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북한이 핵 보유국이 된다면 어떻게 달라지는가

북한이 핵 보유국이 된다면 어떻게 달라지는가

(핵 보유 이후 국가행동의 변화)

김태형, 박민형, 설인효, 이근욱, 이장욱, 정성철, 최아진, 황지환, 황태희 (지은이)
사회평론아카데미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5,000원 -0% 0원
750원
24,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북한이 핵 보유국이 된다면 어떻게 달라지는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북한이 핵 보유국이 된다면 어떻게 달라지는가 (핵 보유 이후 국가행동의 변화)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국제정치학
· ISBN : 9791189946586
· 쪽수 : 381쪽
· 출판일 : 2020-05-13

책 소개

이 책은 북한이 핵 보유 이후 어떠한 대외전략과 대외정책을 펼칠 것인지를 고민하고 있다. 한반도에서 주요한 관심은 북한이 현상타파적인(혹은 공격적인) 국가가 되고 있는지, 현상유지적인(혹은 방어적인) 국가가 되고 있는지 살피는 것이다.

목차

제1부 핵무기를 포기하지 않는 국가들의 행동방식

제1장 핵 보유 이후 국가들의 행동방식 모델 이론

I. 서론
II. 주제의 중요성
III.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분석하고자 하는 핵 보유 국가의 행동과 결정요인
IV. 개별 국가들의 행보와 유형화
V. 북한 핵 보유 이후 한반도 안보 상황에서의 유의점
VI. 결론

제2장 북한 핵개발과 북중동맹의 변환
I. 들어가는 말
II. 이론적 논의: 동맹과 핵무기
III. 북중동맹의 변환: 방어동맹에서 제지동맹으로
IV. 트럼프 행정부와 북중 관계의 미래
V. 결론

제3장 핵무기 보유 추진 국가들과 경제제재-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I. 서론
II. 핵 보유 방지 목적 경제제재의 특징
III. 사례분석
IV. 대북 경제제재에 대한 함의

제4장 핵 보유 이후 국가들의 국방정책 변화
I. 서론: 문제제기
II. 이론적 논의: 핵 보유와 국방정책 변화
III. 인도·파키스탄의 핵 개발 동인
IV. 핵 보유 이후 인도·파키스탄의 국방정책 변화
V. 결론


제2부 핵무기를 포기하지 않는 국가들의 사례와 북한

제5장 미국과 신흥 핵무기 보유국

I. 서론
II. 미국과 핵 비확산
III. 핵 비확산을 위한 수단과 대응
IV. 미국의 신흥 핵무기 보유국에 대한 전략
V. 결론: 미국의 전략과 북한에 대한 함의

제6장 핵 보유 이후 이스라엘의 국가전략
I. 서론
II. 이스라엘 핵 보유의 배경 및 개발 과정
III. 이스라엘 핵 보유에 대한 국제사회 및 기존 핵 보유국 반응
IV. 핵 보유 과정 및 이후 이스라엘의 대외전략
V. 한반도에 대한 함의

제7장 핵 보유 이후 인도의 국가전략
I. 서론
II. 인도의 핵무장 과정과 주요 요인
III. 인도의 핵 보유국 지위 획득을 위한 전략적 접근
IV. 결론을 대신하여: 북한에의 시사점 및 정책적 함의

제8장 파키스탄의 핵 보유 이후 전략 변화
I. 파키스탄의 핵무기 개발 역사, 배경
II. 파키스탄 핵 보유에 대한 국제사회의 대응: 대파키스탄 제재와 그 한계
III. 파키스탄의 핵무기 보유 이후 전략 변화
IV. 파키스탄의 핵 보유 이후 전략 변화가 북한에 주는 함의
V. 결론


제3부 북한에 대한 함의

제9장 북한은 핵실험 이후 더 공격적인가?

I. 머리말
II. 핵무기와 대외적 행동의 변화: 이론적 논의
III. 북한의 핵실험과 핵능력의 변화
IV. 북한의 핵실험과 대외적 행동의 분석: 현상타파 혹은 현상유지?
V. 핵실험 이후 북한 대외전략과 대외정책의 특징: 현상타파와 현상유지의 결합

저자소개

이근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미국 하버드대학교에서 국제정치이론 및 군사동맹에 대한 연구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단독 저서로 『왈츠 이후: 국제정치이론의 변화와 발전』, 『냉전: 20세기 후반의 국제정치』, 『쿠바 미사일 위기: 냉전기간 가장 위험한 순간』, 『이라크전쟁: 부시의 침공에서 오바마의 철군, 그리고 IS 전쟁까지』, 『아프가니스탄전쟁: 9.11 테러 이후 20년』 등이 있다.
펼치기
황지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외교학과 졸업 서울대 외교학 석사 콜로라도대 국제정치학 박사 현 서울시립대 국제관계학과 교수 게이오대 정치학과 특별초빙교수 미국 가톨릭대 정치학과 방문학자 조지워싱턴대 정치학과 강사 명지대 북한학과 조교수 서울대 통일연구소 선임연구원 역임 [주요논저] North Korea, Nuclear Risk-Taking and the United States (Lexington Books) Engaging North Korea (공저, Routledge) 『한국안보의 이해』 (공저, 명인문화사) “Disillusioning Pyongyang’s Nuclear Deterrence Strategy” (KJDA) “미국과 중국은 ‘투키디데스 함정’에 빠져 있는가?” (동서연구) “미국의 한반도 확장억지는 약화되어 왔는가?” (국가전략) 외 다수
펼치기
김태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숭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고려대학교 철학과 졸업, 켄터키 대학교(University of Kentucky) 정치학 박사 논저: 『인도-파키스탄 분쟁의 이해』, “미-중 경쟁 격화와 유럽의 선택”, “국내정체성 정치와 외교전략 딜레마: 인도 모디(Modi)정부의 힌두 민족주의 국내정책과 중국의 공세적 외교정책의 충돌”, “North Korea’s Nuclear and Missile Development and Crisis Stability in the Korean Peninsula: Lessons, Pitfalls, and Workable Strategy”, “미국의 인도-태평양전략과 미군의 군사전략 변화”
펼치기
정성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명지대학교 공공인재학부 정치외교학전공 교수이다. 서울대학교(서양사학 학사, 외교학 석사)와 미(美) 럿거스뉴저지주립대(정치학 박사)에서 공부했다. 통일연구원에서 근무했으며 한국국제정치학회 논문상을 수상한 바 있다. 한반도 관점에서 국제정치와 외교정책을 가르치고 연구하며 자신과 우리를 알아가는 일상을 살고 있다. 주요 업적을 『한국정치학회보』, International Studies Quarterly, Journal of Contemporary China, Journal of Peace Research 등에 출판했다. https://sites.google.com/site/scjung2015
펼치기
황태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