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티나 코즈로브스카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89년 우크라이나 이바노프란키우스크주 콜로메아구 벨리카 캄얀카에서 태어났습니다. 작가, 시인이자 언론인입니다.
작가는 고향인 벨리카 캄얀카에서 고등학교를 마친 뒤, 이바노프란키우스크에 있는 바실 스테파니크 국립대학교 영문학을 전공했습니다.
2008년부터 작가는 그 도시의 할리나 페트로사냐크(Halina Petrosanjak)가 이끄는 “노벨” 문학 스튜디오 회원이 되었습니다.
“우크라이나 작가에게 노벨문학상을!”이라는 캠페인을 벌이는 ‘노벨’-회원 작가 집단에 참여했습니다.
작가 작품은 우크라이나의 여러 정기간행물과 북아메리카 우크라이나인 기관지 "Ukrainske Slovo" (미국 시카고)에도 실렸습니다.
또 작가의 작품은 『황금보다 더 소중한 것』(문학 에이전시 “Discirsus”, Brusturiv, 2015), 『도마뱀과 그 꼬리』(문학 에이전시 “Discirsus”, Brusturiv, 2018) 에 실렸습니다. 『아이를 기다리는 특별한 아홉 달』(문학 에이전시 “Discirsus”, Brusturiv, 2018)과 『봄을 만지다』(Kolomeo, 2008)의 공동 저자이기도 합니다.
작가의 단편 작품들은 번역가 페트로 팔리보다(Petro Palivoda)에 의해 에스페란토와 영어로 번역되어, 우크라이나, 중국, 캐나다, 미국, 터키, 폴란드, 크로아티아, 한국(<테라니도>), 헝가리에서도 소개되었고, 특히 체코에서는 시각 장애인 언어로 발표되었습니다.
작가의 작품은 또한 독일어로 번역되어 "Skljanka ĉasu - Zeitglas" 와 "Aus 20 Jahren Zeitglas"에 실리기도 했다.
펼치기
장정렬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61년 창원에서 태어나 부산대학교 공과대학 기계공학과를 졸업하고, 1988년 한국외국어대학교 경영대학원 통상학과를 졸업했다. 현재 국제어 에스페란토 전문번역가와 강사로 활동하며, 한국에스페란토협회 교육 이사를 역임하고, 에스페란토어 작가협회 회원으로 초대된 바 있다. 1980년 에스페란토를 학습하기 시작했으며, 에스페란토 잡지 La Espero el Koreujo, TERanO, TERanidO 편집위원, 한국에스페란토청년회 회장을 역임했다. 거제대학교 초빙교수, 동부산대학교 외래 교수로 일했다. 현재 한국에스페란토협회 부산지부 회보 ‘TERanidO’의 편집장이다. 세계에스페란토협회 아동문학 ‘올해의 책’ 선정 위원.
펼치기
페트로 팔리보다 (옮긴이)
정보 더보기
우크라이나 시인이자 역자 페트로 팔리보다 씨는 에스페란토 시인이기도 합니다. 영어, 독일어, 에스페란토 번역가입다. 중등학교에서 영어 교사로 봉직하고 퇴임하였습니다. 키이우(키예프)에 살고 있습니다. 그의 작품은 우크라이나, 러시아, 독일어로 발표되고, 에스페란토 원작도 있습니다.
그의 번역 작품은 우크라이나, 러시아, 리투아니아, 체코, 슬로바키아, 스위스, 루마니아, 미국, 오스트레일리아, 중국, 코스타리카, 폴란드, 캐나다, 터키, 크로아티아, 한국, 헝가리의 잡지, 정기간행물, 문학 잡지, 안톨로지 등에 발표되었습니다.
그는 1976년 에스페란토에 입문했습니다.
그는 우크라이나의 여러 시인의 작품을 에스페란토로 옮겼으며, 여러 나라의 에스페란토 시 작품을 우크라이나어로 옮겼습니다. 스페인어, 독일어 시인들의 작품도 우크라이나어로 옮겼습니다. 우크라이나 시인들의 작품이나 민속 노래를 우크라이나어에서 에스페란토로 번역했습니다.
율리오 바기, 바실리이 에로센코를 비롯한 수많은 에스페란토 작가의 작품을 우크라이나어로 번역했습니다. 세계 여러나라의 작가들 -Julian Marchena(스페인어에서 우크라이나어로), Martin Kirchhof(독일어에서 우크라이나어로), Tetjana Ĉernecka(러시아어에서 우크라이나어로), Kalle Kniivila의 작품(에스페란토에서 우크라이나어/러시아어로), Ulrich Becker, Guido Hernandez Marin (에스페란토에서 우크라이나어로) Anton Meiser, Manfred Welzel (독일어에서 우크라이나어로), Ĥristina Kozlovska (우크라이나어에서 에스페란토/독일어로)- 의 작품을 번역했습니다.
2006년 러시아에서 열린 국제 에스페란토 문학(Liro-82)의 시 부문에서 3위 입상.
2006년 불가리아에서 열린 국제에스페란토문학의 시 부문에서 1위 입상.
2006년 키에프에서 열린 우크라이나어 문학 콩쿠르에서 3위 입상.
2015년 “원작시”와 “번역시” 부문 우승,
2019년 에스페란토 국제 시부문 콩쿠르에서 우승.
2006년 현대 가요제에서 작사가상 수상,
2015년 우크라이나 전국 문학-음악 콩쿠르에서 원작시와 번역시 부문에서 입상.
2019년 이탈리아 국제 시 콩쿠르에서 입상함
2004-2012년 그는 국제 문학 콩쿠르 “Liro”의 심사 위원 역임.
펼치기
오태영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66년 전남 장흥 출생으로 서울 영동고를 졸업하고
한양대 건축학과, 한국방송통신대 법학과, 서울시립대학교 도시 행정대학원(부동산전공)에서 공부하였으며,
서울시청을 비롯하여 구청, 주민센터에서 30여 년의 공직 생활을 명예퇴직하고
대학생 시절부터 배운 국제어 에스페란토로 세계평화와 언어평등을 위해 힘쓰며 관련 책을 번역 출판하는 등 제2의 인생을 시인, 작가, 번역가, 진달래 출판사 및 진달래 하우스 대표로 4자녀와 함께 즐겁고 기쁘게 살고 있다.
시집 그리운 노래는 가슴에 품고, 본향을 향하여 외에 번역한 책으로 불가리아 유명 작가 율리안 모데스트의 에스페란토 원작 소설, 바다별(단편 소설집), 사랑과 증오(추리 소설), 꿈의 사냥꾼(단편 소설집), 내 목소리를 잊지 마세요(애정 소설) 살인경고(추리소설), 상어와 함께 춤을(단편 소설집), 수수께끼의 보물(청소년 모험소설), 고요한 아침(추리소설), 황금의 포세이돈 등이 있고 아판티 이야기, 슬기 보따리 등의 북방민담, 그 외 클로드 피롱의 게르다가 사라졌다(추리소설) 번역서와
에스페란토 직독직해 어린 왕자, 안서 김억과 함께하는 에스페란토 수업,
주안에서 누리는 행복, 인생2막 가치와 보람을 찾아(수필집) 등이 있다.
펼치기