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임원경제지 예원지 1

임원경제지 예원지 1

서유구 (지은이), 임원경제연구소 (옮긴이)
풍석문화재단
3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9,700원 -10% 0원
1,650원
28,050원 >
29,7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2,970원
26,73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5개 23,7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임원경제지 예원지 1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임원경제지 예원지 1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한국학/한국문화 > 한국인과 한국문화
· ISBN : 9791189801564
· 쪽수 : 516쪽
· 출판일 : 2022-06-30

책 소개

화초 재배의 전통적 모습과 화훼에 대한 당대의 식물학적 이해 방식을 알려준다. 중국 및 한국의 전통 사회에서 화훼에 얼마나 가치를 부여했느냐를 통해 전통 미의식과 가치관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목차

일러두기
서문 – 도올 김용옥
《예원지》 해제
《예원지》 서문

예원지 권제1
총서 總敍
1. 파종과 옮겨심기 種栽
1) 파종하는 법 子種法
2) 꺾꽂이법 扦揷法
3) 옮겨 심는 법 移栽法
4) 포기 나눠 옮겨 심는 법 隔根分栽法

2. 접붙이기 接換
1) 접붙이기 총론 接樹總訣
2) 2가지 꽃나무 접붙이는 법 接花兩般色法

3. 물주기와 거름주기 澆壅
1) 거름 주는 법 壅培法
2) 물 주는 법 灌澆法

4. 관리하기 葺理
1) 굽은 나무 손질법 治曲樹法
2) 나무를 기이하게 성숙하도록 하는 법 治樹令老奇法
3) 화분에 심는 법 登盆法
4) 화분 두는 법 安盆法
5) 병풍처럼 엮는 법 綰屛法

5. 보호하기 護養
1) 꽃 기르는 법 養花法
2) 서리 막는 법 拒霜法
3) 벌레 물리치는 법 辟蟲法
4) 주의사항 宜忌

6. 배치 鋪置
1) 이름난 정원의 고아한 화훼 배치(명원아칭) 名園雅稱
2) 화분 배치법 排盆法

7. 품등 品第
1) 화훼 8종의 상품 八種上品
2) 정자 주변에 심는 꽃에 대한 논평 花榭詮評
3) 화훼의 3가지 품등 草花三品
4) 꽃의 9가지 품명(品命) 花九命
5) 꽃병의 꽃 9가지 품명 甁花九命
6) 꽃 친구 10가지 花十友
7) 꽃 손님 12가지 花十二客
8) 꽃 손님 30가지 花三十客

8. 절기에 행하는 일(시령) 時令
1) 심고 접붙이는 절기 種接時候
2) 사계절 기후에 달리 접붙이는 법 四時變接法
3) 꽃나무 재배의 월령(月令) 花月令

9. 자질구레한 말 瑣言
1) 꽃을 빨리 피게 하는 법(최화법) 催花法
2) 꽃의 색 바꾸는 법(환화법) 幻花法

10. 보관하기 收藏
1) 움에 보관하는 법 窖藏法
2) 옷 입히는 법 着裘法

예원지 권제2
꽃류(상)(꽃나무) 花類(上)
1. 모란(牡丹) 牡丹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심거나 접붙이는 시기 時候 4) 심기와 가꾸기 種藝 5) 접붙이기 接換 6) 물주기와 거름주기 澆壅 7) 보호하기 護養 8) 치료하기 醫治 9) 주의사항 宜忌 10) 거두기 收採 11) 자질구레한 말 瑣言

2. 서향(瑞香) 瑞香
1) 이름과 품종 瑞香 2) 심기와 가꾸기 種藝 3) 물주기와 거름주기 澆壅 4) 보호하기 護養 5) 주의사항 宜忌 6) 치료하기 醫治 7) 보관하기 收藏 8) 자질구레한 말 瑣言

3. 산다(山茶, 동백류) 山茶
1) 이름과 품종 名品 2) 파종 시기 時候 3) 파종과 가꾸기 種藝 4) 접붙이기 接換 5) 물주기와 거름주기 澆壅 6) 관리 葺理 7) 보호하기 護養 8) 보관하기 收藏 9) 품등 品第

4. 치자(巵子) 巵子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심기와 가꾸기 種藝 3) 물주기와 거름주기 澆壅 4) 거두기 收採

5. 매화(梅花) 梅花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심기와 가꾸기 種藝 3) 접붙이기 接換 4) 물주기와 거름주기 澆壅 5) 보호하기 護養 6) 치료하기 醫治 7) 보관하기 收藏 8) 품등 品第

6. 납매(蠟梅) 蠟梅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심기와 가꾸기 種藝

7. 석류화(石榴花) 石榴花
1) 이름과 품종 名品 2) 물주기와 거름주기 澆壅 3) 품등 品第 4) 보호하기 護養

8. 해당(海棠) 海棠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파종 시기 時候 4) 심기와 가꾸기 種藝
5) 접붙이기 接換 6) 물주기와 거름주기 澆壅 7) 관리 葺理 8) 치료하기 醫治

