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68103801
· 쪽수 : 136쪽
· 출판일 : 2025-10-18
책 소개
목차
‘개념 있는 국어 생활’ 기획의 말
머리말
Class 1. 사용하기 전에 - 장르를 아는 것이 왜 중요할까?
우리가 장르에 주목하는 이유
상황에 맞는 성공적인 의사소통의 시작
새로 지원한 회사의 인사팀에서 “ㅎㅇㅌ”이라는 문자가 온다면?
영화를 보기 전에 우리가 가장 먼저 하는 일은?
같은 표현이 서로 다른 의미로 읽히는 이유는?
장르를 한마디로 정의한다면?
김동환의 「국경의 밤」은 시인가?
장르도 발전할까?
Class 2. 장르의 작동 방식 - 장르는 우리의 삶과 어떻게 연결될까?
언어는 장르와 어떻게 만나는가 - 장르에 따라 문법적 선택도 달라질까?
축구 중계에서 짧고 간단한 문장을 쓰는 이유
보드게임 설명서의 문장은 특별하다
신문 기사에 큰따옴표를 쓰지 않는다면?
사회는 장르와 어떻게 만나는가 - 장르를 잘 ‘한다’는 것은 무엇일까?
우리가 장르를 ‘한다’는 것은?
장르는 사회적 연쇄 반응이다
장르를 잘 ‘하는’ 법
작품은 장르와 어떻게 만나는가 - 장르를 알면 재미와 감동이 달라질까?
장르, 작품을 만나는 통로
「봉산탈춤」이 있어야 할 곳은 어디일까?
「제망매가」에도 장르가 숨어 있다
시공을 초월한 장르의 힘 - 「제망매가」를 리메이크한 「님의 침묵」
Class 3. 장르 사용 시 유의 사항 - 나도 장르 ‘사용자’가 될 수 있을까?
언어 선택에 따라 장르적 느낌도 달라진다?
주관성과 객관성, 구어성과 문어성 사이
장르와 언어의 관계
급변하는 시대, 장르는 어떤 모습일까?
이것도 시가 될 수 있을까?
장르에 대한 도전과 진화하는 장르
좋은 ‘장르 사용자’가 되는 법
장르 넘어서기
장르 사용의 주체 되기
주(註)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