠, 고치광주리) 繭籠
14) 누에알받이종이[蠶連, 잠련] 蠶連
15) 상궤(桑几, 뽕잎 따는 걸상) 桑几
16) 상제(桑梯, 뽕잎 따는 사다리) 桑梯
17) 작부(斫斧, 뽕나무 가지치기 도끼) 斫斧
18) 상구(桑鉤, 뽕잎 갈고리) 桑鉤
19) 상롱(桑籠, 뽕잎대바구니) 桑籠
20) 상망(桑網, 뽕잎 담는 자루) 桑網
21) 참도(劖刀, 가지 치는 칼) 劖刀
22) 절도(切刀, 뽕잎 자르는 칼) 切刀
23) 상침(桑碪, 뽕잎 써는 도마) 桑碪
24) 상협(桑夾, 뽕잎 써는 작두) 桑夾
25) 구지(漚池, 삼 담그는 웅덩이) 漚池
26) 증석(蒸石, 삼 찌는 돌) 蒸石
27) 예도(刈刀, 삼 베는 칼) 刈刀
28) 저괄도(苧刮刀, 모시껍질 벗기는 칼) 苧刮刀
29) 저증방(苧蒸房, 모시 찌는 방) 苧蒸房
전공지 권제5
그림으로 보는 길쌈(방직도보) 紡織圖譜
1) 얼레[絲籰, 사확] 絲籰286
2) 실통[絲筒, 사통]과 실뭉치[絲團, 사단] 絲筒、絲團
3) 소차(繅車, 실잣는 기구) 繅車
4) 자새[繅絲轆轤, 소사녹로]와 소저(繅筯, 실 잣기 젓가락) 繅絲轆轤、繅筯
5) 사편(絲匾, 사반대) 絲匾
6) 열부(熱釜, 누에고치를 삶는 솥) 熱釜
7) 냉분(冷盆, 차가운 동이) 冷盆
8) 경가(經架, 날틀) 經架
9) 위차(緯車, 씨실 감는 물레) 緯車
10) 낙차(絡車) 絡車
11) 직기(織機) 織機
12) 요기(腰機, 베틀) 腰機
13) 북대[梭, 사]와 북[杼, 저] 梭、杼
14) 바디[筬, 성]와 바디집[簆框, 구광] 筬、簆框
15) 말코[椱, 복] 椱
16) 도투마리[榺, 승] 榺
17) 잉아(잉앗대)[綜, 종] 綜
18) 중통(中筒)과 비경이[枕檢, 침검] 中筒、枕檢
19) 서차(絮車, 풀솜 만드는 기구) 絮車
20) 연면축(撚綿軸, 꼬임을 주는 축) 撚綿軸
21) 면구(綿矩, 풀솜틀) 綿矩
22) 목면교차(木綿攪車, 무명 씨아)와 소교차(小攪車, 씨아) 木綿攪車、小攪車
23) 솜활[木綿彈弓, 목면탄궁] 木綿彈弓
24) 솜말대[木棉捲筳, 목면권정]와 솜고치[綿筒, 면통] 木棉捲筳、綿筒
25) 무명물레[木棉紡車, 목면방차]·왜물레[倭紡車, 왜방차]·가락[鍋, 과]
【곧 정(鋌)이다】 木綿紡車、倭紡車、鍋【卽鋌】
26) 돌꼇[木棉撥車, 무명발차] 木棉撥車
27) 무명광상[木棉軖牀] 木棉軖牀
28) 무명선가[木棉線架] 木棉線架
29) 무명연석[木棉碾石] 木棉碾石
30) 면판(棉板, 무명판) 棉板
31) 적축(績 ) 績
32) 소방차(小紡車, 작은 물레)·대방차(大紡車, 큰 물레) 小紡車、大紡車
33) 돌꼇[蟠車, 반차] 蟠車
34) 노차[纑車, 실 물레] 纑車
35) 베솔[纑刷, 노쇄] 纑刷
36) 베틀[布機, 포기] 布機
《전공지》 참고문헌 서목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