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붓과 칼 사이의 질서

붓과 칼 사이의 질서

(조선의 무관 제도사)

정해은 (지은이)
역사산책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0,000원 -0% 0원
300원
29,700원 >
27,000원 -10% 0원
0원
27,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붓과 칼 사이의 질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붓과 칼 사이의 질서 (조선의 무관 제도사)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시대 일반
· ISBN : 9791190429368
· 쪽수 : 544쪽
· 출판일 : 2025-06-10

책 소개

조선은 흔히 ‘문文’의 나라로 기억된다. 하지만 그 ‘문’을 지탱하고자 작동했던 ‘무武’의 질서는 결코 변방에 머무르지 않았다. 이 책은 ‘붓과 칼’이라는 두 축 사이에서 긴장과 조화를 이루며 존재했던 무관의 제도에 주목했다.

목차

들어가는 말 - 조선 후기 무관직, 그 의미를 묻다 | 11

1부 무관의 개념과 무관직 구조

1장 무관의 개념과 정책
1. 무관의 개념 | 31
2. 무관 관련 용어 | 35
3. 무관 정책의 특징 | 43

2장 서반관계의 구성과 운용
1. 서반관계의 구성 | 47
2. 서반관계의 운용 | 57

3장 ��속대전��의 무관직 구성
1. 서반 경관직의 종류와 규모 | 67
2. 서반 외관직의 종류와 규모 | 81

2부 중앙 고위직과 청요직

4장 서반 최고위 아문 중추부
1. 중추부의 조직과 규모 | 99
2. 중추부의 임무와 사회적 위상 | 105

5장 훈련원의 지속과 변화
1. 훈련원의 확대 | 111
2. 훈련원의 변화 | 118
3. 습독관과 권지 | 123

6장 무관 청요직과 천거
1. 서반 최고 청요직 선전관 | 128
2. 선천宣薦의 운용과 특징 | 147
3. 부장과 부천部薦 | 162
4. 수문장과 수천守薦 | 180

3부 오위와 체아직

7장 오위도총부의 변화
1. 오위도총부의 구성 | 195
2. 오위도총부의 임무 | 202
3. 도총관의 부족 | 212

8장 오위장의 새로운 운용
1. 오위장의 구성 | 218
2. 오위장의 임무와 위상 | 223

9장 오위 체아직의 구조와 운용
1. 체아직 관련 용어 | 235
2. 오위 체아직의 지급 기준 | 242
3. 원록체아와 잡체아 | 249

4부 군영 아문

10장 군영아문의 구조와 구성원
1. 군영아문의 성립과 종류 | 267
2. 군영아문의 조직과 구성원 | 280

11장 군영아문 소속 장관의 역할
1. 장관의 임용 방식 | 293
2. 중군 | 296
3. 천총과 파총 | 303
4. 금군장-내금위장·겸사복장·우림위장 | 323

12장 군영아문 소속 장교의 임무
1. 지구관知彀官 | 339
2. 교련관 | 352
3. 기패관 | 364
4. 국출신 | 372

13장 무관 산직散職
1. 내사복시와 내승 | 378
2. 능마아청과 능마아강 | 389

5부 지방의 변장과 보좌직

14장 변장의 개념과 규모
1. 변장의 개념과 범주 | 401
2. 변장의 규모 | 403

15장 첨절제사와 동첨절제사
1. 첨사의 규모 | 413
2. 첨사의 운용-변지·이력·체부·구근·자벽 첨사 | 422
3. 첨사의 자격과 역할 | 436

16장 만호와 권관
1. 만호의 규모와 운용 | 444
2. 권관의 규모와 운용 | 463

17장 절도사 보좌 무관직
1. 우후 | 478
2. 북평사 | 495

나가는 말 : 붓과 칼 사이, 조선을 지탱한 또 하나의 질서 | 506

부록 | 517
참고문헌 | 525
찾아보기 | 537

저자소개

정해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학교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조선후기 무과급제자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선임연구원을 거쳐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책임연구원으로 일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어느 경상도 양반가의 무관 진출기』(2023), 『조선의 무관과 양반사회-무과급제자 16,643명의 분석 보고서』(2020, ‘2021년 세종도서 학술 부분’ 선정), 『고려, 북진을 꿈꾸다』 (2009, ‘2009 우수 저작 및 출판지원사업’ 선정), 『한국 전통 병서의 이해(1, 2)』 (2004, 2008) 등이 있다. 주요 공저로는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2022, 공저), 『조선 국왕의 군대 사용법』(2022, 공저), 『군영 밖으로 달아난 한양 수비군』(2019, 공저), 『국왕과 양반의 소통 구조』(2019, 공저), 『국앙 리더십의 유형과 실제』(2019, 공저) 등이 있으며, 공동 번역서로 『국역 노상추일기(1~12)』(2017~2020)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오늘날 경복궁 근정전과 덕수궁 중화전 앞뜰에는 어도御道 좌우로 품계석品階石이 남아있다. 남쪽을 향해 앉은 임금을 바라볼 때, 오른쪽(동쪽)에 놓인 품계석은 문관이 서는 자리였고, 왼쪽(서쪽)은 무관이 서는 자리였다. 그래서 문관을 동반東班, 무관을 서반西班이라 했으며, 이를 합쳐 ‘양반兩班’이라 불렀다. 이때의 ‘양반’은 반상班常을 구분하는 신분 개념이 아니라 문·무로 나뉜 벼슬을 가리키는 말이었다.


1466년에 세조가 관제를 재조정하면서 정비한 서반관계는 이전과 비교하여 두 가지 변화를 보였다. 첫째, “절충장군折衝將軍은 당상관으로 올린다.”라고 했듯이 절충장군을 당상관으로 승격했다. 이 조치로 2품 이상이 없는 서반관계에 당상관이 새롭게 생겼으므로 큰 변화라 할 수 있다


시기별로 지역의 변화도 주목된다. 『경국대전』에 따르면, 서반 외관직의 규모는 경상도 103자리, 전라도 87자리, 충청도 69자리, 평안도 65자리, 함경도 57자리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속대전』에서는 경상도가 여전히 134자리로 가장 많았으나, 그 뒤를 평안도 124자리, 전라도 110자리, 함경도 105자리, 경기 79자리가 차지했다. 특히, 평안도(59자리 증가, 증가율 91%), 함경도(48자리 증가, 증가율 84%), 경기(30자리 증가, 증가율 61%)의 증가율이 높으므로, 조선 후기에 북부 지역과 경기의 외관직이 크게 확대된 점이 두드러진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