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우리말 땅이름 4

우리말 땅이름 4

(지명에 새겨진 생태적인 기억들)

윤재철 (지은이)
비(도서출판b)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200원 -10% 0원
900원
15,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우리말 땅이름 4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우리말 땅이름 4 (지명에 새겨진 생태적인 기억들)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지리학/지정학 > 지리학
· ISBN : 9791189898854
· 쪽수 : 405쪽
· 출판일 : 2022-11-28

책 소개

생태적인 특성이 강한 동물, 식물, 세간살이, 농기구 등의 이름을 딴 예쁘고 정겨운 우리말 지명 91개를 소개하고 있다. 작은 우리말 땅이름들이 사람살이와 주변 환경에서 찾아 붙인 만큼 오염이 덜하고 생태적이라는 의미를 오롯이 갈무리하고 있다.

목차

이 책을 펴내며 5

제1부 동물 지명

산제비 넘나드는 성황당길 17
산제비당개울ㆍ산제비골ㆍ연암의 제비바위
아프리카까지 날아가는 우리나라 뻐꾸기 22
뻐꾹산ㆍ뻐꾹골ㆍ꼭꾸바위
으뜸가는 스텔스기 수리부엉이 26
ㅤㅂㅝㅇ바위ㆍㅤㅂㅝㅇ박골ㆍ봉산
꿩 일가족 장끼 까투리 꺼병이 31
꽁바치ㆍ꿩밭골ㆍ까투리골ㆍ덜거기봉
고래를 줍다니요? 37
고래불ㆍ고래준골ㆍ고래죽은작지
만석꾼 집터에 족제비업은 뛰어들고 43
족제비골ㆍ쪽제비다리ㆍ쪽제비배미
뱀이 많아 뱀골 구불구불해서 뱀내 47
뱀골ㆍ뱅골ㆍ뱀내장ㆍ김녕뱀굴
하늘을 나는 거위 고니 52
고니섬ㆍ고누섬ㆍ곤이도
백학은 학이야 두루미야 56
두루미산ㆍ두루뫼ㆍ학산
혼례 때 전안상에 올라앉던 기러기 62
기러깃재ㆍ기럭재ㆍ기리재
보랏빛 깃털이 아름다운 보라매 66
보라매공원ㆍ보라매동ㆍ보라미
쥐 몸에 새 날개 기괴한지고 71
박쥐굴ㆍ다람쥐굴ㆍ빨쥐바위
흥부네 제비와 재수 없는 제비 명매기 74
제비실ㆍ제비울ㆍ명매기마을
가평 호명리 호명산은 범울이 79
범울이ㆍ범울이골ㆍ범물리
자라는 아내가 뒷집 남생이와 눈이 맞을까 봐 걱정 83
자라골ㆍ자라섬ㆍ남새이골
누에의 머리 모양으로 쑥 솟은 산꼭대기 87
누에머리ㆍ눼머리ㆍ잠두봉
우렁이각시의 집 울엉이 91
우렁이산ㆍ우렁골ㆍ우렁바위

제2부 식물 지명 1─나무


푸르고 물기가 많은 청실배 97
신배골ㆍ돌배골ㆍ배나무실
물이 파랗게 변하는 물푸레나무 102
물푸레울ㆍ물푸레골ㆍ물푸르젱이골
이팝나무는 쌀밥 조팝나무는 조밥 106
이팝나무길ㆍ조팝꽃피는마을
헤이즐넛은 서양 개암나무 열매 111
깨금벌ㆍ갬벌ㆍ개암나무
산사나무는 아가위나무 찔광이나무 115
아가위나무골ㆍ아가나무말ㆍ찔광이골
갈매나무가 많아 초록산 119
새푸르기ㆍ초록말ㆍ조리울
앵두나무 우물가에 동네 처녀 바람났네 124
앵두나무골ㆍ앵두밭우물ㆍ함도리
벽오동 심은 뜻은 128
머굿대ㆍ머구실ㆍ머귀내
나무 중의 공주 자작나무 133
자작골ㆍ자작나무골ㆍ재작장이
뒷산에두 봇나무 앞산에두 봇나무 137
봇나무골ㆍ봇밭골ㆍ봇바데기ㆍ봇나무산
고욤나무가 있는 풍경 141
괴염나무골ㆍ고용나무골ㆍ꼬약나뭇골
오솔길과 외솔배기 그리고 솔뫼 145
외솔고개ㆍ일송정ㆍ솔메
찔레꽃 향기는 너무 슬퍼요 151
찔레골ㆍ찔갯골ㆍ독고리남밧
서귀포시 보목동 볼레낭은 보리수나무 155
볼레낭개ㆍ볼레남개ㆍ볼레오름
나무에 달린 참외 모과나무 159
모과울ㆍ모개실ㆍ목과동
율곡매 선암매 설중매 164
매화고랑ㆍ매화골ㆍ매화나무골ㆍ매실
죽을 때 꽃을 피우는 대나무 170
대밭마ㆍ대밭골ㆍ대숲골ㆍ죽림리