9. 장미(薔薇) 薔薇
1) 이름과 품종 名品 2) 파종 시기 時候 3) 심기와 가꾸기 種藝 4) 물주기와 거름주기 澆壅 5) 관리 葺理 6) 치료하기 醫治

10. 자미화(紫薇花, 배롱나무) 紫薇花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심기와 가꾸기 種藝 3) 물주기와 거름주기 澆壅 4) 보관하기 收藏

11. 사계화(四季花) 四季花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심기와 가꾸기 種藝 3) 보호하기 護養 4) 치료하기 醫治 5) 보관하기 收藏

12. 월계화(月季花) 月季花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심기와 가꾸기 種藝 3) 관리 葺理 4) 보호하기 護養 5) 치료하기 醫治

13. 정향(丁香) 丁香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심기와 가꾸기 種藝

14. 목향(木香) 木香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심기와 가꾸기 種藝

15. 매괴(玫瑰) 玫瑰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심기와 가꾸기 種藝 4) 물주기와 거름주기 澆壅 5) 치료하기 醫治 6) 품등 品第

16. 자형(紫荊, 박태기나무) 紫荊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심기와 가꾸기 種藝 3) 물주기와 거름주기 澆壅

17. 목부용(木芙蓉) 木芙蓉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심기와 가꾸기 種藝 4) 품등 品第 5) 자질구레한 말 瑣言

18. 두견화(杜鵑花, 진달래) 杜鵑花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심기와 가꾸기 種藝 4) 물주기와 거름주기 澆壅

19. 척촉화(躑躅花) 躑躅花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왜철쭉[倭躑躅 기르는 법 養倭躑躅法

20. 영산홍(映山紅) 映山紅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보관하기 收藏 4) 자질구레한 말 瑣言

21. 영춘화(迎春花) 迎春花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파종 시기 時候 4) 심기와 가꾸기 種 5) 물주기와 거름주기 澆壅 6) 품등 品第

22. 목근(木槿, 무궁화) 木槿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심기와 가꾸기 種藝

예원지 권제3
꽃류(하)(풀꽃) 花類(下)
1. 난화(蘭花) 蘭花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파종 시기 時候 4) 종자 고르기 擇種 5) 심기와 가꾸기 種藝 6) 물주기와 거름주기 澆壅 7) 보호하기 護養 8) 사계절의 난화 재배하는 비결 四時培蘭訣 9) 12개월의 난화 기르는 비결 十二月養蘭訣 10) 치료하기 醫治 11) 보관하기 收藏 12) 자질구레한 말 瑣言

2. 국화[菊, 국] 菊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파종 시기 時候 4) 종자 보전하기 傳種 5) 심기와 가꾸기 種藝 6) 접붙이기 接換 7) 물주기와 거름주기 澆壅 8) 관리하기 葺理 9) 보호하기 護養 10) 치료하기 醫治 11) 주의사항 宜忌 12) 보관하기 收藏 13) 자질구레한 말 瑣言

3. 작약(芍藥) 芍藥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파종 시기 時候 4) 심기와 가꾸기 種藝 5) 물주기와 거름주기 澆壅 6) 관리하기 葺理 7) 보호하기 護養 8) 자질구레한 말 瑣言

4. 하화(荷花, 연꽃) 荷花
1) 이름과 품종 名品 2) 파종 시기 時候 3) 심기와 가꾸기 種藝 4) 화분에 심는 법 盆種法 5) 작은 연꽃 감상하는 법 賞小蓮法 6) 꽃을 푸르게 물들이는 법 染碧花法

5. 수선(水仙) 水仙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파종 시기 時候 4) 심기와 가꾸기 種藝
5) 보호하기 護養 6) 품등 品第

6. 옥잠화(玉簪花) 玉簪花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파종 시기 時候 4) 옮겨심기 種栽 5) 품등 品第
7. 훤(萱, 원추리) 萱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심기와 가꾸기 種藝 4) 물주기와 거름주기 澆壅 5) 품등 品第

8. 촉규(蜀葵, 접시꽃) 蜀葵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심기와 가꾸기 種藝 3) 물주기와 거름주기 澆壅 4) 보호하기 護養 5) 종자 거두기 收種 6) 품등 品第 7) 쓰임새 功用

9. 금규(錦葵, 당아욱) 錦葵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심기와 가꾸기 種藝

10. 추규(秋葵) 秋葵
1) 이름과 품종 名品 2) 파종 시기 時候 3) 심기와 가꾸기 種藝

11. 산단(山丹) 山丹
1) 이름과 품종 名品 2) 파종 시기 時候 3) 심기과 가꾸기 種藝 4) 물주기와 거름주기 澆壅

12. 옥미인(玉美人) 玉美人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파종 시기 時候

13. 금전화(金錢花) 金錢花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심기와 가꾸기 種藝 3) 품등 品第

