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토종 농법의 시작

토종 농법의 시작

안철환 (지은이)
소나무
1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300원 -10% 0원
850원
14,4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토종 농법의 시작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토종 농법의 시작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농업 > 농업일반
· ISBN : 9788971398401
· 쪽수 : 260쪽
· 출판일 : 2020-12-10

책 소개

농사짓는 행위가 무조건 선(善)이라 생각했었다. 특히 친환경 유기농은 더욱 선한 행위라 여겼고, 도시농업 또한 친환경 유기농 못지않은 선한 행위라 보았다. 그런데 요즈음 농(農)=선(善), 비농(非農)=비선(非善, 또는 惡)이라는 과신이 흔들리고 있다.

목차

책을 펴내며|왜 토종 농업인가

I. 한국적 농생태주의를 위하여
인간과 자연은 하나
쌀과 콩, 그리고 밀과 고기

II. 씨앗
농부아사(農夫餓死) 침궐종자(枕厥種子)
북만주ㆍ연해주 고려인들의 목숨을 건 종자 지키기|단작이 종자를 사라지게 한다|씨앗의 나라 대한민국|다시 살아나는 씨앗 나눔 운동
전통 농업은 채종하는 농사
토종 종자와 약식동원(藥食同原)

III. 농법
토종 농법
벼와 곡식 중심의 농업
곡식 농사의 의미와 특징들
곡식이 진정한 건강 음식|곡식은 땅을 살려 주는 순환 작물|곡식 농사는 종자와 자연을 지키는 지름길|자연을 지켜 주지 않는 곡식: 밀과 옥수수
때를 맞추는 농사
단작 농사의 패러독스
윤작과 혼작
축(畜) 경운
무경운 또는 무로터리(무기계질)|다시 경운법으로
거름과 순환: 내 똥 3년 먹지 않으면 죽는다
화학 비료의 문제|퇴비와 녹비가 대안이다|질소질 거름을 적게 사용하는 농사는 가능한가|똥을 중심으로 순환하는 농사|탄소질 거름과 질소질 거름의 차이 및 관계
직파법
다시 이앙법(모종법)으로
천수답
제초와 풀의 활용
강한 번식력|공생과 견종법|풀이 해로운 이유?|풀의 활용

IV. 작물

임금에게 진상했던 자광도|전남 장흥에서 알게 된 도복의 이유|통일벼의 신화와 진실|밭벼|천수답 농법|채종하기

콩의 원산지는 만주와 한반도|토종 콩의 종류와 이름|사연 많은 녹두|채종하기

토종 앉은뱅이밀|채종하기
배추
토종 배추의 종류|채종하기
고추
토종 고추의 종류|채종하기
마늘
토종 마늘의 종류|채종하기
대파
토종 대파의 종류|채종하기
양파
토종 양파|채종하기
부추
토종 부추의 종류|채종하기

책을 마치며| 다시 토종 농업으로

저자소개

안철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온순환협동조합, 전통농업연구소 대표. 경기도 안산에서 ‘산림생태텃밭 먹거리숲 농장’을 운영한다. 남은 음식물과 똥오줌, 커피 찌꺼기를 받아 직접 거름 만들기를 실천하고 있으며, 우리 토종 종자와 전통 농업 살리기에 열중하고 있다. 25년 전, 처음으로 심은 배추 씨가 3일 만에 싹 트는 걸 보고 ‘씨 안에 누가 있었구나!’ 깨닫고 본격적으로 농사를 짓기 시작했다. 우리가 먹는 배추는 단순히 물질적인 먹을거리가 아니라 나와 별 차이 없는 생명이며, 그래서 먹는다는 것은 생명을 먹고, 생명과 소통하고, 생명과 하나 되는 일이라고 믿는다. 쓴 책으로 《시골똥 서울똥》(2009), 《24절기와 농부의 달력》(2011), 《호미 한자루 농법》(2016), 《토종농법의 시작》(2020)이 있고, 옮긴 책으로 《생태도시 아바나의 탄생》(2004)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