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한국소설 > 2000년대 이후 한국소설
· ISBN : 9791189898403
· 쪽수 : 247쪽
· 출판일 : 2020-11-11
책 소개
목차
디오게네스 7
콩 볶는 집 25
고주망태와 푸대자루 33
검정 구두 67
불 83
오래된 사랑 131
호줏기 145
황산벌 167
ㅣ발문ㅣ김종광 229
ㅣ작가의 말ㅣ 247
저자소개
책속에서
나중에 들었는디 가관이 개판이여. 순전히 폭력이었더구먼. 깡패들하고 어울려 떠돌아다니다가 형수 동네 근처 저수지를 막을 때 토목공사 십장을 했디야. 밥과 새참을 부쳐 먹던 동네를 기웃거리다 형수가 눈에 띄었는디 삼삼한 거라. 처음에는 한번 건드려보려고만 했겄지. 잘 알겄지만 경상북도 사람들 어지간하잖어. 대부분의 농촌이 보수적인데다가 밀양 박씨 집성촌이니 씨알도 안 먹혀들어간 거라. 더군다나 근본이 없는 어떤 떠돌이가, 지금도 그렇지만 그때는 전라도 사람들한테 눈이 곱지 않을 때였고, 한마디로 거절당했지. 형 성격이 불이여 불, 완력 꽤나 썼을 때니 곱게 물러날 리가 없지. 부산에 내려와서 전포동 서면 몹쓸 것들을 다 동원해서 다시 올라간 거지. 야전도끼, 자전거 체인, 몽둥이, 삽, 빠루를 비롯해서 공사판 연장까지 총동원해서 급습을 한 거여. 내 눈에 흙이 들어가기 전에는 절대로 딸을 못 준다는 노인네와 집안 오빠들을 물리치고, 뭐 대문을 야전도끼로 박살냈다고 하는디 오죽했겄냐. 그냥 눈 번히 뜨고 큰딸이 보쌈당하는 걸 보고만 있었겄지. 그 길로 부산에 내려와 살림을 차렸대. 말이 살림이지, 단칸방에 감금하고 출입을 못 하게 헌 거여. -(<고주망태와 푸대자루>, 부분)
한번은 대현이 큰형 태현이가 장가를 간 날이었다. 어머니는 늘 그렇듯 광을 보다가 잔치가 파할 무렵 집에 왔다. 아버지는 손님이 준 잔을 사양 않고 받아 마시고 벌러덩 덕석 위에 눕고 말았다. 동네 머슴들 부축을 받아 작은형이 바작에다 짊어지고 왔다. 잠을 잔 것까지는 좋은데 손님들은 모두 돌아간 텅 빈 잔치마당에 아버지 홀로 누워 있는 모습을 상상해봐라. 설거지가 다 끝난 마당에 큰 대자로 누워 한복에다 벌벌 오줌을 싸는 모습을. 그렇게 술이 좋은가. 우리 동네는 주막이 세 개나 있었다. 동네 기세도 좋고 국도 옆에 있어 장꾼들 들러 가기 딱 좋다. 거기 주막집 세 개에 외상값이 제일 많은 것도 아버지였다. 외상장부에 바를 정자가 제일 긴 게 아버지였다. -(<호줏기>, 부분)
나중에는 장모가 처남댁 눈물까지 의심했다. 처남댁은 남편을 잃었다. 믿거나 말거나 삼우제
가 끝나고 처남댁이 내게 넌지시 얘기했다. 결혼 초기였는데, 어떤 스님이, 처남 얼굴을 보더니 비명횡사할 상이라고 했단다. 그 예언이 맞았나, 하. 문제는 돈이었다. 처남이 평소 가지고 있던 현금에다 각종 보험금, 퇴직금, 보상금, 합의금, 예금, 집, 차…… 장난이 아니었다. 처남 명의로 되어 있는 아파트 가격만 해도 12억이 넘게 나갔다. 나는 앞에서 충분히 이해한다고 썼다. 평소 처남댁이 현명한 사람이었다면, 큰아들 대학 때까지 키우느라 돈 많이 들어갔고, 결혼시켜 제금 내주느라 고생했으니 얼마간 뚝 떼어주면 좋으련만, 처남댁은 우선 정신이 없고, 그럴 마음 여유가 들지 않았을 것이다. 장모는 사정이 안 좋은 처남댁 친정 식구들 들먹이고 처남댁이 개가를 하게 되면, 닭 쫒던 개 지붕 쳐다보는 신세 된다고 울었다. 누구 좋은 일 시키려고 생떼 같은 자식이 죽었느냐고 울었다. 남자한테 환장하면 자식이고 뭐고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다고 조카들을 붙잡고 울었다. 나는 자식의 죽음 앞에 현실적으로 돈을 따지는 장모가 무서웠다. 그러면서 돈 없는 내가 한없이 다행이라고 안도했다. -(<황산벌>, 부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