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환경/생태문제 > 환경학 일반
· ISBN : 9791191383362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23-08-25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1장 Why 왜 먹어야 할까
먹기 위해 산다?
건강을 위해 먹는다?
맛있는 거 먹는 낙으로 산다?
2장 When 언제 먹는 게 좋을까
아침, 점심, 저녁; 언제나 소식
봄; 봄나물을 먹을 때
여름; 보리밥과 보양식을 먹을 때
가을; 쌀밥과 과채류를 먹을 때
겨울; 이팝에 고깃국을 먹을 때
어릴 때와 늙었을 때 먹는 음식
3장 What 무엇을 먹어야 할까
씨앗을 먹다
흙을 먹다
우주를 먹다.
입맛보다 장(腸)맛
거친 곡식
콩, 조, 보리 그리고 고구마
거친 채소
들나물, 산나물, 해산물
토종 먹을거리
소농의 지역 먹을거리
유전자 조작 먹을거리
수입 농산물과 고기
4장 How 어떻게 먹는 게 좋을까
재료 본래의 맛을 찾아서
조리는 단순하고 거칠게
‘어떻게 먹을까?’에는 예의도 있다
먹고 남은 걸 어떻게 처리할까
똥도 자원이다
5장 Who 누구와 먹을까
왜 우리는 함께 밥을 먹을까
식구를 넘어 마을로, 마을을 넘어 미물까지
원치 않는 사람과 먹을 때
혼밥의 시대에는 어떻게?
6장 Where 어디에서 먹을까
밥은 밥의 고향에서
밥은 집에서
밖에서 먹을 때
7장 Why 다시, 왜 먹어야 할까
사회적 관계를 위해 먹는다
자연적 관계를 위해 먹는다
하늘과 땅과 소통하는 필부의 삶
주
저자소개
책속에서
예로부터 ‘밥’이 곧 ‘나’라고 했습니다. 다시 말하면 “나는 어제 먹은 밥”입니다. 그렇다면 어떤 밥을 먹느냐가 관건이겠죠. 어떤 밥을 먹느냐가 어떤 삶을 사느냐를 좌우할 수도 있다는 겁니다. 나를 만드는 방법은 많습니다. 성형수술도 있고, 수련과 운동도 있고, 약물 복용도 있고, 공부와 종교활동도 있습니다. 그러나 무엇을 하든 기본은 먹을거리입니다. 먹을거리는 몸을 만들고 마음을 만듭니다.
갱년기에 접어든 중년 시기에는 날이 갈수록 떨어지는 체력을 걱정합니다. 어디 그뿐이겠어요? 노안이 오고 기억력은 쇠해져 자꾸 까먹고 괜히 우울해집니다. 성적 능력이나 성욕은 눈에 띄게 감퇴하고요. 이럴 때 많은 사람이 보양식이나 건강식품 아니면 보약을 찾는데요, 노화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니 편하게 받아들일 것을 권합니다. 이제 늙어가는 겁니다. 사실 갱년기(更年期)는 ‘다시(更) 세월을(年) 사는 때(期)’라는 뜻입니다. 그러니까 죽을 때가 되었는데 죽지 않고 덤으로 사는 인생이죠. 자연의 생명은 생식 능력이 떨어지면 죽는데 인간은 죽지 않고 더 삽니다. 덤으로 주어진 세월이 행인지 불행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늙어서 몸에 냄새나지 않게 하려면 담백한 음식을 먹어야 합니다. 그래도 냄새는 납니다. 노화의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