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정신분석학
· ISBN : 9791191462098
· 쪽수 : 264쪽
· 출판일 : 2022-03-28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성인 ADHD, 함께 가는 여정 앞에서
1부 양파 같은 성인 ADHD, 그 실체와의 만남
1장 성인 ADHD가 우리 곁에 오기까지
성인 ADHD의 첫 기억/ 페니드로 인한 새로운 변화 / 성인 ADHD, 치료의 길을 열다
2장 성인 ADHD는 어떤 모습으로 나타나는 걸까
수면장애로 찾아온 환자 / 치료 이후 조금씩 달라진 삶 / ADHD의 원인과 증상은
3장 ADHD의 진단 과정은 어떻게 이루어질까
ADHD의 유형과 진단 기준 / 진화하고 있는 ADHD 진단 항목들 / 성인 ADHD 진단을 내리기까지
4장 왜일까, ADHD 진단이 쉽지 않은 이유
ADHD 진단 자체의 어려움 / 겹겹으로 둘러싸인 성인 ADHD / 자도 자도 정신이 몽롱해요 / ADHD와 공존장애
*ADHD라는 개념이 자리 잡기까지
2부 성인 ADHD, 오해와 편견 걷어내기
1장 약물치료, 어떻게 생각해야 할까
ADHD를 둘러싼 세상의 시선들 / 병원은 언제까지 다녀야 하나요 / 약은 언제까지 먹나요 / 왜 약물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생겨났을까 / 약물치료는 어떻게 진행되고 있나 / 약물치료로 얻을 수 있는 것
2장 거짓 정보에서 살아남기
반드시 알아야 하는 다섯 가지 진실 / ADHD는 뇌의 병이다 / 거짓 정보의 홍수 속에서
3장 성인 ADHD와 여성
폭발적으로 늘어난 성인 여성 ADHD / 여아 ADHD의 역사 / 성인 ADHD에서 여성 사례가 중요한 이유 /진단과 치료의 용기
4장 숨은 사각지대, 노인 ADHD
육십 평생 정신과는 처음입니다 / 나이가 들면 증상이 약해질까 / 노인 환자를 위한 대책
* 58세에 ADHD 진단받은 제이콥 이야기
3부 일상으로 돌아가기 위한 변화의 이야기
1장 ADHD와 함께하는 가정의 모습
성격 차이인가, ADHD 증상 때문인가 / 배우자가 ADHD라면 / 자녀교육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2장 ADHD는 학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ADHD와 학교생활 / 문제는 자기통제력이다 / 학습능력 키우기 / 학습의 어려움, 강점 활용하여 뛰어넘기
3장 ADHD, 군대에 가다
성인 남자가 되면 진짜 고민해야 될 문제들 / 군생활, 잘할 수 있을까
4장 성인 ADHD의 사회생활
직장생활, 어둡기만 한 것은 아니다 / ADHD에게 적합한 직업은
5장 이제 일상을 바꿔보자 177
ADHD와 대인관계 /충동성과 경제적 문제 •변화로 이끄는 일상 관리법 /사회성 훈련 프로그램이 필요할까
* 유튜버로 ADHD를 극복한 제시카 이야기
4부 ADHD, 새로운 희망은 시작된다
1장 ADHD의 두 얼굴
의대생 에르네스토/ 혁명군 체 게바라의 삶 /우리는 무엇에 열광하는가
2장 약점을 강점으로 바꾸는 주문
인생궤적 연구, 희망을 보다 /약점에서 강점으로 전환하기 /호기심과 추진력의 발판
3장 ADHD를 극복하는 힘
어떤 힘이 작용하였는가/ 엉뚱하고 멍청한 학생, 월트 디즈니/몽상가 혹은 창의적 아동, IKEA 창업주 잉그바르 캄프라드 /게으른 사고뭉치에서 창조경영의 아이콘으로, 리처드 브랜슨
4장 직장인 E씨를 통해 본 성인 ADHD의 변화
성인 ADHD의 경계에서 /본격 성인 ADHD 진단과 치료/지난 삶에서, 지지와 격려의 부재 /능력을 끌어내는 지지체계 구축하기
5장 자신의 삶을 찾은 사람들
25년 인생 중 20년을 치료받은 아이 /치료의 핵심, 본인의 의지와 가족의 지지
*ADHD를 아는 것, 나를 아는 것
에필로그
참고 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ADHD라는 이름이 우리 곁에 온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내가 왜 그랬는지 병명을 아는 것만으로도 자신을 보호할 수 있다. 자책으로 삶을 소진하면서 자존감까지 갉아먹는 반복적인 좌절의 경험을 이제라도 끊어내는 것은 나 자신을 위한 당연한 권리이기도 하다. 그래서 더욱 ADHD에 대해 제대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
대부분의 성인 ADHD는 인생이 왜 이렇게 뒤엉키게 되었는지 양파 속을 잘 까는 작업이 필요하다. 환자가 왜 양파처럼 살게 되었는지 개인마다 다르다는 점도 진단을 어렵게 한다. 특히 지능이 아주 높은 사람의 경우 진단이 더 늦어지게 된다. 우리나라 학교에서는 대개 성적이 좋은 학생을 우대하는 분위기라, 다소 문제행동이 있더라도 관대하게 대한다. 학창 시절에 학생을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교사들을 많이 만나고 주변에 자신을 많이 배려해주는 사람들이 있는 것도 진단이 늦어지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