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후기(영조~순종)
· ISBN : 9791190277532
· 쪽수 : 264쪽
· 출판일 : 2020-07-06
책 소개
목차
서문: 인간은 평등하다, 더불어 살자
추기: 『이이화의 동학농민혁명사』 출간에 부쳐
1장 나라를 거덜낸 세도정치
물거품이 된 정조의 개혁정치
반동의 시대, 우리끼리 해먹자
정약용과 방외거사들의 한탄
동학농민혁명의 이념적 토대가 된 불후의 명저 『목민심서』
2장 들끓는 불만 속에 타오르는 민란의 횃불
지리산 아래에서 싹튼 농민 봉기
전국으로 번진 농민 봉기
삼정을 바로잡아라
모든 것이 도로아미타불
외세와 내정이 뒤엉킨 모순의 시대
나라 안 계층의 갈등
3장 타오르는 민중 봉기의 불길
동학의 전파와 민중의 호응
최시형의 포덕 활동과 이필제의 변혁운동
왜놈과 양놈은 물러가라
척왜양창의의 기치를 내걸다
열기 가득한 원평집회
4장 보국안민의 깃발을 드높이다
결의에 찬 사발통문을 돌리다
첫 횃불을 든 고부 봉기
무장에서 선전포고를 하다
황토현 아래 널린 주검
황토현전투에서 첫 승리를 거두다
남쪽으로 돌린 농민군 깃발
황룡강 가의 기지 넘치는 승리
마침내 전주성을 점령하다
화약을 맺다
5장 농민통치기구 집강소의 태동
민주주의의 뿌리, 집강소
농민통치기구 집강소
천민 부대의 과격한 활동
강렬한 호남 남부 집강소 활동
양반의 씨를 말려라
영남 집강소, 보수 집강소와 결전
6장 집강소, 민주주의의 뿌리를 내리다
집강소의 역사적 의의
모순의 청산과 그 한계
북접의 견제와 일본 첩자들
쌀의 품귀와 쌀값의 폭등
부록: 이이화 선생의 생애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1862년 삼정문란을 시정해달라고 삼남, 곧 경상도?전라도?충청도 일대에서 농민 봉기가 잇따라 일어났다. 농업생산지인 삼남의 골골마다 봉기가 일어나 구실아치와 수령을 타도의 대상으로 삼았다. 농민들은 문벌정치 말기에 쌓이고 쌓인 비리에 울분을 터뜨렸다.
요란하게 출범했던 삼정이정청은 문벌정치의 하수인과 현지 수령, 양반 지주 들의 반대로 폐지되고 말았다. 이때 삼정을 바로잡았다면 조선 말기는 더 생동감 넘치는 사회가 되었을 것이요, 농민 봉기도 잦아들었을 것이다. 결국 문벌정치 아래에서 삼정의 운영은 더욱 파행으로 치달은 채 끝장나고 말았다. 이로써 꺼져가는 조선왕조의 불꽃을 되살릴 마지막 기회는 사라졌다.
19세기를 ‘민란의 시대’라 말한다. 몇몇 문벌가가 이른바 세도정치를 통해 모든 권력을 틀어쥐고 온갖 부정과 불법을 자행했다. 그래서 평안도를 중심으로 한 농민전쟁, 삼남을 중심으로 한 농민 봉기가 잇따라 일어났다. 조선 말기의 환란도 이제 막바지에 이르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