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생명과학 > 생명과학
· ISBN : 9791190149365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20-07-25
책 소개
목차
서문 _ 바이러스와 함께 살다 10
제1장 신기하고도 이상한 삶과 죽음 14
바이러스는 세포 안에서만 살 수 있다•15 / 세포 밖에서 죽는 운명•18 / 천연두 백신 배포•20 / 송아지를 이용한 천연두 백신•21 / 효력이 확인된 우역 백신•24 / E형 간염바이러스를 발견하다•25 / 세포 밖에서 오래 사는 바이러스•26 / 범상치 않은 강인함, 노로바이러스•27 / 냉장고에 방치된 천연두바이러스•29 / 3만 년 동안 잠들어 있던 아메바의 바이러스•30 / 부활하는 바이러스•32 / 일본에서 종두는 어린이를 백신 운반 수단으로 한다•35
제2장 보이지 않는 바이러스의 흔적을 쫓아서 38
전염성이 있는 살아 있는 액체•39 / 단백질 결정•42 / 소와 돼지에 접종해서 발견한 구제역바이러스•44 / 바이러스 연구의 최초 모델이 된 조류 인플루엔자바이러스•46 / 새로운 길을 연 폴리오바이러스•49 / 배양 세포에서 바이러스를 증식하다•50 / 치료 약이 되는 바이러스 - 박테리오파지•53 / 분자 생물학의 탄생•57 / 바이러스 입자를 보는 데 성공하다•59 / 최초로 인플루엔자바이러스를 발견한 과학자•61 / 파지 요법의 부활•63
제3장 바이러스는 어디에서 오는가 66
바이러스 기원에 관한 3가지 가설•67 / 이미 존재했던 바이러스•68 / 바이러스는 세포에서 도망친 유전자•71 / 바이러스는 세포가 퇴화한 것•74 / 바이러스의 화석을 발굴하는 고바이러스학•76 / 공룡 시대에도 존재했던 B형 간염바이러스•77 / 신석기 시대 사람 뼈에서 분리된 B형 간염바이러스의 게놈•79 / 4억 년 전에도 존재했던 헤르페스바이러스•80 / 면역학 가설을 제창하다•82
제4장 흔들리는 생명의 정의 85
증식하고 변화하는 거대 분자•85 / 생명도 생물도 라이프(Life)•87 / 세 단어로 생명을 정의할 수 있을까?•89 / 자리를 움직이는 생물의 분류•90 / 새로운 생명관의 제창•92 / 폴리오바이러스의 시험관 속 합성•94 / 대화하는 바이러스•96
제5장 몸은 버리고 정보로 생존하다 100
역전사 효소의 발견•101 / 내재성레트로바이러스의 발견•103 / 내재화는 우연•104 / 바이러스의 도움을 받아 태어났다고?•106 / 임신을 유지하는 양의 내재성레트로바이러스•108 / 내재화되는 코알라 에이즈바이러스•109 / 돼지 장기를 인간에게 - ‘이종 이식’의 최대 걸림돌에 도전하다•111 / RNA 바이러스도 게놈에 잠복할 수 있다•113 / 역전사 효소의 논문 발표•115
제6장 때로는 파괴자가 수호자로 118
광합성 하는 동물을 창조하다•118 / 숨은 공범자•122 / 해충을 지키다•126 / 작열하는 불모지에서 살아갈 힘을 주다•127 / 경제 버블의 흑막•128 / 숙주의 근접 종에 다가간 바이러스•130 / 에이즈 증상 발현을 억제하다•132 / GBV-C라고 부르는 이유•134
제7장 상식을 뒤집은 바이러스들 136
‘죽음의 세계’ 속 풍요로운 바이러스 생태계•137 / 극한 환경을 견디는 이형 DNA•140 / 바이러스의 맹점 – 거대 바이러스 발견•144 / 거대 바이러스를 연달아 발견하다•146 / 거대 바이러스에 기생하는 바이러스•148 / 거대 바이러스는 사람을 병들게 할까?•149
제8장 수중에 퍼지는 바이러스 세계 152
