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과학의 이해 > 과학사/기술사
· ISBN : 9788926872123
· 쪽수 : 176쪽
· 출판일 : 2016-03-31
책 소개
목차
고든 스콧에게 바치는 사사
옮긴이의 글
들어가는 글
제1장 우역이란 어떤 질병인가
1. 소의 흑사병이라 불린 우역(牛疫)
2. 폐사율 70%의 무서운 전염병
3. 홍역바이러스의 선조, 우역바이러스
제2장 고대와 중세의 우역
1. 수의학 파피루스에 묘사된 우역
2. 고대 로마에서 빈번하게 발생한 우역
3. 유럽에 퍼지는 우역
4. 로마제국 쇠퇴를 야기하다
5. 몽골군의 비밀병기
6. 2억 마리의 소가 폐사한 18세기 우역의 대유행
7. 프랑스혁명과 우역
제3장 우역과 근대 수의학의 성립
1. 살처분 정책의 도입
2. 병리해부학의 출발점
3. 수의과대학의 설립
4. 모자면역에 대한 최초 보고
5. 미아즈마(Miasma)설로부터 콘타기온(Contagion)설로
제4장 세계로 확산되기 시작한 우역
1. 유럽을 중심으로 한 우역의 확산
2. 우역 침입의 위험성을 둘러싼 영국에서의 논의
3. 국제수의학회의의 발족
4. 아프리카에서의 대유행
5. 아프리카의 식민지화를 촉진한 우역의 대유행
6. 글로벌 우역 대책의 시작-세계동물보건기구(OIE)의 설립
제5장 우역의 원인체, 우역바이러스
1. 바이러스 발견의 시대
2. 우역바이러스의 발견
제6장 우역 예방법의 발달
1. 우역 접종법
2. 종두에 의한 면역
3. 로베르트 코흐의 담즙법
4. 면역혈청법
5. 최초의 우역백신(카키자키 백신)
6. 산양 계대로 우연히 탄생한 약독 생백신(에드워즈 백신)
7. 토끼 계대로 만든 약독 생백신(나카무라 백신)
8. 제2차 세계대전 중에 미국이 개발한 백신
9. 안전한 약독 생백신의 개발
10. 근대적인 약독 생백신의 개발(플로라이트 백신)
11. 홍역의 예방에 활용
12. 우역백신에서 고도약독 홍역백신으로
제7장 일본에서의 우역
1. 고서에 기록된 우역
2. 에도시대의 우역
3. 메이지시대 초기 우역이 야기한 혼란
4. 1892년에 또다시 발생한 우역
5. 축산업계의 막대한 피해
6. 일본에서의 마지막 우역 발생
제8장 우역을 중심으로 발전한 일본의 가축전염병 예방 대책
1. 항만검역소의 설치와 가축전염병 예방법의 제정
2. 이중검역제도의 시작
3. 수역조사소 설치
제9장 한반도와 만주에서의 우역 대책
1. 부산에서 우역면역혈청(牛疫免疫血淸) 제조 개시
2. 봉천(奉天) 수역연구소의 설립
제10장 제2차 세계대전 후 일본의 우역 대책
제11장 생물학적 무기로 이용된 우역
1. 풍선폭탄 ‘후(ふ)’호 작전
2. 미국의 우역백신 개발의 극비연구
제12장 일본인 과학자의 활약
1. 우역을 방어하기 위해 ‘만리장성’을 쌓다
2. 타이완에서의 우역 박멸
3. 제2차 세계대전 후 아시아에서의 우역 박멸
4. 이집트에서의 공헌
제13장 글로벌 우역 근절 계획
1. 아프리카에서의 박멸 계획 실패
2. 글로벌 우역 근절 계획의 시작
3. 글로벌 우역 근절 계획의 발전
4. 우역 근절에 있어 미생물학의 공헌
제14장 우역과 나
1. 천연두백신의 개량
2. 우역바이러스와의 만남
3. 재조합 우역바이러스 개발
마치는 글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