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감정은 어떻게 내 삶을 의미 있게 바꾸는가

감정은 어떻게 내 삶을 의미 있게 바꾸는가

(감정을 이해하는 철학적 가이드북)

로버트 C. 솔로몬 (지은이), 오봉희 (옮긴이)
오도스(odos)
3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4,200원 -10% 0원
1,900원
32,300원 >
34,2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3,420원
30,78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감정은 어떻게 내 삶을 의미 있게 바꾸는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감정은 어떻게 내 삶을 의미 있게 바꾸는가 (감정을 이해하는 철학적 가이드북)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교양 철학
· ISBN : 9791191552218
· 쪽수 : 640쪽
· 출판일 : 2023-10-28

책 소개

저자에 따르면 감정은 우리가 세계에 조율되는 방식이자, 우리의 현실에 형태와 구조를 부여하는 판단들이라고 말한다. 판단으로서 감정은 삶을 구성하고 삶에 의미를 제공하며 우리의 관심사들과 목적들을 만들어 낸다.

목차

해켓 판 서문 · 6
서문 · 12
저자의 말 · 25

머리말: 이성과 정념

1. 철학? · 36 / 2. 신화: 이성 대 정념 · 50 / 3. 삶의 의미 · 56 /
4. 새로운 낭만주의: 정념과 삶에서의 의미 · 60 /
5. 나의 세계와 리얼리티: “주관성” · 63 /
6. 반성과 순수 71 / 7. 요점은 … 76

1장 삶이라는 문제

1. 부조리 · 83
2. “카사블랑카에서 삶은 싸구려다” · 86
3. 위대한 유산: 부조리의 계보학 · 90
4. 카뮈의 신화 · 99
5. 부조리의 형이상학 · 105
6. “부조리의 추론” · 110
7. 시시포스의 정념 · 116

2장 새로운 낭만주의

1. 정념과 부조리 · 127
2. 낭만주의 · 134
3. 합리적 낭만주의 · 144
4. 이성의 기능 · 156

3장 정념의 신화

1. 정념 · 163
2. 감정, 기분, 욕망 · 169
3. 객관적으로 조명된 감정들: 심리학자의 난제 · 173
4. 수역학 모델과 그 변천 · 181

4장 생리 기능과 느낌, 행동

1. 생리 기능상의 복잡한 문제들 · 203
2. 느낌과 감각으로서의 감정 · 216
3. 감정과 행동 · 226

5장 주관적 정념 이론

1. 의도성 · 241
2. 감정, 대상, 원인 · 256
3. 판단으로서의 감정 · 267
4. 도덕성과 미학에 관한 주해 · 280
5. 감정적 구성: “세계의 존재 방식” · 283
6. 정념의 신화 · 298

6장 “무엇을 해야 하는가?”

1. 개인적인 이데올로기: “세계의 당위적인 존재 방식” · 315
2. 감정과 그 표현 · 331
3. 감정과 마법 · 347
4. 감정의 합리성 · 363

7장 감정의 논리

1. 방향 · 390
2. 범위와 초점 · 396
3. 대상의 본성 · 399
4. 기준 · 405
5. 개인의 지위 · 409
6. 평가 · 416
7. 책임 · 423
8. 상호주관성 · 427
9. “거리” · 432
10. 신화: 감정적 판단들의 종합 · 436
11. 욕망, 의도, 서약 · 438
12. 능력 · 441
13. 전략 · 443