미지의 바이러스 생태계를 발견하다•153 / 바이러스는 적조 소멸에 관여한다•156 / 바이러스는 심해 생태계를 지지한다•159 / 열수 분출공에도 대량의 바이러스가 산다•160 / 바이러스가 지구 환경에도 영향을 준다고?•162 / 전 세계의 해양 바이러스 탐사•166 / 유산균 파지 연구에서 탄생한 게놈 편집 기술•169
제9장 인간 사회에서 쫓겨난 바이러스들 172
천연두바이러스의 기원을 둘러싼 수수께끼•173 / 천연두 백신의 정체•177 / ‘로테크’로 근절한 천연두•179 / ‘제2의 천연두 발생’ 시나리오•183 / ‘천연두바이러스의 인공 합성’이라는 악몽•185 / ‘천연두 테러’라는 시나리오•188 / 홍역바이러스는 소의 바이러스에서 생겼다•191 / 존속 전략은 ‘최강의 전파력’•192 / 홍역은 어른이 걸리는 병•194 / 선진국에서의 배제•196 / 왜 반세기 전의 백신이 효과가 있을까?•197 / 우역 – 사상 최악의 전염병•198 / 생물 병기의 우역이자 수의학 어머니로서의 우역•199 / 아시아, 중동, 아프리카로 확대한 우역 박멸 프로젝트•201 / 최신 바이러스학으로 바이러스를 추적하다•202 / 자연사 연구자로서의 제너•206 / 암세포를 홍역바이러스로 용해하다•208 / 빛을 보지 못한 조작 우역 백신•209
제10장 인간의 몸속에 사는 바이러스들 213
재발하는 단순 헤르페스바이러스•214 / 잠복하는 수두바이러스가 대상 포진을 일으킨다•217 / 최초로 발견된 인간의 암 바이러스•219 / 인간면역부전바이러스가 있는 건강한 사람•222 / 인체 속 암흑 물질 – 인간 바이롬•227
제11장 격동의 환경에서 사는 바이러스 231
대규모 양돈 산업이 낳은 돼지생식기호흡기증후군바이러스•232 / 돼지 과밀 도시와 ‘바이러스를 숨긴 국제 유통’•235 / 인간 사회의 반려동물로 진출한 파보바이러스•236 / 연구실에서 나타난 원숭이의 에이즈바이러스•240 / 양계가 만든 신형 인플루엔자바이러스•245 / 다양한 숙주를 넘나드는 교묘한 생존 전략•246 / 돼지 콜레라 – 우수한 백신이 있는데 왜 살처분 당할까?•250
에필로그 •256
후기 •266
참고문헌 •271
리뷰
책속에서
바이러스를 생명체로 볼 때, 거기에는 독특한 생(生)과 사(死)가 존재한다. 그러나 이제까지 바이러스 연구는 바이러스가 어떻게 증식하고, 어떻게 병원성 세포 속에서 활동하며, 그 구조의 형태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이것은 바이러스의 ‘생(生)’의 측면이다. 그러나 바이러스가 태어나서부터 죽을 때까지의 ‘일생’을 살펴보면 바이러스는 생과 사의 경계를 가볍게 초월한 존재로 보인다.
제1장 중에서
19세기 후반 광학 현미경으로는 볼 수 없는 병원체(=바이러스)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바이러스에는 세균학의 기반 기술을 적용할 수 없었다. 과학자들은 일단 동물에게 병을 일으키는 힘이나 세균을 용해하는 힘을 바이러스 기준으로 삼아 연구를 해야 했다. 다시 말해 바이러스 자체가 아닌, 바이러스가 남긴 흔적을 살펴 바이러스학을 발전시킨 것이다.
제2장 중에서
바이러스는 동물, 식물, 세균에서 분리할 수 있다. 그중 동물바이러스와 식물바이러스는 대부분 질병의 원인으로 분리되었기 때문에 예전에는 바이러스를 세균의 한 종류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바이러스의 기원이 화제가 되진 않았다.
제3장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