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역사
· ISBN : 9791191571349
· 쪽수 : 520쪽
· 출판일 : 2023-12-13
책 소개
목차
저자 일연 소개 / 7
『삼국유사』는 이렇게 엮어졌다 / 9
일연의 『삼국유사』 집필 동기』 / 14
권 제1
제1 기이紀異第一 / 48
서왈叙曰 / 48
삼국의 시조가 모두 신이한 데서 나오다 / 48
고조선古朝鮮 왕검조선王儉朝鮮 / 50
단군왕검이 아사달에 도읍하다 / 50
환웅이 천하에 자주 뜻을 두어 인간세상을 구하고자 하다 / 51
주가 기자를 봉하고 조선이라 하다 / 54
위만魏滿 : 衛滿조선朝鮮 / 56
연나라 사람 위만이 망명하여 왕검에 도읍하다 / 56
손자 우거는 천자의 명령 받들기를 거부하다 / 58
우거가 항복을 청하고 태자를 보내어 말을 바치게 하다 / 60
서로 의논하고 항복하고자 하였으나 왕이 이를 거부하다 / 61
조선을 평정하고 진번·임둔·낙랑·현도 4군으로 만들다 / 62
마한馬韓 / 63
나라를 건국하고 이름을 마한이라고 하다 / 63
4이는 9이와 9한과 예와 맥이다 / 65
2부二府 / 67
두 개의 외부를 두다 / 67
72국七十二國 / 68
조선의 유민들이 70여 국으로 나뉘다 / 68
낙랑국樂浪國 / 69
전한 때에 처음으로 낙랑군을 설치하다 / 69
북대방北帶方 / 71
북대방은 본래 죽담성이다 / 71
남대방南帶方 / 72
처음으로 남대방군을 두다 / 72
말갈靺鞨과 발해渤海 / 73
발해라 부르다 / 73
고[구]려의 자손들이 나라 이름을 발해라 하다 / 75
발해국의 압록·남해·부여·추성 4부는 고[구]려의 옛 땅이다 / 77
백제 말년에 발해와 말갈과 신라가 백제의 땅을 가르다 / 79
졸본성은 땅이 말갈에 연접해 있다 / 80
읍루는 물길과 함께 모두 숙신이다 / 81
이서국伊西國 / 82
이서국 사람들이 금성을 치다 / 82
5가야五伽耶 / 84
한 개는 수로왕이 되고 나머지 다섯 개는 각각 가야의 임금이 되다 / 84
태조 천복 5년 경자에 5가야의 이름을 고치다 / 85
북부여北扶餘 / 87
도읍을 정하고 왕으로 일컬어 나라 이름을 북부여라 하다 / 89
동부여東扶餘 / 89
도읍을 옮기고 나라 이름을 동부여라 하다 / 89
부루가 죽고 금와가 왕위를 잇고 대소에게 전하였으나 무휼에게 망하게 되다 / 90
고구려高句麗 / 92
고구려는 곧 졸본부여이다 / 92
시조 동명성제의 성은 고씨요 이름은 주몽이다 / 93
이 나라 풍속에 활 잘 쏘는 자를 주몽이라 하다 / 95
금와가 아들 일곱이 있어 언제나 주몽과 함께 노는데 재주가 뛰어나다 / 97
나라 이름을 고구려라 하고 고씨로 성을 삼다 / 99
졸본부여는 북부여의 별개 도읍지로 부여왕이라고 하다 / 101
변한卞韓 백제百濟 / 102
변한 사람이 항복하다 / 102
진한辰韓 / 104
진한은 열두 개 작은 나라가 있어 각각 1만 호로 나라를 일컫다 / 104
신라의 전성시대에 서울 호수가 178,936호에 1,360방, 55리, 35금입택이다 / 106
우사절유택又四節遊宅 / 108
봄에는 동야택, 여름에는 곡량택, 가을은 구지택, 겨울은 가이택이다 / 108
신라 시조 혁거세왕新羅 始祖 赫居世王 / 109
진한 땅에는 옛날 여섯 마을이 있었다 / 109
노례왕 9년에 처음으로 6부의 이름을 고치고 또 6성을 주었다 / 112
이름을 혁거세왕이라고 하며 광명으로 세상을 다스리다 / 114
나이가 열세 살이 되자 남자는 왕이 되고 여자는 왕후가 되다 / 116
나라 이름을 서라벌 또는 서벌이라 하다 / 118
나라를 다스린 지 61년 만에 왕이 하늘로 올라가다 / 120
제2대 남해왕第二 南解王 / 121
남해거서간은 차차웅이라고도 하다 / 121
신라에서는 왕을 거서간이라고 하고 혹은 차차웅 또는 자충이라고 하다 / 123
처음에 남해왕이 죽고 그 아들 노례가 왕위를 탈해에게 사양하다 / 125
거서간 또는 차차웅이 하나씩, 이사금이 열여섯, 마립간이 넷이다 / 126
제3대 노례왕第三 弩禮王 / 128
노례왕이 즉위하고 니질금 명호가 탄생하다 / 128
육부명을 정하고 육성을 하사하다 / 129
도솔가를 짓다 / 130
보습과 얼음 창고와 수레를 만들다 / 131
이서국을 정벌하다 / 132
제사 탈해왕第四 脫解王 / 133
탈해가 아진포에 도착하다 / 133
탈해가 지략으로 호공의 집을 빼앗다 / 136
탈해가 남해왕의 맏 공주와 결혼하고 영험을 발휘하다 / 138
탈해가 왕위에 올라 석씨를 취하다 / 140
탈해가 세상을 떠나 토함산신이 되다 / 141
김알지 탈해왕대金閼智 脫解王代 / 143
계림의 황금상자에서 김알지가 나오다 / 143
알지의 성을 김으로 하고 7대손 미추가 처음 왕위에 오르다 / 146
<이하 생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