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아시아사 > 동아시아/극동아시아사
· ISBN : 9791190429221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22-04-25
책 소개
목차
책을 내면서
1 서론 11
2 불교의 8대 근본지옥에 관하여 15
1) 첫 번째 근본지옥: 살생을 좋아하는 자, 등활(等活)지옥으로! 23
2) 흑승(黑繩)지옥: 도둑질의 업을 지은 자, 검은 오랏줄의 고통을 31
3) 사음(邪淫)의 죄를 지은 자들이 떨어지는 중합(衆合)지옥 33
4) 고통과 회한의 비명이 울리는 규환(叫喚)지옥 52
5) ‘망어(거짓말)’의 악업과 대규환(大叫喚)지옥 68
6) 사견(邪見)을 가진 자가 떨어지는 염천의 초열(焦熱)지옥 88
7) 초열지옥보다 더 뜨거운 대초열지옥의 문을 열며 107
8) 궁극의 고통과 공포, 아비(阿鼻)지옥 113
3 다른 종교의 지옥에 관하여 125
1) 『신곡』의 지옥과 순례자 125
2) 한국 무가 속의 지옥; 바리데기 서사 130
3) 『금오신화』 「남염부주지」의 지옥 133
4) 도교의 지옥과 시왕신앙 136
5) 이슬람의 지옥 138
소결 141
4 굶주린 귀신의 세계, 아귀도餓鬼道 147
1) 아귀, 그리고 아귀가 사는 세계 147
(1) 아귀도는 어떠한 세계인가 147
(2) 경문에 나타나는 악업의 상징, 아귀 152
2) 경전 속에 나타난 아귀의 형상 157
3) 아귀도에 태어나게 되는 업인(業因) 170
(1) 전생의 간탐(慳貪)으로 인해 아귀도에 떨어지다 172
(2) 외도와 파계자들, 아귀로 태어나다 187
4) 아귀의 고통상 197
소결 208
5 아귀도餓鬼道를 벗어나기 위한 수행법과 의례 211
1) 자업자득의 과보와 타업자득의 공덕 211
2) 참회와 염불, 경전독송의 수행법 219
3) 음력 7월 15일의 망자천도의례: 동아시아불교의 우란분(盂蘭盆) 229
(1) 동북아시아의 우란분(盂蘭盆) 229
(2) 동남아 각국의 사자공양의식 237
4) 선조의 망혼을 천도하는 재의식 243
5) 아귀에게 음식을 베푸는 보시공덕: 시아귀법(施餓鬼法)과 시식(施食) 253
(1) 보시바라밀과 시아귀법 253
(2) 망혼에 베푸는 시식(施食)과 헌식(獻食) 265
6) 생전에 사후를 위해 공덕을 닦는 예수재(預修齋) 275
(1) 예수재의 설행의 배경과 역사: 수생(受生)신앙·시왕신앙·지장신앙 275
(2) 생전예수재의 내용과 형식 286
소결 291
6 결론 295
참고문헌 304
저자소개
책속에서
‘지옥地獄’은 불교가 중국에 전래된 이후, 범어의 naraka 또는 niraya 를 현실의 감옥에 비유하여 번역한 용어이다. 범어 ‘naraka’는 본래 ‘행복이 없는 곳無幸處’를 의미했고, 사람이 죽어서 가는 암흑세계를 의미 하는 용어였다. naraka는 한역 과정에서 ‘奈落迦’, ‘奈落’ 또는 ‘泥黎’ 등으로 음역되거나, ‘不自在’, ‘狹處’ ‘地獄’ 등으로 의역되었다.
이 팔한지옥의 한역漢譯 명칭에서는 죄인들이 추워서 천연두[皰]가 생기고 몸이 부어터져서 부스럼과 문둥병이 생기며, 추위 탓에 소리를 낼 수 없어 혀끝만 움직이다가 괴상한 소리를 내는 고통의 양상이 나타난다. 또한 청련(utpala)이나, 홍련(padma) 등의 꽃 이름이 지옥에 붙은 것은 추위에 동상이 걸린 것이 극심해서 푸른색, 붉은색으로 피부색이 변하고 연꽃모양으로 피부가 짓물러 터지는 고통을 표현한 것으로 보 인다.
다음 합지옥의 열 다섯 번째 별처지옥인 화분처火盆處, 즉 ‘불동이’ 지옥은 속세의 생활을 하던 자가 사문이 된 후에도 애욕과 소유에 대한 집착을 버리지 못하는 것이 업인이 되어 떨어지게 되는 곳이다. 커다란 동이[盆]에 불꽃이 가득 넘실대는 듯한 이 지옥에서는 죄인의 몸이 마치 장작과 같은 구실을 하게 된다. 죄인은 전생에 계율을 어기고 남의 음식을 먹었기 때문에 이 지옥에서 혀가 불타고, 애욕에 가득 차서 남의 여자를 훔쳐보았기 때문에 눈알이 불타며, 계율을 어기고 남의 여자와 서로 웃고 노래하며 그 소리를 들었기 때문에 귀에 끓는 백랍 물이 부어지게 되고, 계율을 범하여 다른 승려의 향을 취했기 때문에 그 코를 베이게 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