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생활풍속사
· ISBN : 9791189801588
· 쪽수 : 446쪽
· 출판일 : 2022-11-07
책 소개
목차
서문
《관휴지》 해제
《관휴지》 서문
관휴지 권제1
총서(總敍)
1. 농지 만들기 營治
1) 휴전[畦, 두렁밭] 만드는 법 治畦法
2) 구전(區田) 관리하는 법 治區法
3) 포전(圃田) 관리하는 법 治圃法
4) 약초밭[藥圃, 약포] 관리하는 법 治藥圃法
5) 휴전 관리하여 약초 재배하는 법 治畦種藥法
2. 심기와 옮겨 심기 種蒔
1) 종자 고르는 법 擇種法
2) 종자 보관하는 법 藏種法
3) 종자 담그는 법 漬種法
4) 채소 재배법 種蔬法
5) 싹 틔워 종자 심는 법 芽種法
6) 씨앗을 심고 즉각 채소싹 나게 하는 법 種頃刻菜法
7) 씨앗에 물 대어 발아 촉진하는 법 沃子催芽法
8) 종자를 덮어 발아 촉진하는 법 覆種催芽法
3. 물주기와 거름주기 澆壅
1) 거름 저장법 儲肥壅法
2) 벌레 물리치는 법 辟蟲法
3) 똥떡[糞餠] 만드는 법 糞餠法
4. 보관하기 收藏
1) 채소 보관법 藏菜法
관휴지 권제2
채소류 蔬類
1. 아욱[葵, 규] 葵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심는 시기 時候
3) 심기와 가꾸기 種藝
4) 거두기 收採
5) 쓰임새 功用
2. 파[蔥, 총] 蔥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심는 시기 時候
3) 심기와 가꾸기 種藝
4) 거두기 收採
5) 쓰임새 功用
3. 자총이[紫蔥, 자총] 紫蔥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심는 시기 時候
3) 심기와 가꾸기 種藝
4. 부추[韭, 구] 韭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심는 시기 時候
3) 심기와 가꾸기 種藝
4) 물주기와 거름주기 澆壅
5) 쓰임새 功用
5. 염교[薤, 해] 薤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심는 시기 時候
4) 심기와 가꾸기 種藝
5) 쓰임새 功用
6. 마늘[蒜, 산] 【부록 산마늘[澤蒜, 택산]】 蒜【附 澤蒜】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심는 시기 時候
4) 심기와 가꾸기 種藝
5) 보관하기 收藏
6) 쓰임새 功用
7) 산마늘[澤蒜, 택산] 심는 법 種澤蒜法
7. 생강[薑, 강] 薑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심는 시기 時候
4) 풍흉 예측 占候
5) 심기와 가꾸기 種藝
6) 물주기와 거름주기 澆壅
7) 보관하기 收藏
8) 종자 보관하기 藏種
9) 쓰임새 功用
8. 겨자[芥, 개] 【부록 청개(靑芥)】 芥【附 靑芥】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심는 시기 時候
4) 심기와 가꾸기 種藝
5) 물주기와 거름주기 澆壅
6) 보관하기 收藏
7) 쓰임새 功用
8) 청개(靑芥) 재배법 種靑芥法
9. 개람(芥藍) 芥藍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심는 시기 時候
4) 심기와 가꾸기 種藝
5) 거두기 收採
6) 쓰임새 功用
10. 순무[蕪菁, 무청] 蕪菁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심는 시기 時候
4) 종자 고르기 擇種
5) 심기와 가꾸기 種藝
6) 거두기 收採
7) 보관하기 收藏
8) 쓰임새 功用
11. 무[萊菔, 내복] 【부록 당근[胡蘿菔, 호라복]】 萊菔【附 胡蘿菔】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심는 시기 時候
4) 종자 고르기 擇種
5) 심기와 가꾸기 種藝
6) 보관하기 收藏
7) 종자 거두기 收種
8) 움집에서 어린 싹 기르는 법 窖養芽法
9) 쓰임새 功用
10) 당근 심는 법 種胡蘿菔法
