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한국정치사정/정치사 > 한국정치사정/정치사-일반
· ISBN : 9791190545273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22-02-07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 왜 이대남들은 보수정당에 몰표를 주었을까?
서울시장 재보궐 선거가 말해주는 것 / 캐스팅 보트를 쥔 MZ세대 / 책의 구성
1부. 한국 정치를 뒤흔든 MZ세대
1. 공정, 경쟁 그리고 능력주의
인국공과 프로듀스101 / 과도기 : 정량평가에서 정성평가로 / 장원급제의 나라 / 진영에 갇힌 공정
2. 분노한 이대남, 실망한 이대녀
재보궐 선거가 인양한 이대남의 분노 / 된장녀에서 한남충까지 / 귀차니즘을 뛰어넘은 정치적 효능감 / 분노의 근원 / 돌아선 이대녀
3. 이대남들이 홍준표에 열광한 이유
느닷없는 홍준표의 부상과 역선택론 / “내가 너희들의 롤 모델이다” / 세대 갈등이 낳을 보수의 분화
4. 보수는 어떻게 유튜브를 장악했나
고립무원 태극기 부대의 탈출구 / 엄숙주의가 부른 사회적 곤장 / 사이버 렉카
2부. 무엇이 MZ세대를 구성하는가?
1. 온라인에서 잉태된 세대
스마트폰과 초연결사회 / 군중 집회의 장이 된 온라인 커뮤니티 / 개인적이면서 개인적이지 않은
# MZ세대의 지지를 얻으려면 나무위키를 읽어라 (전자신문 칼럼)
2. 한탕주의의 도래
안드로메다 세대 / 슈퍼스타K에서 비트코인까지 / 상남자들의 부상
# 어차피 운발주도성장의 시대 아닌가 (한국일보 칼럼)
3. 이념 : 먹고사니즘
노답인생 / 세대 간 의제의 불화 / 구호의 소멸
# ‘A 씨’들의 한 줄짜리 죽음 (월간노동법률 칼럼)
4. 투명한 절차, 합당한 보상
청년착취의 현대사 / SK하이닉스 직원들은 왜 분개했나
5. 솔직함과 위선혐오 사이
# 불의한 해군보다 정의로운 해적이 낫다 (한국일보 칼럼)
3부. 어떻게 MZ세대를 잡을 것인가?
1. 새로운 시대의 낡은 정치
유능한 세력에 표를 주겠다 / 과거에 머물러 있는 정치 / 이념정치의 퇴장
# “정인이법 만든 사람이 바로 접니다” (한국일보 칼럼)
2. 공정, 사회적 신뢰의 회복
다 같이 콜로세움에 서겠다 / 공정이란 무엇인가?
3. 역사의 상대성
월드컵둥이의 역사경험치 / 새로운 시대
# 나고야 편의점의 어느 흑인 매니저 (월간노동법률 칼럼)
4. 젠더 갈등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5. 어른의 역할
4부. 집단으로 표류하는 세대
저자소개
책속에서
정규직과 비정규직 사이에 매우 큰 격차가 존재하고, 한번 비정규직이 되면 계속 비슷한 수준의 비정규직 일자리를 전전해야 한다는 건 이제는 증명할 필요도 없는 사실이다. 그래서 청년들은 당장 일할 수 있는 ‘그저 그런 회사의 비정규직’이 되기보다는 시간이 오래 걸리더라도 ‘좋은 회사의 정규직’이 되는 길을 택한다. 그 과정에서 생활비, 학원비 등 적지 않은 취업 준비 비용이 발생한다. 청춘을 투자하는 데 따른 기회비용은 더욱 클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전체도 아닌 특정 비정규직 집단만, 정부의 정책적 결정에 따라 정규직으로 전환되니 정규직만 바라보며 취업에 매진하던 청년들로서는 반발하지 않을 수 없었다.
- ‘공정, 경쟁, 그리고 능력주의’ 중에서
MZ세대 중 많은 이들이 정량평가에서 정성평가 중심으로 변화한 교육체제가 출생 배경에 따른 교육 격차를 더욱 확대했다고 믿어 의심치 않는다. 이들은 자신도 최선을 다했다고 생각했는데, 잘난 부모를 둔 덕분에 자기보다 못한 실력에도 불구하고 더 좋은 대학에 가게 된 친구를 보며 불공정함을 느끼지 않을 수 없었다. 학창시절 경험했던 교육제도의 불공정함은 사회 전반의 공정을 요구하는 기제로 작용했다. 정시확대나 사법고시 존치를 주장했던 것의 이면에는 그런 경험들이 켜켜이 쌓여있었다. 그것이 기성세대의 눈에는 능력주의를 추종하는 것처럼 비추어졌다. 그러나 결코 이들이 능력주의를 추종하거나 주입식 암기교육으로의 회귀를 바랐다고 보기는 어렵다. 청년들이 그런 주장을 했던 건, 그나마 그게 ‘흙수저’들에게도 ‘비빌 수 있는’ 기회나마 준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 ‘과도기 : 정량평가에서 정성평가로’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