8장 감정 등록부: 정념 선별 목록 · 447

결론 · 623
옮긴이 후기 · 629

저자소개

로버트 C. 솔로몬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텍사스 대학교(오스틴) 철학과 교수를 역임했다. 미시간 대학교 의과대학을 다니던 중 우연히 니체 수업을 청강하다가 전공을 철학으로 바꾸는 결정을 내린다. 니체, 하이데거, 사르트르를 비롯한 현상학과 실존주의에 사상적 토대를 두고 감정과 철학, 비즈니스와 철학의 관계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을 보여 왔다. 아카데미에 머물러 있지 않고 철학이 삶의 현장에서 성찰의 자원이 되는 담론이어야 한다는 문제의식 하에 다양한 형태의 글쓰기를 실험했다. 아내이자 철학적 동반자인 캐슬린 히긴스 교수와 함께 쓴 『짧은 철학사A Short History of Philosophy』와 『니체가 진정으로 말한 것What Niezche Really Said』을 비롯하여 『철학의 기쁨The Joy of Philosophy』, 『회의주의자를 위한 영성Spirituality for the Skeptic』 등이 있다. 감정철학 관련 저서로는 『감정은 어떻게 내 삶을 의미 있게 만드는가Passions: Emotions and the Meaning of Life』, 『사랑을 배울 수 있다면About Love』, 『정의라는 감정에 대하여A Passions for Justice』, 『느낌에 충실하기True to Our Feelings』 등이 있고 비즈니스윤리 관련 저서로는 『윤리학과 탁월성Ethics and Excellence』, 『비즈니스에 대해 생각하는 더 좋은 방법A Better Way of Thinking about Business』 등이 있다. 45권에 이르는 저서 및 편저와 함께 2000년에는 국제감정연구학회(ISRE) 회장을 역임했고, 체이스맨해튼은행, AT&T, 폭스바겐 같은 유수 글로벌 기업의 자문역을 맡았다. 2007년 스위스 취리히 공항에서 비행기를 갈아타던 중 폐동맥 출혈로 갑작스럽게 사망했다.
펼치기
오봉희 (옮긴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뉴욕주립대학교(올바니)에서 초기 영국 소설에 나타난 집 상실감과 이방인성을 젠더 및 장르 문제와 결부시켜 연구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경남대학교에 부교수로 재직하며 교육 및 연구 활동을 하고 있다. 환대, 애도, 감정, 공동체, 유토피아/디스토피아 등을 주제로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공저로는 『근대 영미소설 속 질병, 재난, 공동체』와 『감정의 지도 그리기』, 『유토피아 문학』이 있으며, 공역서로는 『소설의 정치사』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철학은 점점 더 추상화하고 가까이하기 어려워진다. 철학의 문제들은 무시되고 그것들을 다룰 능력이 가장 없는 사람들의 손에 내맡겨진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그 사람들은 사랑하는 법을 배우고 부모에게서 벗어나는 청소년들, 그들이 자기 자신을 이해하는 것을 금하는 사회로부터 도망치는 우울하고 좌절당한 사람들, 자신들이 추방되었음을 깨닫고 마지막에는 이제 과거를 회상하면서 어쩔 수 없이 의미에 관한 질문들에 직면하게 되는 노인들이다. 철학은 우리의 일상생활과 아무런 관련이 없다는 주장은 난센스로 시작되었는데, 이 난센스가 이제 진리가 되어 있다. 가장 호감 가는 내 동료들 중에서 많은 사람들이 자존심을 걸고 철학의 정교한 무관련성을 자주 옹호한다. 무슨 논쟁을 할 수 있을까? 싸움은 그들과 하는 것이 아니다. 해야 하는 일은 철학이 삶으로부터 분리될 필요가 없고, 오히려 삶에 도움이 되고, 그들이 하는 일에 대해 똑같이 확신이 없는 다른 사람들이 끈덕지게 우리에게 주입하는 어수선한 내용들을 조정하고 종합한다는 것을 논증하는 것이다. 철학은 본질적으로 예술이다. 그것은 삶의 예술이고, 지혜추구이다.

- ‘머리말’ 중에서


오늘날의 불안과 절망이 생겨난 유래를 추적해 보면 계몽주의와 혁명에 뒤이어 일어난 종교 제도들과 신앙의 붕괴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는 점은 역사가들과 종교인들 사이에서는 진부한 견해이다. 그러나 사실은 그것이 전부가 아니다. 우리가 부조리성을 느끼는 것은 신의 은총에 대한 믿음의 상실 때문만은 아니다. 동시에 인간의 정의와 인간의 노력이 갖는 잠재력에 대한 믿음이 엄청나게 커졌다는 점 때문이기도 하다. 우리는 종교의 상실을 한탄할지 모른다. 하지만 종교를 대체한 우리의 자신감이 커져서 종교의 상실을 보상해 주는 것을 유감스러워하는 것은 비인간적이라고 할 수는 없어도 어렵다. 부조리는 종교의 상실이 아니라 휴머니즘의 증진 때문에 생겨났다. 우리가 우리 자신에 대해 더 많이 생각할수록 우리의 리얼리티에 대해서는 덜 생각하게 된다. 다른 그 누구의 탓도 아니다.

- ‘1장 삶이라는 문제’ 중에서


정념이 인도해 주지 않으면, 추론은 원칙도 힘도 가질 수 없다. 우리의 “정서들”로부터 단절되고 나면, 우리는 누구도 그 어떤 것도 정당화할 수 없다는 것을 정당화하거나 보여 줄 수 있을 뿐이다. 흄은 십만 명의 동양인들이 학살당하는 것보다 자기의 새끼손가락이 따끔따끔 아픈 것에 사람들이 더 마음을 쓰는 것은 “비이성적”이지 (즉 이성의 명령에 반대되지) 않는다고 단언할 때 이 요점을 강력하지만 가차 없이 강조했다. 이성은 오로지 정념을 통해서만 인간의 가치들과 접촉한다. 이성은 단지 개인의 가치들과 정념들이 없는 특정한 형태의 이성 - 객관적 추론 - 일 뿐이다. 이성이 방법론상으로 개성과 주관성을 모두 벗어버리는 것은 “자연”에 따른 것도 아니고 논리에 따른 것도 아니라, 대단한 노력을 기울인 덕분이다. 객관적 추론은 (심지어 자의식 속에서도) 자기 자리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객관적 추론은 이성 전체가 아니다. 이성 자체는 추상성과 보편 원칙에 대한 호소 때문에 이데올로기와 개인적 서약이 전혀 없는 것이 아니며, 개인적 편견과 편애로부터 자유로운 것도 아니다.

- ‘2장 새로운 낭만주의’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