제3부 식물 지명 2─풀


연애하기 좋았던 붉은 수수밭골 177
수수앝골ㆍ쉬앝골ㆍ쑤시밭골
면화는 솜꽃 목화는 나무에 핀 꽃 181
면화골ㆍ메나골ㆍ미영밭골
여뀌꽃과 흰 해오라기 185
여꾸말ㆍ여꾸실ㆍ여뀌울
양산같이 생긴 노란 마타리꽃 188
마타리우물ㆍ마타리재ㆍ마타리골
도롱이나 부채를 만들던 줄풀 191
주을내ㆍ주랏들ㆍ주라골
가난한 동네 녹두밭윗머리 194
녹두거리ㆍ녹디밭골ㆍ녹두골
물음표 모양의 고비와 고사리 198
고비덕ㆍ고사리데기ㆍ고새울ㆍ궐동리
매운맛의 대명사 고추와 후추 201
고추말ㆍ고추봉ㆍ후추우물ㆍ초정약수
사자 발같이 생긴 강화 사자발쑥 204
쑥밭다리ㆍ쑥밭들ㆍ쑥밭재
생강 농업의 종가 완주 봉동생강 207
샹들ㆍ샹바위ㆍ새앙골
‘산산’은 마늘산 210
마늘메ㆍ마늘봉ㆍ마늘메봉
삘기 뽑아 먹던 띠 213
띠울ㆍ모동ㆍ모리
세계적으로 우리나라에만 있는 모데미풀 217
모데기ㆍ남원 회덕마을
강아지풀을 닮은 조 이삭 220
조밭골ㆍ조앝골ㆍ속전동
댕댕이로 만든 멋쟁이 모자 정동벌립 224
댕댕이산ㆍ댕댕이버덩ㆍ댕댕이골
왕십리 미나리꽝 미근동 미나릿골 229
미나리꽝ㆍ미나리골ㆍ근동

제4부 농기구 지명

농기구의 한류 ‘Ho-mi’ 235
호미골ㆍ호무골ㆍ호미실ㆍ호미산
낫 놓고 기역 자도 모른다고? 239
낫머리ㆍ낫거리ㆍ낫골ㆍ겸동
쇠스랑으로 왜적을 쳐 죽인 쇠스랑 장군 244
쇠스랑골ㆍ소시랑봉ㆍ쇠스랑개
아침가리는 아침나절이면 모두 가는 작은 따비밭 249
따비골ㆍ따부골ㆍ따불
보습 대일 땅이 있었더면 이처럼 떠돌으랴 253
보습곶이ㆍ보습바위ㆍ보섭봉
‘丁’ 자 고무래를 닮은 곰뱃골 곰배령 257
곰배등ㆍ곰배산ㆍ고무래봉ㆍ정봉
채워지면 비워지는 운명의 삼태기 260
삼태미골ㆍ삼태기안ㆍ삼태봉
멍에는 완만한 ‘∧’ 모양이다 263
멍에골ㆍ멍에실ㆍ멍에미ㆍ몽애배미
연세대 뒷산 안산은 질마재 267
길마재ㆍ질막고개ㆍ질매섬ㆍ안마도
돼지구융같이 늘어선 ‘병든 서울’ 272
구유골ㆍ구수산ㆍ구융골ㆍ구시물
홈통을 놓아 물을 대던 홈다리들 276
홈실ㆍ홈들ㆍ홈태골ㆍ명동
“칼 갈아요~ 가위 갈아요” 외던 칼갈이 281
숫돌산ㆍ쉿돌메ㆍ숫돌고개ㆍ지석강
멍석에 말아 몽둥이로 치던 덕석말이 285
멍석바위ㆍ멍석골ㆍ덕석골ㆍ덕석굽이
팽개쳐 참새떼를 쫓던 팡개 290
팡개바위ㆍ팽개바위ㆍ팽암
머슴 새경을 결정하던 들돌 들기 294
들돌거리ㆍ들독거리ㆍ들돌골ㆍ거석리
깊은 산 절벽 밑에 세워 놓은 벌통 297
설통바위ㆍ설통바위골ㆍ멍덕봉
마당 가의 어리와 추녀 밑의 닭둥우리 300
둥우리골ㆍ둥지리봉ㆍ닭둥지마을
Y자 모양의 양다리 디딜방아 304
물방아골ㆍ물방아거리ㆍ방아골ㆍ방아다리
장작불로 소금을 굽던 가마 ‘벗’ 308
벗마을ㆍ벗말ㆍ염촌