12. 배추[菘, 숭] 菘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심는 시기 時候
4) 종자 고르기 擇種
5) 심기와 가꾸기 種藝
6) 물주기와 거름주기 澆壅
7) 황아(黃芽, 황색 싹) 기르는 법 養黃芽法
13. 쑥갓[茼蒿, 동호] 茼蒿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심는 시기 時候
4) 심기와 가꾸기 種藝
5) 종자 거두기 收種
6) 쓰임새 功用
14. 유채[蕓薹, 운대] 蕓薹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심는 시기 時候
3) 심기와 가꾸기 種藝
4) 쓰임새 功用
15. 시금치[菠薐, 파릉] 菠薐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심는 시기 時候
3) 심기와 가꾸기 種藝
4) 쓰임새 功用
16. 공심채[蕹菜, 옹채] 蕹菜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심기와 가꾸기 種藝
17. 근대[菾菜, 첨채] 菾菜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심는 시기 時候
3) 심기와 가꾸기 種藝
4) 종자 거두기 收種
18. 상추[萵苣, 와거] 萵苣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심는 시기 時候
4) 종자 고르기 擇種
5) 심기와 가꾸기 種藝
6) 물주기와 거름주기 澆壅
7) 와순(萵筍) 기르는 법 養萵筍法
8) 쓰임새 功用
19. 거여목[苜蓿, 목숙] 苜蓿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심는 시기 時候
4) 심기와 가꾸기 種藝
5) 쓰임새 功用
20. 비름[莧, 현] 莧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심는 시기 時候
3) 심기와 가꾸기 種藝
4) 종자 거두기 收種
5) 쓰임새 功用
21. 고추[番椒, 번초] 番椒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심는 시기 時候
4) 심기와 가꾸기 種藝
5) 쓰임새 功用
22. 양하(蘘荷) 蘘荷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심기와 가꾸기 種藝
4) 보관하기 收藏
5) 쓰임새 功用
23. 고수(고수풀)[胡荽, 호수] 胡荽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심는 시기 時候
4) 심기와 가꾸기 種藝
5) 온실[炕] 재배법 炕養法
6) 쓰임새 功用
7) 자질구레한 말 瑣言
24. 난향(蘭香) 蘭香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심는 시기 時候
3) 심기와 가꾸기 種藝
4) 종자 취하는 법 取種法
5) 물주기와 거름주기 澆壅
6) 거두기 收採
7) 쓰임새 功用
25. 백합(百合) 百合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심는 시기 時候
4) 심기와 가꾸기 種藝
5) 물주기와 거름주기 澆壅
6) 쓰임새 功用
26. 감로자(甘露子, 석잠풀) 甘露子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심는 시기 時候
4) 심기와 가꾸기 種藝
5) 거두기 收採
6) 종자 거두기 收種
7) 쓰임새 功用
27. 차조기[紫蘇, 자소] 紫蘇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심는 시기 時候
4) 심기와 가꾸기 種藝
5) 거두기 收採
6) 쓰임새 功用
28. 회향(茴香) 茴香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심기와 가꾸기 種藝
29. 미나리[芹, 근] 芹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심는 시기 時候
4) 심기와 가꾸기 種藝
