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미술 이야기
· ISBN : 9791190118491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23-02-10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2
절망의 끝에서 마주하다 | 빈센트 반 고흐 <붓꽃-아이리스> 12
패션 아이콘 | 프리다 칼로 <테후아나를 입은 자화상> 22
북유럽 모나리자 | 요하네스 페르메이르 <진주 귀고리 소녀> 34
순수와 우아함에 대한 칭송 | 레오나르도 다빈치 <흰 담비를 안고 있는 여인> 44
오직 한 사람, 나의 뮤즈 | 파블로 피카소 <꿈> 54
이토록 생생한 공포 | 에드바르 뭉크 <절규> 64
세계 미술사의 최고 스캔들 | 프란시스코 고야 <벌거벗은 마하> 74
르네상스 시대 문화 아이콘, 황금비의 여인 | 산드로 보티첼리 <비너스의 탄생> 86
마티스가 꿈꾸었던 곳 | 앙리 마티스 <열린 창문을 등지고 앉아 있는 여인> 98
황금장식기법 최고 걸작 | 구스타프 클림트 <아델레 블로흐 바우어의 초상> 108
눈동자 없는 눈으로 바라본 영원의 세계 | 아메데오 모딜리아니 <잔 에뷔테른 초상> 118
빛이 곧 색채다 | 클로드 모네 <정원의 여인들> 128
부르주아의 위선을 고발하다 | 에두아르 마네 <풀밭 위의 점심> 138
영감의 원천 유레카! | 살바도르 달리 <기억의 지속> 148
반문명의 유토피아를 향해 | 폴 고갱 <과일을 들고 있는 여인> 158
회화의 신학 | 디에고 벨라스케스 <시녀들> 170
이슬람 하렘을 그린 최초의 서양화 | 외젠 들라크루아 <알제의 여인들> 182
최초의 결혼 기념 초상화 | 얀 반 에이크 <아르놀피니 부부의 초상화> 196
정치 선전화의 걸작 | 자크 루이 다비드 <호라티우스 형제의 맹세>206
페르소나, 가면 뒤의 삶 | 제임스 앙소르 <가면에 둘러싸인 앙소르> 216
미술과 기상학의 융합 | 존 컨스터블 <건초마차> 230
최초로 그림에 표현된 악몽 | 헨리 푸셀리 <악몽> 244
애도의 방법 | 아르놀트 뵈클린 <죽음의 섬> 256
식물학 교재가 된 그림 | 존 에버렛 밀레이 <오필리아> 266
사랑은 신과 같다 | 프랑수아 제라르 <에로스와 프시케> 276
세계 최초의 명화 달력 | 랭부르 형제 <베리 공의 매우 화려한 기도서> 286
핀란드의 국가 그림 | 후고 짐베르크 <부상당한 천사>296
모나리자 이후 가장 유명한 초상화 | 프란스 할스 <웃고 있는 기사>306
평범한 일상의 위대함 | 장 시메옹 샤르댕 <물잔과 커피포트>316
그림으로 보는 소설 | 윌리엄 호가스 <당대의 결혼풍속> 326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반 고흐는 “물감들이 어우러지면서 생겨나는 아름다운 색조를 항상 현명하게 사용하는 것, 즉 자신의 팔레트와 색의 조화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작업하는 것은 노예처럼 자연을 기계적으로 따르는 것과 크게 다르다. (…) 나는 자신을 보다 강렬하게 표현하기 위해 색을 자의적으로 사용한다”라고 말했을 정도로 색의 시각적 · 심리적 감정 효과를 열정적으로 탐구한 화가였다. _‘절망의 끝에서 마주하다’, 빈센트 반 고흐 <붓꽃-아이리스>
프리다는 패션을 예술의 표현 수단으로 사용하여 개인적, 문화적, 정치적 정체성을 만들어낸 독보적인 예술가다. 패션은 프리다의 강력한 자기표현 방식이었고, 그녀를 20세기 패션 아이콘으로 만드는데 기여했다. _‘패션 아이콘’, 프리다 칼로 <테후아나를 입은 자화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