제5부 세간살이 지명

머리에 이고 물 길어 나르던 동이 315
동이골ㆍ동이말ㆍ동이점골ㆍ분점리
질그릇과 오지그릇 그리고 옹기 319
질골ㆍ오지말ㆍ옹기말ㆍ독점
김유정의 고향 실레마을은 떡시루 모양 323
시랫골ㆍ시릿골ㆍ시루굴ㆍ시루미
방배동 중국집 이름 함지박 326
함지박골ㆍ함지골ㆍ함지누게골ㆍ함박산
삼겹살 굽기 좋은 소댕 330
소댕이ㆍ소당바위ㆍ소두방재ㆍ소탱이골
쪽박산과 대박산 334
똥그랑산ㆍ한박산ㆍ대박촌
오줌싸개 머리에 씌우던 키 338
키울ㆍ칭이실ㆍ치실ㆍ키산
다람쥐(또는 개미) 쳇바퀴 돌듯 342
채바퀴골ㆍ쳇망오름ㆍ채빠꿈이ㆍ쳇다리산
개다리소반에 닥채 저붐 이 도령의 밥상 346
소반바위ㆍ소반뫼ㆍ반지울ㆍ반산
구례 운조루를 빛낸 통나무 뒤주 351
뒤주골ㆍ두지골ㆍ두지터ㆍ뒤주바위
부엉이 방구통으로 만든 됫박 357
됫박산ㆍ됫박고개ㆍ되골
벌레 먹은 돌로 만든 맷돌 361
맷돌머루ㆍ맷돌바위ㆍ맷돌산ㆍ망돌산
방귀로 날려 버린 절구통 365
절구폭포ㆍ절구골ㆍ도구통바위ㆍ호박소
여성들의 주요 혼수품이었던 ‘농’ 370
농다리ㆍ농바우ㆍ농박골ㆍ농암
부산 해운대 동백섬은 다리미섬 374
다리미산ㆍ대리미재ㆍ다리빗들ㆍ다래비산
신틀 오빠 베틀 누나 377
신틀바우ㆍ신트리ㆍ신털이봉
한쪽을 자르면 넉가래가 되는 도투마리 381
도투말ㆍ도투마리고개ㆍ도고머리ㆍ도토리
홍두깨는 방망이다 385
홍두깨등ㆍ홍두깨날ㆍ홍두깨산ㆍ홍두깨골
물동이 밑에 받쳐 이던 똬리 390
또아리고개ㆍ똬리산ㆍ똥아리골ㆍ두아리
야한 동네 야동동은 풀뭇골 394
풀무골ㆍ풀무재ㆍ불맷골ㆍ야로리
금강산 비로봉 은사다리금사다리 398
사다리병창ㆍ새드레ㆍ사닥다리바위ㆍ사다리논
옛날의 냉장고 빙고 402
핑곳골ㆍ빙고리ㆍ빙고재ㆍ핑구골

저자소개

윤재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시인. 1953년 충남 논산에서 태어나 초·중·고 시절을 대전에서 보냈다.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를 졸업했으며 1981년 ‘오월시’ 동인으로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시집으로 <아메리카 들소> <그래 우리가 만난다면> <생은 아름다울지라도> <세상에 새로 온 꽃> <능소화> <거꾸로 가자> <썩은 시> <그 모퉁이 자작나무>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내려온 달빛> 등과, 산문집으로 <오래된 집> <우리말 땅이름>(전 4권) 등이 있다. 신동엽문학상(1996)과 오장환문학상(2013)을 받았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