14. 적적금(滴滴金, 금불초) 滴滴金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15. 봉선(鳳仙) 鳳仙
1) 이름과 품종 名品 2) 파종 시기 時候 3) 관리 葺理

16. 앵속(罌粟) 罌粟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파종 시기 時候 4) 심기와 가꾸기 種藝 5) 품등 品第
17. 여춘(麗春, 개양귀비) 麗春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심기와 가꾸기 種藝

18. 전춘라(剪春羅) 剪春羅
1) 이름과 품종 名品 2) 관리 葺理

19. 전추라(剪秋羅) 剪秋羅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파종 시기 時候 4) 심기와 가꾸기 種藝 5) 관리 葺理 6) 물주기와 거름주기 澆壅 7) 보관하기 收藏

20. 계관화(鷄冠花, 맨드라미) 鷄冠花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파종 시기 時候 4) 심기와 가꾸기 種藝 5) 보호하기 護養

21. 추모란(秋牡丹, 대상화) 秋牡丹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심기와 가꾸기 種藝 4) 품등 品第

22. 전지모란(纏枝牡丹) 纏枝牡丹
1) 이름과 품종 名品 2) 파종 시기 時候 3) 품등 品第

23. 추해당(秋海棠) 秋海棠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심기와 가꾸기 種藝 4) 품등 品第

24. 석죽(石竹, 패랭이꽃) 石竹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파종 시기 時候 4) 심기와 가꾸기 種藝 5) 보호하기 護養 6) 품등 品第

25. 사간(射干, 범부채) 射干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파종 시기 時候 4) 물주기와 거름주기 澆壅

26. 금려지(錦荔枝, 여주) 錦荔枝
1) 이름과 품종 名品 2) 관리 葺理 3) 품등 品第

27. 수구(繡毬) 繡毬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심기와 가꾸기 種藝 4) 접붙이기 接換 5) 물주기와 거름주기 澆壅 6) 보호하기 護養 7) 관리 葺理

28. 한련(旱蓮) 旱蓮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파종 시기 時候 4) 관리 葺理

저자소개

서유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자는 준평(準平), 호는 풍석(楓石)이며 본관은 대구이다. 대제학 보만재 서명응의 손자이며, 이조판서 서호수의 아들이다. 영조14년에 문과에 급제하여 규장각 초계문신으로 발탁된 후 좌부승지, 성균관 대사성, 홍문관 부제학을 거쳐 사헌부대사헌, 예문관대제학, 형조판서, 호조판서, 병조판서에 제수되었다가 늦은 나이에 전라도관찰사, 수원부 유수를 역임하였다. 대표적인 경화세족 가문에서 태어나 다양한 학문을 깊이 있게 연구했으며, 할아버지와 아버지의 가학을 이어 특히 농학(農學)에 큰 업적을 남겼다. 가문의 개방적인 학문 기풍과 방대한 장서의 열람, 뛰어난 학자들과의 교류를 통해 다방면에 식견과 경험을 쌓았다. 젊은 시절 정조의 치세 때에는 규장각에서 많은 편찬 사업에 참여했고, 방폐기간 동안의 여러 경험을 기반으로 한 시대를 대표하는 학자로 성장했다. 서유구가 지은 16개의 주제를 지(志)로 하여, 113권으로 구성된《임원경제지》는 농업, 목축, 어업, 양잠, 상업 등의 생산 전반과 의학, 음식, 주거, 선비가 알아야 할 일상 실용지식 등의 생활 전반을 담은 방대한 양의 생활 백과전서이다. 그 밖의 저술로는 정조의 명으로 조선에서 출판한 도서의 목판을 조사한《누판고》와, 전라도관찰사로 재직할 때는 기민을 구제하기 위해 고구마 재배법을 기록한 《종저보》를 간행하였다. 이 밖에도 개인 문집으로 《풍석고협집》, 《금화지비집》, 《번계시고》, 《금화경독기》와 전라도관찰사와 수원유수시절의 업무일지인 《완영일록》과 《화영일록》이 전한다. 임원경제연구소, 임원경제연구소는 고전 연구와 번역, 출판을 주요 목적으로 하는 사단법인으로 다양한 전공분야의 소장학자가 참여하여 《임원경제지》를 완역하고 있다.
펼치기
임원경제연구소 (옮긴이)    정보 더보기
정명현 소장을 중심으로 《임원경제지》의 번역 및 《임원경제지》 기반 다양한 전통문화 복원 및 현대화를 지원하는 사업들을 벌여나가고 있다. 한국고전번역원의 지원으로 《임원경제지》 중 〈인제지〉를, 풍석문화재단과 손잡고 《임원경제지》중 나머지 15개 지의 완역을 추진 중이다. 본 도서에 실린 〈정조지〉의 원문과 번역문은 임원경제연구소에서 제공하였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