5) 보관하기 收藏
30. 순채[蓴, 순] 蓴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심기와 가꾸기 種藝
4) 쓰임새 功用
31. 여뀌[蓼, 료] 蓼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심는 시기 時候
3) 심기와 가꾸기 種藝
4) 거두기 收採
5) 새싹 기르는 법 養芽法
6) 쓰임새 功用
32. 버섯[菌, 균] 菌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심기와 가꾸기 種藝
3) 쓰임새 功用
33. 두릅[木頭菜, 목두채] 木頭菜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심기와 가꾸기 種藝
34. [부록] 아울러 살필 만한 나물 종류 附 互考蔬品
34-1) 첨채(甜菜, 구기자 나물) | 34-2) 오가묘(五加苗, 오가피나물) | 34-3) 청양(靑蘘, 참깨나물) | 34-4) 필두채(筆頭菜, 죽대나물) | 34-5) 지황묘(地黃苗, 지황나물) | 34-6) 대절채(對節菜, 쇠무릎나물) | 34-7) 삽주채(霎周菜, 삽주나물) | 34-8) 결명묘(決明苗, 결명자나물) | 34-9) 산호채(珊瑚菜, 방풍나물) | 34-10) 형개묘(荊芥苗, 정가나물) | 34-11) 박하묘(薄荷苗, 영생이나물) | 34-12) 우방묘(牛蒡苗, 우엉나물) | 34-13) 망우채(忘憂菜, 원추리나물) | 34-14) 신감채(辛甘菜, 당귀나물) | 34-15) 괴아채(槐芽菜, 회화나물) | 34-16) 콩나물[黃豆芽菜, 황두아채] | 34-17) 숙주나물[菉豆芽菜, 녹두아채] | 34-18) 위유묘(萎蕤苗, 둥굴레나물) | 34-19) 홍화채(紅花菜, 잇꽃나물) | 34-20) 차륜채(車輪菜, 질경이나물) | 34-21) 미무(蘼蕪, 궁궁이나물) | 34-22) 향채(香菜, 노야기나물) | 34-23) 녹곽(鹿藿, 들녹두나물) | 34-24) 제니묘(薺苨苗, 모싯대나물)·제니근(薺苨根, 모싯대뿌리) | 34-25) 촉규묘(蜀葵苗, 접시꽃나물) | 34-26) 죽순(竹筍) | 34-27) 포순(蒲筍, 부들순) | 34-28) 마미채(馬尾菜, 갈대나물)
35. [부록] 산과 들의 나물 附 山野蔌品
35-1) 냉이[薺, 제] | 35-2) 말냉이[馬薺, 마제] | 35-3) 고사리[蕨, 궐] | 35-4. 들완두[薇, 미] | 35-5) 얼치기완두[小巢菜, 소소채] | 35-6) 좀명아주[灰藋, 회조] | 35-7) 명아주[藜, 여] | 35-8) 삼백초[蕺, 즙] | 35-9) 산겨자[山芥, 산개] | 35-10) 괭이밥[酸漿草, 산장초] | 35-11) 물쑥[蔞蒿, 누호] | 35-12) 개똥쑥[香蒿, 향호] | 35-13) 고들빼기[苦菜, 고채] | 35-14) 별꽃[繁縷, 번루] | 35-15) 소루쟁이[羊蹄, 양제] | 35-16) 묵응이나물[墨應耳菜, 묵응이채] | 35-17) 송이버섯[松茸, 송이] | 35-18) 알버섯[麥蕈, 맥심] | 35-19) 석이버섯[石耳, 석이] | 35-20) 곰취[熊蔬, 웅소] | 35-21) 동취[冬蔬, 동소] | 35-22) 말가리[淸兒菜, 청아채] | 35-23) 머위[白菜, 백채] | 35-24) 적겨자[紫芥, 자개] | 35-25) 차조기[水蘇, 수소] | 35-26) 청옥채(靑玉菜)| 35-27) 넘나물[黃花菜, 황화채]
36. [부록] 바다의 나물 附 浦海菜品
36-1) 김[紫菜, 자채] | 36-2) 모자반[海藻, 해조] | 36-3) 파래[海蘊, 해온] | 36-4) 미역[海帶, 해대] | 36-5) 다시마[昆布, 곤포] | 36-6) 녹각[鹿角菜, 녹각채] | 36-7) 청각[靑角菜, 청각채] | 36-8) 톳[土衣菜, 토의채] | 36-9) 우뭇가사리[海凍草, 해동초] | 36-10) 파래[乾苔, 건태] | 36-11) 납작파래[常思苔, 상사태] | 36-12) 홑파래[羹苔, 갱태] | 36-13) 매생이[莓山苔, 매산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